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안현의 ; 이나빈 ; 주혜선, "한국판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K-CERQ)의 타당화" 한국상담학회 14 (14): 1773-1794, 2013
2 권선중 ; 김교헌, "한국판 마음챙김 주의 알아차림 척도(K-MAAS)의 타당화 연구" 한국건강심리학회 12 (12): 269-287, 2007
3 전겸구, "통합적 한국판 CES-D 개발" 6 (6): 59-76, 2001
4 이유현 ; 정소희 ; 최웅용, "청소년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19 (19): 125-147, 2018
5 강석 ; 이지연, "청소년의 실제-이상 자기불일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의식과 자기침묵의 매개 효과"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1 (61): 811-839, 2013
6 임진 ; 김은정, "청소년의 실제-이상 자기 불일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수치심과 반추적 반응양식을 매개변인으로" 한국청소년학회 19 (19): 279-306, 2012
7 조은실 ; 신미연 ; 현명호, "중학생의 자기몰입과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에서 정서변별 어려움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의 이중 매개효과" 한국건강심리학회 23 (23): 167-185, 2018
8 홍은지 ; 김정민 ; 한지영, "중년기 성인의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 파국화 및 반추가 건강염려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2 (32): 289-307, 2016
9 이인혜, "자기초점주의가 자전기억의 과일반화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 자기초점주의의 적응성과 부적응성" 한국임상심리학회 27 (27): 633-651, 2008
10 권석만 ; 이지영,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 척도의 개발: 사회적 상황을 중심으로" 한국임상심리학회 24 (24): 451-464, 2005
1 안현의 ; 이나빈 ; 주혜선, "한국판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K-CERQ)의 타당화" 한국상담학회 14 (14): 1773-1794, 2013
2 권선중 ; 김교헌, "한국판 마음챙김 주의 알아차림 척도(K-MAAS)의 타당화 연구" 한국건강심리학회 12 (12): 269-287, 2007
3 전겸구, "통합적 한국판 CES-D 개발" 6 (6): 59-76, 2001
4 이유현 ; 정소희 ; 최웅용, "청소년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19 (19): 125-147, 2018
5 강석 ; 이지연, "청소년의 실제-이상 자기불일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의식과 자기침묵의 매개 효과"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1 (61): 811-839, 2013
6 임진 ; 김은정, "청소년의 실제-이상 자기 불일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수치심과 반추적 반응양식을 매개변인으로" 한국청소년학회 19 (19): 279-306, 2012
7 조은실 ; 신미연 ; 현명호, "중학생의 자기몰입과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에서 정서변별 어려움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의 이중 매개효과" 한국건강심리학회 23 (23): 167-185, 2018
8 홍은지 ; 김정민 ; 한지영, "중년기 성인의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 파국화 및 반추가 건강염려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2 (32): 289-307, 2016
9 이인혜, "자기초점주의가 자전기억의 과일반화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 자기초점주의의 적응성과 부적응성" 한국임상심리학회 27 (27): 633-651, 2008
10 권석만 ; 이지영,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 척도의 개발: 사회적 상황을 중심으로" 한국임상심리학회 24 (24): 451-464, 2005
11 서수균, "자기집중적 주의, 실제 자기개념 및 자기 안내자 선호성을 고려한 자기불일치와 우울 및 불안의 관계"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6
12 김동은, "자기불일치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29 : 89-110, 2011
13 김영수 ; 신희천, "자기불일치가 대인관계 만족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 불안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상담학회 13 (13): 745-760, 2012
14 정은옥 ; 최해연, "자기 불일치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조절효과" 한국심리치료학회 12 (12): 123-138, 2020
15 오경자 ; 정승아, "자기 불일치가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기제: 자의식의 매개효과와 자기제시 동기의 중재효과" 한국임상심리학회 24 (24): 887-901, 2005
16 심승희, "여성의 실제-이상 자기불일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수치심과 방어적 자기초점주의의 매개효과"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7 이지영 ; 권석만, "성별과 성격유형에 따른 정서조절방략 사용의 차이" 한국심리학회 28 (28): 507-524, 2009
18 김연주, "사회초년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성취관련 자기불일치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이중매개효과" 2020
19 이자영 ; 최웅용,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을 매개로 하여" 한국상담학회 13 (13): 1481-1499, 2012
20 김태곤 ; 이수진, "대학생의 자기불일치와 우울이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5 (15): 511-535, 2018
