펠렛 피복물질 중 diatomaceous earth는 입단 형성이 우수하였으나, calcium carbonate는 입단 형성이 불량하였다. Bentonite로 펠렛된 종자는 기계화 파종에 견딜 수 있는 경도를 보유하고 있었으나, calci...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30117729
2003
Korean
520.71
학술저널
5-9(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펠렛 피복물질 중 diatomaceous earth는 입단 형성이 우수하였으나, calcium carbonate는 입단 형성이 불량하였다. Bentonite로 펠렛된 종자는 기계화 파종에 견딜 수 있는 경도를 보유하고 있었으나, calci...
펠렛 피복물질 중 diatomaceous earth는 입단 형성이 우수하였으나, calcium carbonate는 입단 형성이 불량하였다. Bentonite로 펠렛된 종자는 기계화 파종에 견딜 수 있는 경도를 보유하고 있었으나, calcium carbonate 로 펠렛된 종자는 기계화 파종하기에는 경도가 너무 낮았다.
펠렛종자의 출현율은 토양함수율과 펠렛 피복물질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토양함수율이 60% 조건에서는 수분보온력이 높은 피복물질인 bentonite로 펠렛된 종자가 출현율이 높았고 출현속도도 빨랐다. 반면 100% 토양함수율에서는 calcium carbonate 펠렛된 종자들이 묘출현이 가장 높았다. 전반적으로 diatomaceous earth 로 펠렛된 종자는 토양함수율에 조건에 관계없이 높은 묘출현율을 보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mong the pelleting solid materials tested in this study, calcium carbonate and bentonite were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low and high water-holding capacity. The seeds pelleted with calcium carbonate emerged better in wet soil, whereas those pelle...
Among the pelleting solid materials tested in this study, calcium carbonate and bentonite were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low and high water-holding capacity. The seeds pelleted with calcium carbonate emerged better in wet soil, whereas those pelleted with bentonite emerged better in dry soil. Result indicated the necessity of using different pelleting solid materials depending on water availability in the soil. However, the emergence of the seeds pelleted with diatomaceous earth was largely unaffected by soil water concentrations.
당근 펠렛종자에 살균제 첨가가 묘출현과 초기생육에 미치는 영향
동충하초균(Paecilomyces tenuipes)의 주사 접종에 의한 누에 성충 동충하초 생산
밀양시 및 창녕군의 산간지역에 있어서 자생동충하초의 분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