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단행본] 아시아의 무속과 춤 연구 : 중국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322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아시아의 무속과 춤을 연구한 책. 국문학, 민속학, 무용학, 음악학 전공학자는 물론 촬영전문가, 번역전문가를 아우르는 전문가들이 아시아 4개국을 순례하며 얻은 조사자료를 바탕으로 서술하였다. 아시아 지역 무속의례의 진상을 밝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무속의례를 구성하는 춤, 음악, 사설은 물론 악기, 장단, 가락, 복식, 분장, 무구, 제물, 제물의 진설, 의례준비과정과 그 사회적 맥락 등을 생생하게 기록하고 있다. 중국편. 양장본.

      (출처: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ejkGb=KOR&mallGb=KOR&barcode=9788956385211&orderClick=LAH&Kc=)
      번역하기

      아시아의 무속과 춤을 연구한 책. 국문학, 민속학, 무용학, 음악학 전공학자는 물론 촬영전문가, 번역전문가를 아우르는 전문가들이 아시아 4개국을 순례하며 얻은 조사자료를 바탕으로 서...

      아시아의 무속과 춤을 연구한 책. 국문학, 민속학, 무용학, 음악학 전공학자는 물론 촬영전문가, 번역전문가를 아우르는 전문가들이 아시아 4개국을 순례하며 얻은 조사자료를 바탕으로 서술하였다. 아시아 지역 무속의례의 진상을 밝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무속의례를 구성하는 춤, 음악, 사설은 물론 악기, 장단, 가락, 복식, 분장, 무구, 제물, 제물의 진설, 의례준비과정과 그 사회적 맥락 등을 생생하게 기록하고 있다. 중국편. 양장본.

      (출처: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ejkGb=KOR&mallGb=KOR&barcode=9788956385211&orderClick=LAH&Kc=)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자료는 최종결과물(결과보고서)의 원자료이다. 연구자는 동아시아의 3국인 한국, 일본, 중국의 무속의례의 현장에서 나타난 이야기의 수용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위의 자료를 사용...

      본 자료는 최종결과물(결과보고서)의 원자료이다.

      연구자는 동아시아의 3국인 한국, 일본, 중국의 무속의례의 현장에서 나타난 이야기의 수용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위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서문 = 4
      중국
      Ⅰ. 중국 나儺 개관 = 15
      1. 나儺의 역사적 흐름 = 18
      2. 지역에 따른 나儺의 실태 = 26
      3. 나儺의 종류와 특징 = 47
      Ⅱ. 귀주성貴州省 도진현道眞縣 평안나平安儺 = 53
      1. 지역적 특성 = 54
      2. 나단儺壇의 구성 = 57
      3. 평안나平安儺의 내용 = 72
      4. 평안나平安儺의 특징 = 157
      Ⅲ. 호북성湖北省 은시恩施 환단신還檀神 = 165
      1. 지역적 특성 = 166
      2. 나단儺壇의 구성 = 167
      3. 환단신還檀神의 내용 = 191
      4. 환단신還檀神의 특징 = 291
      부록 - 환단신 창사
      환단신 창사還檀神唱詞 = 319
      1. 교생交牲 = 320
      2. 개단開壇 = 335
      3. 청수請水 = 354
      4. 찰조札竈 = 364
      5. 개단조신開壇操神 = 377
      6. 봉정封淨 = 389
      7. 첨압簽押 = 404
      8. 방생放生과 제저祭猪 = 424
      9. 타인打印 = 435
      10. 조도造刀 = 442
      11. 交刀 = 445
      12. 영백신迎百神 = 454
      13. 회숙回熟 = 463
      14. 탁단방병柝壇放兵= 466
      15. 발성發聲 = 472
      16. 소개산小開山 = 481
      17. 초병招兵 = 486
      18. 출영병토지 出領兵土地 = 502
      19. 찰단札壇 = 510
      20. 개훈경주開葷敬酒 = 517
      21. 기부記簿 = 523
      22. 勾銷 = 530
      23. 타홍산打紅山 = 535
      24. 송신送神 = 543
      25. 안신安神 = 549
      찾아보기 = 556

