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도시기후 변화 대응 생태단지 조성 기술 개발  :  (Technology on Developing Eco-Housing estate that Countermeasures Urban Climate Chang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427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eveloping technology on Urban Construction system development for leading fitness of water circulation in large scale development sites(Especially the artificial ground) which causes urban climate change and urban ecology problems. Developing technology on Ecology Complex Development System for acquiring the ecologocal fitness of the artificial ground which is known as the ecological barren land. Developing technology on water circulation system for artificial ground by applying the concept of "Zero emission." Qualitative Objective: -Developing ecological fitness evaluation system for complex scale development sites. -Development technology on water circulation fitness system for artificial ground by applying the concept of "Decentral rain water management,' developing technology on water circulation fitness package for artificial ground and commercializing such technologies - Developing Eco Complex Model by applying resources톏nergy circulation process system to minimize side effects such as climate changes and operating Test-Bed. Quantitative Objective: - Developing 3D "Eco points" evaluation methods (Improving the existing 3D based "Biotop Area Ratio") - Water circulation for artificial ground to achieve 0% initial discharge of storm sewage - Maximum discharge of storm sewage of the water circulation adopted artificial ground shall be below 25% (Level of natural occurrence) - Achieving 60% on the Biotop Area Ratio from the Eco Complex Model (Average of 30% for the household grade certified complex)
      번역하기

      Developing technology on Urban Construction system development for leading fitness of water circulation in large scale development sites(Especially the artificial ground) which causes urban climate change and urban ecology problems. Developing technol...

      Developing technology on Urban Construction system development for leading fitness of water circulation in large scale development sites(Especially the artificial ground) which causes urban climate change and urban ecology problems. Developing technology on Ecology Complex Development System for acquiring the ecologocal fitness of the artificial ground which is known as the ecological barren land. Developing technology on water circulation system for artificial ground by applying the concept of "Zero emission." Qualitative Objective: -Developing ecological fitness evaluation system for complex scale development sites. -Development technology on water circulation fitness system for artificial ground by applying the concept of "Decentral rain water management,' developing technology on water circulation fitness package for artificial ground and commercializing such technologies - Developing Eco Complex Model by applying resources톏nergy circulation process system to minimize side effects such as climate changes and operating Test-Bed. Quantitative Objective: - Developing 3D "Eco points" evaluation methods (Improving the existing 3D based "Biotop Area Ratio") - Water circulation for artificial ground to achieve 0% initial discharge of storm sewage - Maximum discharge of storm sewage of the water circulation adopted artificial ground shall be below 25% (Level of natural occurrence) - Achieving 60% on the Biotop Area Ratio from the Eco Complex Model (Average of 30% for the household grade certified complex)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기후변화 및 도시 생태문제의 원인을 제공하는 대규모 개발 공간(특히, 인공지반)의 물순환 건전화를 위한 도시건축시스템 구축 기술 개발. 생태적 불모지인 인공지반의 생태적 건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생태단지 조성 시스템 구축 기술 개발. "Zero emission" 개념을 적용한 인공지반의 물순환 건전화 시스템 기술 개발. 정성적 목표: - 단지규모 개발 공간의 생태적 건전성 평가시스템 개발 - "분산식 빗물관리(Decentral rain water management)" 개념을 적용한 인공지반의 물순환 건전화시스템 구축 기술 개발 및 물순환 건전화 인공지반 패키지 기술 개발 및 상품화 - 자원·에너지 순환형 공급처리시스템 적용을 전제로 한 기후변화 영향 최소화 생태단지모델 개발 및 Test-Bed 운영. 정량적 목표: - 3차원 "생태건전성 지표(Eco points)" 평가기법 개발(기존 2차원 '생태면적률' 개선) - 물순환 건전화 인공지반 초기우수유출율 0% -물순환 건전화 인공지반 최대 우수유출량은 연강수량의 25% 이하(자연 수준) - 생태단지 모델의 생태면적률 60%(주택성능등급 인정 단지가 30%수준)
      번역하기

      기후변화 및 도시 생태문제의 원인을 제공하는 대규모 개발 공간(특히, 인공지반)의 물순환 건전화를 위한 도시건축시스템 구축 기술 개발. 생태적 불모지인 인공지반의 생태적 건전성을 확...

