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문화 현상에 관한 국어 의식 교육의 가능성 - 비판적 언어인식의 관점을 바탕으로 - = A Possibility of Korean Language Awareness Education for Multi-cultural Phenomenon - Based on Critical Language Awareness Perspective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785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a possibility of Korean language awareness education for the multi-cultural phenomenon on a basis of critical language awareness.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finds out a relationship between Korean language awareness education and the multicultural phenomenon. Korean language awareness educational contents could be arranged by the studies of critical language awareness. And then, this study grasps the text types representing the multi-cultural phenomenon as an object of the critical language awareness. These text types could be systematized not by traditional text categorization but by the tendency of the awareness of language users. Finally, this study suggests an example of Korean language awareness for the multi-cultural phenomenon as the educational contents by the critical analyzing the newspaper texts. Especially, this study shows a way of the awareness by analyzing texts which has the related vocabulary, “mutli-cultur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a possibility of Korean language awareness education for the multi-cultural phenomenon on a basis of critical language awareness.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finds out a relationship between Kore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a possibility of Korean language awareness education for the multi-cultural phenomenon on a basis of critical language awareness.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finds out a relationship between Korean language awareness education and the multicultural phenomenon. Korean language awareness educational contents could be arranged by the studies of critical language awareness. And then, this study grasps the text types representing the multi-cultural phenomenon as an object of the critical language awareness. These text types could be systematized not by traditional text categorization but by the tendency of the awareness of language users. Finally, this study suggests an example of Korean language awareness for the multi-cultural phenomenon as the educational contents by the critical analyzing the newspaper texts. Especially, this study shows a way of the awareness by analyzing texts which has the related vocabulary, “mutli-cul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규훈, "표현 의도를 탐구하는 어휘 교육의 설계 요소 탐색 - 타당한 어휘 사용 교육의 체계화를 위하여" 국어교육학회 54 (54): 5-33, 2019

      2 국민일보, "외가는 남성 중심 표현 … 혼혈아·다문화는 배타적 용어"

      3 김병건, "신문의 사설・칼럼에 나타난 ‘진보’에 대한 비판적 담화 분석" 한국사회언어학회 24 (24): 65-90, 2016

      4 유선영, "새로운 신문 기사 스타일 -역피라미드 스타일의 한계와 대안-" 한국언론재단 2001

      5 정영근, "상호문화교육의 일반교육학적 고찰" 한국교육철학학회 (37) : 29-42, 2006

      6 문종철, "비판적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비판적 담화분석 활용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16

      7 김은성, "비판적 언어인식에 대한 연구" 15 : 323-355, 2005

      8 김유미, "비판적 담화분석을 활용한 읽기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9 최윤선, "비판적 담화분석" 한국문화사 [서울] 2014

      10 김규훈, "문법교육에서 ‘국어 의식’의 교육 내용 체계화 방안 -‘언어인식(language awareness)’의 전이를 중심으로-" 우리말글학회 83 : 1-26, 2019

      1 김규훈, "표현 의도를 탐구하는 어휘 교육의 설계 요소 탐색 - 타당한 어휘 사용 교육의 체계화를 위하여" 국어교육학회 54 (54): 5-33, 2019

      2 국민일보, "외가는 남성 중심 표현 … 혼혈아·다문화는 배타적 용어"

      3 김병건, "신문의 사설・칼럼에 나타난 ‘진보’에 대한 비판적 담화 분석" 한국사회언어학회 24 (24): 65-90, 2016

      4 유선영, "새로운 신문 기사 스타일 -역피라미드 스타일의 한계와 대안-" 한국언론재단 2001

      5 정영근, "상호문화교육의 일반교육학적 고찰" 한국교육철학학회 (37) : 29-42, 2006

      6 문종철, "비판적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비판적 담화분석 활용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16