      (출처: 국립중앙도서관, http://www.dibrary.net/search/dibrary/SearchDetail.nl?category_code=ct&service=KOLIS&vdkvgwkey=86156047&colltype=DAN_HOLD&place_code_info=100&place_name_info=%EC%84%9C%EA%B3%A0%EC%9E%90%EB%A3%8C%EC%8B%A0%EC%B2%AD%EB%8C%80%281%EC%B8%B5%29&manage_code=MA&shape_code=B&refLoc=portal&category=storage&srchFlag=Y&h_kwd=%EC%95%84%EC%8B%9C%EC%95%84%EC%9D%98+%EB%AC%B4%EC%86%8D%EA%B3%BC+%EC%B6%A4+%EC%97%B0%EA%B5%AC%7C&lic_yn=N&mat_code=GM&guCode3=)
      번역하기

      서문 = 4 중국 Ⅰ. 중국 나儺 개관 = 15 1. 나儺의 역사적 흐름 = 18 2. 지역에 따른 나儺의 실태 = 26 3. 나儺의 종류와 특징 = 47 Ⅱ. 귀주성貴州省 도진현道眞縣 평안...

      서문 = 4
      중국
      Ⅰ. 중국 나儺 개관 = 15
      1. 나儺의 역사적 흐름 = 18
      2. 지역에 따른 나儺의 실태 = 26
      3. 나儺의 종류와 특징 = 47
      Ⅱ. 귀주성貴州省 도진현道眞縣 평안나平安儺 = 53
      1. 지역적 특성 = 54
      2. 나단儺壇의 구성 = 57
      3. 평안나平安儺의 내용 = 72
      4. 평안나平安儺의 특징 = 157
      Ⅲ. 호북성湖北省 은시恩施 환단신還檀神 = 165
      1. 지역적 특성 = 166
      2. 나단儺壇의 구성 = 167
      3. 환단신還檀神의 내용 = 191
      4. 환단신還檀神의 특징 = 291
      부록 - 환단신 창사
      환단신 창사還檀神唱詞 = 319
      1. 교생交牲 = 320
      2. 개단開壇 = 335
      3. 청수請水 = 354
      4. 찰조札竈 = 364
      5. 개단조신開壇操神 = 377
      6. 봉정封淨 = 389
      7. 첨압簽押 = 404
      8. 방생放生과 제저祭猪 = 424
      9. 타인打印 = 435
      10. 조도造刀 = 442
      11. 交刀 = 445
      12. 영백신迎百神 = 454
      13. 회숙回熟 = 463
      14. 탁단방병柝壇放兵= 466
      15. 발성發聲 = 472
      16. 소개산小開山 = 481
      17. 초병招兵 = 486
      18. 출영병토지 出領兵土地 = 502
      19. 찰단札壇 = 510
      20. 개훈경주開葷敬酒 = 517
      21. 기부記簿 = 523
      22. 勾銷 = 530
      23. 타홍산打紅山 = 535
      24. 송신送神 = 543
      25. 안신安神 = 549
      찾아보기 = 556

      (출처: 국립중앙도서관, http://www.dibrary.net/search/dibrary/SearchDetail.nl?category_code=ct&service=KOLIS&vdkvgwkey=86156047&colltype=DAN_HOLD&place_code_info=100&place_name_info=%EC%84%9C%EA%B3%A0%EC%9E%90%EB%A3%8C%EC%8B%A0%EC%B2%AD%EB%8C%80%281%EC%B8%B5%29&manage_code=MA&shape_code=B&refLoc=portal&category=storage&srchFlag=Y&h_kwd=%EC%95%84%EC%8B%9C%EC%95%84%EC%9D%98+%EB%AC%B4%EC%86%8D%EA%B3%BC+%EC%B6%A4+%EC%97%B0%EA%B5%AC%7C&lic_yn=N&mat_code=GM&guCode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