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무용전공대학생의 전문체력요인 특성분석 - 한국무용과 현대무용 중심으로 - = An Analysis of the Physical Fitness Factor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 Focusing on Korean dance and modern dance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102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dance and modern dance majors are compared and analyzed, and professional physical factors are extra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formation of individualized professional physical training programs of Korean dance and modern danc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t was selected by women majoring in Korean dance and modern dance at a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in 2020, and the measurement of the physical strength of 10 subfactors of eight physical factors such as muscle strength, muscle endurance, muscle power, agility, equilibrium, flexibility, full-body response, and continuous muscle function was conducted. The processing of the data was based on an independent t-test between Korean dance and modern dance majors, calculating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variables (M±SD), and setting a=.05 when testing the hypothesis. In addition, in order to identify the professional physical factors required for each major, after the correlation matrix of the 9 variables, the factors of the underlying concepts were to be extracted, and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carried out. In the case of axis rotation, Varimax rotation, a method of right-angle rotation, was used.
      First, as a result of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e required professional fitness factor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Korean dance and modern dance differed from major to major. Third,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the average of physical fitness items between group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rip strength, equilibrium factor, and flexibility factors, and the ascending muscular function of the body showed very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le power (180°/s) and muscle endurance (200°/s). When these results are combined,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professional physical factors of the two groups, so it is believed that specialized training considering the physical strength of each group should be conduct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dance and modern dance majors are compared and analyzed, and professional physical factors are extra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formation of individualized professional physical 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dance and modern dance majors are compared and analyzed, and professional physical factors are extra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formation of individualized professional physical training programs of Korean dance and modern danc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t was selected by women majoring in Korean dance and modern dance at a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in 2020, and the measurement of the physical strength of 10 subfactors of eight physical factors such as muscle strength, muscle endurance, muscle power, agility, equilibrium, flexibility, full-body response, and continuous muscle function was conducted. The processing of the data was based on an independent t-test between Korean dance and modern dance majors, calculating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variables (M±SD), and setting a=.05 when testing the hypothesis. In addition, in order to identify the professional physical factors required for each major, after the correlation matrix of the 9 variables, the factors of the underlying concepts were to be extracted, and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carried out. In the case of axis rotation, Varimax rotation, a method of right-angle rotation, was used.
      First, as a result of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e required professional fitness factor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Korean dance and modern dance differed from major to major. Third,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the average of physical fitness items between group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rip strength, equilibrium factor, and flexibility factors, and the ascending muscular function of the body showed very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le power (180°/s) and muscle endurance (200°/s). When these results are combined,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professional physical factors of the two groups, so it is believed that specialized training considering the physical strength of each group should be conduc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무용과 현대무용 전공 간 전문체력을 비교, 분석하여 차이를 규명하고, 전문 체력요인을 추출하여 한국무용과 현대무용의 개별화 된 전문 체력 훈련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20년경기도 지역에 소재하는 대학교 무용과에 재학 중인 여성 한국무용, 현대무용전공자 대상으로 선정하여 8개의 체력요인 근력, 근지구력, 순발력, 민첩성, 평형성, 유연성, 전신반응, 등속성 근기능의 하위요인 10개에 대한 체력측정을 진행하였다. 자료처리는 한국무용과 현대무용 전공 간 독립 t-test를 적용하여 변인의 평균과 표준편차(M±SD)를 산출하였고, 가설검정 시 a=.05로 설정하였다. 또한 각 전공에서 요구되는 전문체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9개의 변인에 대한 상관행렬을 우선 구한 뒤 내재된 개념의 요인들을 추출하기 위해 주성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축회전은 직각회전 방법인 Varimax rotation을 사용하였다.
      첫째, 주성분분석결과 한국무용, 현대무용전공 대학생의 요구되는 전문체력요인들은 전공마다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집단 간 체력항목의 평균차이를 분석한 결과 근력항목인 악력과 평형성요인, 유연성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체간의 등속성 근기능은 순발력(180°/s), 근지구력(200°/s)에서 매우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보았을 때, 두 집단의 전문체력요인은 각각 차이가 있기 때문에 각 집단의 체력을 고려한 전문훈련이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한국무용과 현대무용 전공 간 전문체력을 비교, 분석하여 차이를 규명하고, 전문 체력요인을 추출하여 한국무용과 현대무용의 개별화 된 전문 체력 훈련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