      기후변화 및 도시 생태문제의 원인을 제공하는 대규모 개발 공간(특히, 인공지반)의 물순환 건전화를 위한 도시건축시스템 구축 기술 개발. 생태적 불모지인 인공지반의 생태적 건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생태단지 조성 시스템 구축 기술 개발. "Zero emission" 개념을 적용한 인공지반의 물순환 건전화 시스템 기술 개발. 정성적 목표: - 단지규모 개발 공간의 생태적 건전성 평가시스템 개발 - "분산식 빗물관리(Decentral rain water management)" 개념을 적용한 인공지반의 물순환 건전화시스템 구축 기술 개발 및 물순환 건전화 인공지반 패키지 기술 개발 및 상품화 - 자원·에너지 순환형 공급처리시스템 적용을 전제로 한 기후변화 영향 최소화 생태단지모델 개발 및 Test-Bed 운영. 정량적 목표: - 3차원 "생태건전성 지표(Eco points)" 평가기법 개발(기존 2차원 '생태면적률' 개선) - 물순환 건전화 인공지반 초기우수유출율 0% -물순환 건전화 인공지반 최대 우수유출량은 연강수량의 25% 이하(자연 수준) - 생태단지 모델의 생태면적률 60%(주택성능등급 인정 단지가 30%수준)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전체 연구 개요
      • 1. 연구 개요
      • 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1.2 연구 목표
      • 2. 관련 기술의 국내외 현황
      • 제1장 전체 연구 개요
      • 1. 연구 개요
      • 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1.2 연구 목표
      • 2. 관련 기술의 국내외 현황
      • 2.1 국내 현황
      • 2.2 국외 현황
      • 3. 연구내용
      • 3.1 총괄 연구내용
      • 3.2 연차별 세부 내용
      • 3.3 기술 지도(Technology Road Map)
      • 4. 연구 추진체계 및 일정
      • 5. 연구성과 활용 방안
      • 5.1 기술개발 결과 활용 방안
      • 5.2 기대효과
      • 6. 개발 기술 수명 주기
      • 제2장 목표 달성 가능성 분석
      • 1. 관련 특허 분석
      • 1.1 특허분석의 중요성
      • 1.2 특허분석 범위의 설정
      • 2. 생태단지 조성에 따른 도시열섬현상 저감 효과
      • 2.1 저감효과 산정을 위한 모델 분석
      • 2.2 생태단지 열섬저감효과 분석 사례
      • 2.3 CFD를 응용한 생태단지 열섬저감효과 해석결과
      • 2.4 생태단지 조성에 따른 냉방에너지 절약효과 예측
      • 3. 생태단지 조성에 따른 우수유출 저감 효과
      • 3.1 강우-유출 모형
      • 3.2 생태단지 우수유출 저감 사례
      • 3.3 Rain City를 이용한 생태단지 우수유출량 저감효과 시뮬레이션
      • 3.4 우수유출 저감에 따른 공사비 절감효과 예측
      • 제3장 개발공간의 생태적 건전성 평가
      • 1. 생태건전성 지수 개발 및 적용
      • 1.1 지수개발의 필요성 및 활용
      • 1.2 생태적 건전성 지수개발 연구 방향
      • 1.3 생태지표 관련사례 분석
      • 1.4 생태건전성 지수 개발 방향 설정
      • 2. 기후영향 평가모델 개발
      • 2.1 열에너지 경계모델 개발방안
      • 2.2 생태단지 미기후개선효과 계량모델(AirCity model) 개발방안
      • 3. 생태적 건전성 평가를 위한 원단위 실험구 조성
      • 3.1 실험구 조성 목적
      • 3.2 국내외 유사 실험구 사례
      • 3.3 Experiment Design
      • 제4장 인공지반 생태화 시스템 개발
      • 1. 인공지반 기술현황 분석
      • 1.1 인공지반조성의 정의 및 적용범위
      • 1.2 건축분야에서의 인공지반 적용유형
      • 1.3 공동주택단지의 인공지반 구성사례
      • 2. 인공지반 생태화 시스템 개발
      • 2.1 개발방향 및 목표
      • 2.2 시스템의 구성 및 작동개요
      • 2.3 시스템 현장 적용 방안
      • 제5장 저탄소 생태단지 개발
      • 1. 생태적 건전성 확보가 용이한 주거유형 개발
      • 1.1 생태단지 개발의 필요성
      • 1.2 컴팩트 시티(Compact City)의 고찰
      • 1.3 저층·고밀형 생태주거단지의 사례고찰
      • 1.4 한국의 주거 Needs 검토
      • 1.5 법 제도여건 검토
      • 2. 자원·에너지 순환형 공급처리시스템 Concept 제안
      • 2.1 저탄소 생태단지 공급처리시스템 개념 설정
      • 2.2 단지규모 에너지/자원 순환이용체계 제안
      • 3. Test Bed 계획
      • 3.1 Test Bed 조성개요
      • 3.2 Test Bed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 제6장 맺음말 및 차년도 연구방향
      • 1. 연구성과 요약 및 맺음말
      • 2. 향후 연구방향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