랫드의 치아에서 발생하는 종양에는 에니멜모세포종 (ameloblastoma), 애나멜모세포성 치아 종 (ameloblastic odontoma), 치아종(odontoma)이 있다. 예나멜모세포종은 상피종양으로서 법랑질 (enamel), 상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665143
2000
-
500
학술저널
27-27(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랫드의 치아에서 발생하는 종양에는 에니멜모세포종 (ameloblastoma), 애나멜모세포성 치아 종 (ameloblastic odontoma), 치아종(odontoma)이 있다. 예나멜모세포종은 상피종양으로서 법랑질 (enamel), 상아...
랫드의 치아에서 발생하는 종양에는 에니멜모세포종 (ameloblastoma), 애나멜모세포성 치아 종 (ameloblastic odontoma), 치아종(odontoma)이 있다. 예나멜모세포종은 상피종양으로서 법랑질 (enamel), 상아질(dentin), 시멘트칠(cementum)올 형성하지 않는다. 대부분의 에나벨모세포종은 소포성 (follicular) 성장이나 열기상 (plexiform) 성장방식을 띠게 원다. 에나멜모세포성 치아종 (ameloblastic odontoma)은 치조직 종양으로서 에나멜모세포총 같이 연조직으로 된 부분과 치아 종 (odontoma) 처럼 상아질, 법랑질, 시멘트질과 같은 딘단한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에나멜모 세포종을 닮은 연조직 구성성분은 일반적으로 종괴의 주변부에 위치하고 치아종을 닮은 단단한 조직 성분은 대개 중심에 위치한다. 에나멜모세포 성분은 공격적 성향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 치 아종은 상아질과 볍랑질 모두 발생되는 딘계까지 성숙이 진행펀 치조직 종양을 말한다. 랫드에 서는 복잡치아종 (complex odontoma)과 복합치아종 (compound odontoma)의 두 가지 유형이 알려져 있다. 이 두 가지 치아총은 연조직 성분만올 갖고있는 에나벨모세포 조직으로 된 뚜렷한 지역이 없다는 것이 에나멜모세포총과의 차이점이다 복잡치아종은 치수간엽세포 (짧麗間葉細胞)를 함유하고 있지만 형태적인 분화가 매우 미약하여 정상적인 치아구조를 거의 닮지 않은 종괴를 형성하게 된다. 반대로 복합치아종은 형태적인 분화도가 매우 높고 정조직성분이 실제로 작은 변형치아 (deformed teeth)를 닮아 있다. 일반적으로 경조직은 상아칠 (세포가 없고 부드러운 호산성 물질)과 마치 뼈를 닮은 소량의 시멘트질로 구성되어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발생례는 methylnitrosourea를 투여한 수의 암컷 SD 랫드에서 발견된 것으로 나이는 33주령이 었으며 부김시애 관철된 육안소견은 좌측 하악골에 3x3x2 cm 크기의 종괴이었다. 조직학적 특정을 보면 상피세포성분과 간엽세포성분이 혼재된 종양세포퉁지를 형성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퉁지에는 dentin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부에서는 짙은 호산성의 에니-멜층도 관찰되고 있다. 순수 상피세포성분으로 된 연조직은 관찰되지 않으며 대부분 경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디, 이러 한 조직학적 특정은 분류기준에 의하여 복잡치아종(complex odontoma)의 발생으로 진딘된다.
Mammary Gland Adenocarcinoma in a Mandrill
Diagnosis of Neospora caninum Infection by PCR using Formalin-fixed, paraffin-embedded tissues
The Modifying Effect of Indole-3-Carbinol (I3C) in rat mammary carcinogenesis
Postweaning Multisystemic Wasting Syndrome -Case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