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전자구개도를 사용하여 한국어의 치경마찰음인 /ㅅ/와 /ㅆ/를 조음운동적 측면에서 비교 분석해보고, 치경마찰음 조음 시 나타나는 혀-구개 접촉에 관한 정보를 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08262
2021
-
전자구개도 ; 치경마찰음 ; 조음운동 ; 바이오 피드백 ; Electropalatography ; EPG ; Korean fricatives ; Biofeedback
370
KCI등재,SCOPUS,ESCI
학술저널
485-500(16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전자구개도를 사용하여 한국어의 치경마찰음인 /ㅅ/와 /ㅆ/를 조음운동적 측면에서 비교 분석해보고, 치경마찰음 조음 시 나타나는 혀-구개 접촉에 관한 정보를 제...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전자구개도를 사용하여 한국어의 치경마찰음인 /ㅅ/와 /ㅆ/를 조음운동적 측면에서 비교 분석해보고, 치경마찰음 조음 시 나타나는 혀-구개 접촉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방법: 한국어가 모국어이며 발음에 문제가 없는 정상 성인 5명이 전자구개도를 착용하여 치경마찰음을 분절음 차원에서뿐 아니라 단어 내 위치 및 모음문맥을 달리하여 녹음한 후 팰라토그램을 분석하였다. 결과: 그 결과, /ㅅ/와 /ㅆ/는 협착의 너비와 혀-구개 최대접촉구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ㅆ/에서 협착의 너비가 더 좁고 전체 혀-구개 접촉구간은 더 넓게 나타났다. 단어 내 위치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고모음인 /ㅣ/ 문맥에서는 저모음인 /ㅏ/에 비해 협착의 위치가 후방화되었으며, 지속시간도 가장 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혀-구개 접촉 구간도 가장 넓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전자구개도를 사용하여 한국어 치경마찰음의 혀와 구개 접촉에 관한 정보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갖는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형 전자구개도의 개발의 기초자료로써 그 의미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is aimed an electropalatographic investigation of Korean fricatives /s/ and /s*/. All data from this study is based on the production of 5- adult speakers who speak Korean as their first language. Methods: Electropalatogr...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is aimed an electropalatographic investigation of Korean fricatives /s/ and /s*/. All data from this study is based on the production of 5- adult speakers who speak Korean as their first language. Methods: Electropalatography (EPG) is an instrumental technique for showing tongue and palate contact during speech. The participants recorded /s/ and /s*/ in CV (/si/, /sɑ/, /su/, /s*i/, /s*ɑ/, /s*u/) and VCV (/ɑsi/, /ɑsɑ/, /ɑsu/, /ɑs*i/, /ɑs*ɑ/, /ɑs*u/) context using EPG and then, four variables were analyzed: row of medial groove (RMG), medial groove width (MGW), medial groove length (MGL), and maximum contact frame (MCF). Results: There was significantly greater medial groove width and maximum contact frame for / s*/ compared to /s/. The difference between /si/ and /sɑ/ was also found in the row of medial groove, medial groove width and maximum contact frame. /si/ was produced further back, and had a longer medial groove length. Also, it showed more total tongue-palate contact than /sa/. Conclusion: A various range of palatal contact patterns were found between typical adults for perceptually normal /s/ and /s*/. The results provided the information about tongue–palate pattern of Korean fricatives /s/ and /s*/. These findings would be utilized to build the basic data and useful information for Korean EPG system.