      본 연구는 한국무용과 현대무용 전공 간 전문체력을 비교, 분석하여 차이를 규명하고, 전문 체력요인을 추출하여 한국무용과 현대무용의 개별화 된 전문 체력 훈련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20년경기도 지역에 소재하는 대학교 무용과에 재학 중인 여성 한국무용, 현대무용전공자 대상으로 선정하여 8개의 체력요인 근력, 근지구력, 순발력, 민첩성, 평형성, 유연성, 전신반응, 등속성 근기능의 하위요인 10개에 대한 체력측정을 진행하였다. 자료처리는 한국무용과 현대무용 전공 간 독립 t-test를 적용하여 변인의 평균과 표준편차(M±SD)를 산출하였고, 가설검정 시 a=.05로 설정하였다. 또한 각 전공에서 요구되는 전문체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9개의 변인에 대한 상관행렬을 우선 구한 뒤 내재된 개념의 요인들을 추출하기 위해 주성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축회전은 직각회전 방법인 Varimax rotation을 사용하였다.
      첫째, 주성분분석결과 한국무용, 현대무용전공 대학생의 요구되는 전문체력요인들은 전공마다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집단 간 체력항목의 평균차이를 분석한 결과 근력항목인 악력과 평형성요인, 유연성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체간의 등속성 근기능은 순발력(180°/s), 근지구력(200°/s)에서 매우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보았을 때, 두 집단의 전문체력요인은 각각 차이가 있기 때문에 각 집단의 체력을 고려한 전문훈련이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원예, "현대 무용의 창조적 움직임에 대한 미학적 분석" 청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 한국스포츠개발원, "한국스포츠 개발원 체력 측정 및 평가 매뉴얼Ⅱ"

      3 허종선, "한국무용전공자의 경력에 따른 체력과 심폐기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4 김해리, "한국무용 전공자의 숙련도별 굴신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9

      5 정현정, "한국무용 외발 뛰기 착지 동작의 운동 역학적 분석"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6 이경옥, "한국무용 굴신동작의 숙련도별, 장단길이별 역학적 분석" 19 (19): 295-320, 1996

      7 조문식 ; 권태원, "평형성(balance) 능력이 사이드스텝 테스트(side-step test) 결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4 (24): 1603-1611, 2015

      8 손유남, "태권도 뒤차기 동작 시 근 활성도 분석" 한국스포츠학회 15 (15): 957-967, 2017

      9 남덕현, "체육측정평가 에센스" 대경북스 2009

      10 탁지현, "유산소성 트레이닝이 발레무용수의 심폐기능, 혈중피로요인 및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교육학회 23 (23): 227-249, 2012

      1 김원예, "현대 무용의 창조적 움직임에 대한 미학적 분석" 청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 한국스포츠개발원, "한국스포츠 개발원 체력 측정 및 평가 매뉴얼Ⅱ"

      3 허종선, "한국무용전공자의 경력에 따른 체력과 심폐기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4 김해리, "한국무용 전공자의 숙련도별 굴신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9

      5 정현정, "한국무용 외발 뛰기 착지 동작의 운동 역학적 분석"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6 이경옥, "한국무용 굴신동작의 숙련도별, 장단길이별 역학적 분석" 19 (19): 295-320, 1996

      7 조문식 ; 권태원, "평형성(balance) 능력이 사이드스텝 테스트(side-step test) 결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4 (24): 1603-1611, 2015

