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심리상담 관련 법안의 경과규정: 현업시장의 혼란을 최소화하며 전문성을 유지하는 방향 탐색 = Transitional Provisions of the Counseling-related Bills: Exploring the Direction of Maintaining Professionalism While Minimizing Confusion in the Current Counseling Marke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453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현업 심리(상담)사들이 어떤 방식으로 신생 심리(상담)사 국가자격증을 경과조치에 의해 수여 받아야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난립하는 민간자격증의 문제, 신뢰할 수 없는 민간상담센터에 대한 이슈, 심리상담 분야의 전문화의 필요성 등 심리(상담)사와 관련하여 최종윤, 전봉민, 서정숙 의원이 각각 대표발의한 법안들의 입법 방향성을 우선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법안들에서 제시하는 경과규정과 법안의 비용추계를 통해 경과조치에 따라 신생 심리(상담)사 국가자격증을 수여받게 되는 최소/최대 인원을 추정하여 현업 공공 및 민간의 심리상담 시장의 규모를 토대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 후 핀란드와 미국의 심리상담 인력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에 필요한 심리상담 인력을 추정하였다. 나아가 대만과 일본의 경과조치 사례를 소개하며 입법의 방향성에 맞게 경과규정이 어떻게 구성되는 것이 좋을지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현업 심리(상담)사들이 어떤 방식으로 신생 심리(상담)사 국가자격증을 경과조치에 의해 수여 받아야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난립하...

      본 연구에서는 현업 심리(상담)사들이 어떤 방식으로 신생 심리(상담)사 국가자격증을 경과조치에 의해 수여 받아야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난립하는 민간자격증의 문제, 신뢰할 수 없는 민간상담센터에 대한 이슈, 심리상담 분야의 전문화의 필요성 등 심리(상담)사와 관련하여 최종윤, 전봉민, 서정숙 의원이 각각 대표발의한 법안들의 입법 방향성을 우선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법안들에서 제시하는 경과규정과 법안의 비용추계를 통해 경과조치에 따라 신생 심리(상담)사 국가자격증을 수여받게 되는 최소/최대 인원을 추정하여 현업 공공 및 민간의 심리상담 시장의 규모를 토대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 후 핀란드와 미국의 심리상담 인력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에 필요한 심리상담 인력을 추정하였다. 나아가 대만과 일본의 경과조치 사례를 소개하며 입법의 방향성에 맞게 경과규정이 어떻게 구성되는 것이 좋을지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나운환 ; 박세진 ; 서지혜, "장애인재활상담사 자격제도 도입방안 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27 (27): 107-132, 2017

      2 황해익, "유아학교 체제 구축에 따른 교원 자격 전환 연수프로그램 개발 연구" 21 (21): 411-436, 2001

      3 보건복지부, "심리서비스 입법연구" 2020

      4 국회예산정책처, "심리상담사법안:비용추계서"

      5 김현록, "손해사정사 자격 및 시험제도 개선을 위한 제언-통합 손해사정사를 중심으로-" 11 : 5-22, 2015

      6 최봉경, "부칙(附則) 연구- 그 체계적 시론 -" 법학연구소 53 (53): 243-283, 2012

      7 법제처, "법령 입안․심사 기준 2021" 법제처 법제지원총괄과 2021

      8 박근웅, "민법개정과 경과규정-상속법을 중심으로-" 법학연구원 (74) : 269-297, 2021

      9 성현모 ; 이상민, "마음건강증진을 위한 심리상담 관련 법안 비교 연구" 한국상담학회 23 (23): 19-38, 2022

      10 한강원, "기존 건축사는 어떻게 등록하는가, 경과조치는 무엇인가" 4 : 81-89, 2006

      1 나운환 ; 박세진 ; 서지혜, "장애인재활상담사 자격제도 도입방안 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27 (27): 107-132, 2017

      2 황해익, "유아학교 체제 구축에 따른 교원 자격 전환 연수프로그램 개발 연구" 21 (21): 411-436, 2001

      3 보건복지부, "심리서비스 입법연구" 2020

      4 국회예산정책처, "심리상담사법안:비용추계서"

      5 김현록, "손해사정사 자격 및 시험제도 개선을 위한 제언-통합 손해사정사를 중심으로-" 11 : 5-22, 2015

      6 최봉경, "부칙(附則) 연구- 그 체계적 시론 -" 법학연구소 53 (53): 243-283, 2012

      7 법제처, "법령 입안․심사 기준 2021" 법제처 법제지원총괄과 2021

      8 박근웅, "민법개정과 경과규정-상속법을 중심으로-" 법학연구원 (74) : 269-297, 2021

      9 성현모 ; 이상민, "마음건강증진을 위한 심리상담 관련 법안 비교 연구" 한국상담학회 23 (23): 19-38, 2022

      10 한강원, "기존 건축사는 어떻게 등록하는가, 경과조치는 무엇인가" 4 : 81-89, 2006

      11 신현구, "국가공인 산업보안관리사(ISE) 자격제도의 태동에 관한 고찰과 발전방안" 한국경호경비학회 (67) : 145-166, 2021

      12 백문흠, "경과조치에 관한 입법례 연구" 521 : 22-35, 2001

      13 日本心理研修センター, "第1回公認心理師試験(平成30年9月9日実施分)合格者の内訳 [제1회 공인심리사시험(2018년 9월 9일 실시분) 합격자 내역]"

      14 日本心理研修センター, "第1回公認心理師試験(平成30年12月16日実施分)合格者の内訳 [제1회 공인심리사시험(2018년 12월 16일실시분) 합격자 내역]"

      15 衛生福利部統計處, "機構執業醫事人員數及每萬人口執業醫事人員數[지역별 기관 의료종사자 수 및 인구 만명당 의료종사자 수 통계]"

      16 全國法規資料庫, "心理師法[심리사법]"

      17 厚生労働省, "公認心理師法施行規則[공인심리사법 시행규칙]"

      18 厚生労働省, "公認心理師法[공인심리사법]"

      19 文部科学省, "公認心理師のカリキュラム等について[공인심리사의 커리큘럼등에 관하여]"

      20 보건복지부, "「2021년 코로나19 국민정신건강 실태조사」분기별 결과 발표"

      21 考選部, "94年考選統計年報[2005 시험통계 연보]"

      22 考選部, "110年考選統計年報[2021 시험통계연보]"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9-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Counseling Association (KCA)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5-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 jounal of counseling -> Korea Journal of Counseling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2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 jounal of counseling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9 2.19 2.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45 2.48 3.426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