21 정승아, "다차원적 자기불일치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23 : 85-91, 2004
22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관심질병통계"
23 Brown, K. W., "When what one has is enough : Mindfulness, financial desire discrepancy, and subjective well-being" 43 (43): 727-736, 2009
24 Curran, P. J.,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1 (1): 16-29, 1996
25 Gurcan-Yildrim, G., "The association of self-discrepancy with depression and anxiety : Moderator roles of emotion regulation and resilience" 41 (41): 1821-1834, 2020
26 Hardin, E. E., "The Integrated Self-discrepancy Index : A reliable and valid measure of self-discrepancies" 91 (91): 245-253, 2009
27 Clark, D. M., "Social phobia: Diagnosis, assessment, and treatment" Guilford Press 69-93, 1995
28 Ingram, R. E., "Self-focused attention in clinical disorders : Review and a conceptual model" 107 (107): 156-176, 1990
29 Mason, T. B., "Self-discrepancy theory as a transdiagnostic framework : A meta-analysis of self-discrepancy and psychopathology" 145 (145): 372-389, 2019
30 Weilage, M., "Self-discrepancy in social phobia and dysthymia" 23 (23): 637-650, 1999
31 Pyszczynski, T., "Self-Regulatory Perseveration and the Depressive Self-Focusing Style : A Self-Awareness Theory of Reactive Depression" 102 (102): 122-138, 1987
32 Higgins, E. T., "Self-Discrepancy : A Theory Relating Self and Affect" 94 (94): 319-340, 1987
33 Rossman, B. R., "School-age children's perceptions of coping with distress : Strategies for emotion regulation and the moderation of adjustment" 33 (33): 1373-1397, 1992
34 Watkins, E. R., "Rumination-focuse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depression" Guilford Press 2018
35 Dickson, J. M., "Rumination selectively mediates the association between actual-ideal(but not actual-ought)self-discrepancy and anxious and depressive symptoms" 149 : 94-99, 2019
36 Flink I. L., "Pain Catastrophizing as Repetitive Negative Thinking : A Development of the Conceptualization" 42 (42): 215-223, 2013
37 Garnefski, N., "Negative life event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problems" 30 (30): 1311-1327, 2001
38 Kraaij, V., "Negative Life Events and Depressive Symptoms in Late Adolescence : Bonding and Cognitive Coping as Vulnerability Factors" 32 (32): 185-193, 2003
39 Gratz, K. L.,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emotion regulation and dysregulation : Development, factor structure,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 26 (26): 41-54, 2004
40 Wonderlich, S. A., "Integrative cognitive-affective therapy for bulimia nervosa: A treatment manual" Guilford Press 2015
41 Holzel, B. K., "How does mindfulness meditation work? Proposing mechanisms of action from a conceptual and neural perspective" 6 (6): 537-559, 2011
42 Carver, C. S., "Handbook of motivation and cognition: Foundations of social behavior, Vol. 2" Guilford Press 3-52, 1990
43 Kuiper, N. A., "Depressed and nondepressed content self reference in mild depressives" 50 (50): 67-80, 1982
44 Garnefski, N., "Cognitive coping strategies and symptoms of depression and anxiety : a comparison between adolescents and adults" 25 (25): 603-611, 2002
45 Tangney, J. P., "Are shame and guilt related to distinct self-discrepancies? A test of Higgins’s(1987)hypotheses" 75 (75): 256-268, 1998
46 Russell, D. W., "Analyzing data from experimental studies : A latent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45 (45): 18-29, 1998
47 배병렬, "Amos 19.0 구조방정식모델링(원리와 실제)" 청람 2011
48 Browne, M. W.,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154 : 230-258, 1993
49 Landis, R. S., "A comparison of approaches to forming composite measur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3 (3): 186-207,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