      7 김은성, "비판적 언어인식에 대한 연구" 15 : 323-355, 2005

      8 김유미, "비판적 담화분석을 활용한 읽기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9 최윤선, "비판적 담화분석" 한국문화사 [서울] 2014

      10 김규훈, "문법교육에서 ‘국어 의식’의 교육 내용 체계화 방안 -‘언어인식(language awareness)’의 전이를 중심으로-" 우리말글학회 83 : 1-26, 2019

      11 김진희, "문법 태도 교육 내용으로서 ‘국어 사랑과 국어 의식’에 대한 비판적 소고-국어과 교육과정 및 국어 교과서에 제시된 양상을 중심으로-" 한말연구학회 (50) : 35-59, 2018

      12 Fairclough, Norman, "대중매체 담화 분석" 한국문화사 2004

      13 이원표, "담화분석" 한국문화사 2001

      14 오영훈, "다문화교육으로서 상호문화교육 - 독일의 상호문화교육을 중심으로 -" 교육연구소 15 (15): 27-44, 2009

      15 원진숙, "다문화 시대의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다문화 가정 자녀를 위한 한국어 교육 지원 방안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32) : 269-303, 2008

      16 원진숙, "다문화 배경 국어 교육 공동체 구성원들의 언어 의식" 국어교육학회 (46) : 111-138, 2013

      17 김혜영, "다문화 문식성 신장을 위한 교육 내용 분류 - 소설과 시 텍스트를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90) : 261-284, 2012

      18 김봉순, "국어교육을 위한 텍스트 분류 체계 연구-읽기와 쓰기 영역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39) : 169-209, 2010

      19 교육부, "국어과 교육과정"

      20 Lipman, Matthew, "고차적 사고력 교육" 인간사랑 2005

      21 백선기, "감성광고의 담론적 구성과 사회적 함축 의미: ‘래미안(來美安)’ 아파트 광고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CDA)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12 (12): 37-83, 2010

      22 홍병선, "‘비판적 사고’가 갖는 철학적 함의" 새한철학회 66 (66): 453-473, 2011

      23 재외동포신문, "‘다문화’라는 용어의 그늘"

      24 김은성, "‘국어에 대한 태도’ 교육의 현황과 새로운 전개" 한말연구학회 (50) : 5-34, 2018

      25 고춘화, "‘국어 의식’의 개념화와 교육적 해석" 국어교육학회 (47) : 153-185, 2013

      26 Haugen, Einar, "The ecology of languag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72

      27 Minsky, Marvin, "The Psychology of Computer Vision" McGraw Hill 1975

      28 Bolitho, Rod, "Ten questions about language awareness" 57 (57): 251-259, 2003

      29 이재선, "State Ideology and Language Policy in North Korea: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North Korea’s Print Media" 언어정보연구원 36 : 123-166, 2015

      30 Clark, Romy, "Raising critical awareness of language: A curriculum aim for the new millennium" 8 (8): 63-70, 1999

      31 Giddens, Anthony, "Politics of climate change" Polity Press 2009

      32 Pang, Valerie Ooka, "Multicultural education: A caring-centered, reflective approach" McGrawHill 2001

      33 Van Dijk, Teun A., "Methods of critical discourse studies" Sage 95-120, 2009

      34 Goffman, Erving,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Harper & Row 1974

      35 Hope, Mat, "Frame Analysis as a Discourse-Method: Framing ‘climate change politics" 2010

      36 Stibbe, Arran, "Ecolinguistics: Language, ecology and the stories we live by" Routledge 2015

      37 Fairclough, Norman, "Discourse and social change" Polity Press 1992

      38 Facione, Peter, "Critical thinking: A statement of expert consensus for purpose of educational assessment and instruction" Americ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990

      39 Ali, Shamin, "Critical language awareness in pedagogical context" 4 (4): 28-35, 2011

      40 Fairclough, Norman, "Critical language awareness" Routledge 1998

      41 Fairclough, Norman,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he critical study of language" Longman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