      8 손유남, "태권도 뒤차기 동작 시 근 활성도 분석" 한국스포츠학회 15 (15): 957-967, 2017

      9 남덕현, "체육측정평가 에센스" 대경북스 2009

      10 탁지현, "유산소성 트레이닝이 발레무용수의 심폐기능, 혈중피로요인 및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교육학회 23 (23): 227-249, 2012

      11 고기준, "웰빙시대의 맟춤운동과건강" 도서출판 한미의학 2008

      12 고의석, "운동학습과 수행 원리와 적용" 도서출판 한미의학 2016

      13 정미송 ; 최성이 ; 심재희 ; 탁지현, "여자대학생 한국무용 전공자와 비전공자의 신체조성, 기초체력 및 유산소성 운동능력의 비교 연구" 한국무용예술학회 17 (17): 251-271, 2006

      14 편집포럼, "스포츠의학/운동과학대사전" 대경북스 2005

      15 조용인, "스포츠비전 검사 도구 개발과 좌우 뇌 선호도의 평가"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4

      16 김지은, "생체역학 기반 발레 부상예방을 위한 턴아웃 교수지침 개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17 박양선 ; 김지혜, "상지이용유무에 따른 현대무용 아라베스크 턴 동작의 운동역학적 분석" 한국운동역학회 19 (19): 457-466, 2009

      18 배승기, "밴드 트레이닝이 뇌졸중 환자의 신체조성 및 체력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2008

      19 권윤방, "무용학" 도서출판 금광 1994

      20 김진수, "무용전학생의 체격 및 체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3) : 1995

      21 金明美, "무용전공여대생의 체격, 신체조성 및 체력특성에 관한 연구" 啓明大學校 敎育大學院 1996

      22 이정아, "무용전공별 여대생의 체조성과 심폐기능 및 기초체력의 비교" 경성대학교 대학원 2003

      23 허정, "무용전공별 신체조성과 체력에 관한 연구" 5 (5): 69-81, 1997

      24 박인영 ; 오덕자, "무용 전공별 경력에 따른 여고생의 신체구성 및 체력 특성 분석" 한국여성체육학회 25 (25): 85-96, 2011

      25 백순기, "대학 무용전공자의 부상과 재활에 대한 인식 탐색" 한국스포츠학회 17 (17): 1551-1557, 2019

      26 양선희, "기초체력 훈련이 한국 창작 무용수의 기교발현 및 생리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8

      27 국민체력인증, "국민체력100 사업 설명"

      28 문영, "과제속박 유형에 따른 무용수의 기술수준별 협응구조 변화" 7 : 153-162, 1997

      29 文善姬, "韓國舞踊 基本動作의 筋電圖的 分析 : 下肢筋을 中心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81

      30 閔賢珠, "舞踊專攻學生의 體格·體力 및 心肺機能에 관한 연구" 慶熙大學校 體育科學大學院 1997

      31 金且用, "種目別 運動選手의 體力特性에 關한 硏究" 高麗大學校 大學院 1987

      32 최여림 ; 김주섭, "TransMotion: A ML-based Ballet Experience System for Enhancing Physical Self-Efficacy" Digital Contents Society 20 (20): 1701-1708, 2019

      33 Fleishman, E. A, "The structure and measurement of physical fitness" Prentice Hall 207-, 1964

      34 신진이 ; 이기혁 ; 송홍선 ; 전병오, "Relationship between Eyes-Hands Coordination Test and Reaction time Test: Agreement of evaluation standards"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1 (21): 47-58, 2019

      35 조준희,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among Toe Linear Velocity, Hip Joint Angular Velocity, Ground Reaction Force and Center of Mass for the Best Performance of the Ballet Movement Grand Battement Devant" 한국무용과학회 37 (37): 19-27, 2020

      36 권태원 ; 조혜수, "A Study on the Way of Training for physical fitness for players of Tae Kwon Do Demonstration and Gyurugi(Competition)" The Korean Society of Sports Science 26 (26): 1217-1225,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4-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 무용과학회지 -> 한국무용과학회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 1.2 1.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 1.18 1.151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