참고문헌 (Reference)
1 백운일, "한국어 자음의 긴장도 증가에 따른 조음변화에 관한 연구" 동아시아문화연구소 (47) : 243-258, 2010
2 김미진, "파찰음, 마찰음, 유음의 왜곡 오류에 대한 발달 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5 (25): 441-457, 2020
3 우승탁, "의사소통장애인의 조음치료를 위한 한국형 전자구개도의 구현" 한국센서학회 28 (28): 299-304, 2019
4 Mcleod, S., "Tongue/palate contact for the production of /s/ and /z/" 20 (20): 51-66, 2006
5 Wood, S., "The use of electropalatography(EPG)in the assessment and treatment of motor speech disorders in children with Down’s syndrome : evidence from two case studies" 12 (12): 66-75, 2009
6 Cheon, H. J., "The development of Korean /s/ and /s*/ in normal children of age 2-7 years" 4 : 37-60, 1999
7 Baik, W. I., "On tensity of Korean fricatives(Electropalatographic Study)" 4 (4): 135-145, 1998
8 Shin, J. Y., "Korean phonetics and phonology" Pagijong 2014
9 McAuliffe, M. J., "Intervention for lateral /s/ using electropalatography(EPG)biofeedback and an intensive motor learning approach : a case report" 43 (43): 219-229, 2008
10 Gibbon, F., "Instrumental analysis of articulation in speech impairment" Blackwell Publishing 2008
1 백운일, "한국어 자음의 긴장도 증가에 따른 조음변화에 관한 연구" 동아시아문화연구소 (47) : 243-258, 2010
2 김미진, "파찰음, 마찰음, 유음의 왜곡 오류에 대한 발달 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5 (25): 441-457, 2020
3 우승탁, "의사소통장애인의 조음치료를 위한 한국형 전자구개도의 구현" 한국센서학회 28 (28): 299-304, 2019
4 Mcleod, S., "Tongue/palate contact for the production of /s/ and /z/" 20 (20): 51-66, 2006
5 Wood, S., "The use of electropalatography(EPG)in the assessment and treatment of motor speech disorders in children with Down’s syndrome : evidence from two case studies" 12 (12): 66-75, 2009
6 Cheon, H. J., "The development of Korean /s/ and /s*/ in normal children of age 2-7 years" 4 : 37-60, 1999
7 Baik, W. I., "On tensity of Korean fricatives(Electropalatographic Study)" 4 (4): 135-145, 1998
8 Shin, J. Y., "Korean phonetics and phonology" Pagijong 2014
9 McAuliffe, M. J., "Intervention for lateral /s/ using electropalatography(EPG)biofeedback and an intensive motor learning approach : a case report" 43 (43): 219-229, 2008
10 Gibbon, F., "Instrumental analysis of articulation in speech impairment" Blackwell Publishing 2008
11 Gibbon, F., "Electropalatography for older children and adults with residual speech errors" 36 (36): 271-282, 2015
12 Lee, A., "Electropalatography for articulation disorders associated with cleft palate" 3 : 2009
13 Liker, M., "Electropalatographic specification of Croatian fricatives /s/ and /z/" 26 (26): 199-215, 2012
14 Stone, M., "Cross-sectional tongue shape and linguopalatal contact patterns in [s], [ʃ], and [l]" 20 (20): 253-270, 1992
15 Shriberg, L. D., "Clinical Phonetics" Pearson Education 2013
16 Recasens, D., "An electropalatographic and acoustic study of affricates and fricatives in two Catalan dialects" 37 (37): 143-172, 2007
17 Pyo, H. Y., "An acoustic and aerodynamic study of Korean fricatives and affricates" 6 (6): 160-176, 1999
18 Lee, K. H., "Acoustic characteristics and auditory cues for Korean lax vs. tense fricative distinction" 19 (19): 95-100, 2000
19 Dagenais, P. A., "A study of voicing and context effects upon consonant linguapalatal contact patterns" 22 (22): 225-238, 1994
18-36개월 말 늦은 아동과 생활연령 및 표현어휘능력이 일치하는 일반 아동의 초기 어휘발달의 차이
진행성 실어증 환자의 보호자 보고에 의한 의사소통 관련 주호소의 주제 및 빈도 분석
시각적 피드백 유무에 따른 인공와우이식 청년의 음성조절능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18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 ![]() |
2013-03-2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br>외국어명 :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 ![]() |
2012-12-18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언어청각장애연구</br>외국어명 :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 ![]() |
2007-06-25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언어청각장애연구</br>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 ![]() |
2006-09-13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언어청각장애연구</br>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 ![]() |
2005-10-14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언어청각장애연구</br>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3 | 1.13 | 1.1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1 | 1.18 | 1.626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