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교육기관 글자 그림책 활용실태와 유아교사 인식 = Analysis of Preschool Teacher’s Use and Perceptions of Alphabet Boo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297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the utilization of alphabet books and the perceptions of teachers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50 teachers who were working at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First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utilization of alphabet book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Specifically, the majority of institution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o not possess diverse alphabet books and less than 50% teachers do not implement these materials.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eachers use alphabet books to fulfill the children’s interests in alphabets. Second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eachers’s perception on alphabet books. Specifically The majority of teachers think that reading alphabet books is a necessary par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such readings positively affect children’s cognitive, language and emotional development. The majority of teachers have difficulties in alphabet book teaching due to the lack of books in their institutions, and they think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should have a variety of these alphabet books.
      번역하기

      This study focuses on the utilization of alphabet books and the perceptions of teachers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50 teachers who were working at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First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ut...

      This study focuses on the utilization of alphabet books and the perceptions of teachers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50 teachers who were working at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First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utilization of alphabet book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Specifically, the majority of institution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o not possess diverse alphabet books and less than 50% teachers do not implement these materials.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eachers use alphabet books to fulfill the children’s interests in alphabets. Second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eachers’s perception on alphabet books. Specifically The majority of teachers think that reading alphabet books is a necessary par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such readings positively affect children’s cognitive, language and emotional development. The majority of teachers have difficulties in alphabet book teaching due to the lack of books in their institutions, and they think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should have a variety of these alphabet book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이루어지는 글자 그림책의 활용실태 및 교사 인식을 파악하는데 있다. 어린 이집과 유치원에 근무 중인 유아교사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그림책 읽기 실태 조사와 관련하여 글 자 그림책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글자 그림책 읽기 실시 여부의 경우 과반수에 조금 미치지 못하는 교 사가 실시해본 적이 없다고 응답하였다. 글자 그림책 읽기의 주된 목적으로는 글자에 대한 유아의 흥미 충족이라는 답변이, 집 단 크기로는 대집단 읽기라는 응답이 그리고 글자 그림책 ‘기차ㄱㄴㄷ’을 읽어준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교사 인 식과 관련해서는 대부분의 교사들이 글자 그림책 읽기 활동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글자 그림책 읽기가 유아의 인지, 언 어, 정서 발달에 모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글자 그림책 선정 기준으로 유아 연령 및 발달 수준을 가장 많이 고려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큰 어려움으로 글자 그림책 보유 부족을 꼽았으며 다음으로 교사의 관심 부족과 활용방안에 대한 이해 부족을 꼽았으며 개선 방안 역시 글자 그림책의 비치를 가장 많은 교사들이 꼽았다. 본 연구 결과는 글자 그림책의 교 육적 가치 및 종류 그리고 활용방안에 대해 적극적인 교사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이루어지는 글자 그림책의 활용실태 및 교사 인식을 파악하는데 있다. 어린 이집과 유치원에 근무 중인 유아교사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이루어지는 글자 그림책의 활용실태 및 교사 인식을 파악하는데 있다. 어린 이집과 유치원에 근무 중인 유아교사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그림책 읽기 실태 조사와 관련하여 글 자 그림책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글자 그림책 읽기 실시 여부의 경우 과반수에 조금 미치지 못하는 교 사가 실시해본 적이 없다고 응답하였다. 글자 그림책 읽기의 주된 목적으로는 글자에 대한 유아의 흥미 충족이라는 답변이, 집 단 크기로는 대집단 읽기라는 응답이 그리고 글자 그림책 ‘기차ㄱㄴㄷ’을 읽어준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교사 인 식과 관련해서는 대부분의 교사들이 글자 그림책 읽기 활동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글자 그림책 읽기가 유아의 인지, 언 어, 정서 발달에 모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글자 그림책 선정 기준으로 유아 연령 및 발달 수준을 가장 많이 고려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큰 어려움으로 글자 그림책 보유 부족을 꼽았으며 다음으로 교사의 관심 부족과 활용방안에 대한 이해 부족을 꼽았으며 개선 방안 역시 글자 그림책의 비치를 가장 많은 교사들이 꼽았다. 본 연구 결과는 글자 그림책의 교 육적 가치 및 종류 그리고 활용방안에 대해 적극적인 교사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홍주, "유아교육기관의 그림책 제공 실태와 교사의 인식"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4 (14): 279-305, 2015

      2 최수윤, "글자책 읽기 후 음운인식 활동이 유아의 음운인식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5 (15): 157-182, 2016

      3 이지영, "글자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단어재인 및 읽기흥미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1 (21): 283-306, 2017

      4 이지영, "글자 그림책 읽기 과정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문학적 반응 연구" 교과교육연구소 21 (21): 110-118, 2017

      5 현정희, "그림책 읽어주기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0 (10): 125-147, 2009

      6 Nodelman, P., "Words about pictures: The narrative art of children's picture books" Borim 2011

      7 Warner, L., "Why young children need alphabet books" 41 (41): 124-127, 2005

      8 Hyun, E., "The pleasures of alphabet book" 5 (5): 39-59, 2004

      9 Kim, S., "The Status of the arrangement and the use of the picture books in kindergarten classroom environment"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ung-Ang University 2015

      10 Bradley, B. A., "Sharing alphabet books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60 (60): 452-463, 2007

      1 전홍주, "유아교육기관의 그림책 제공 실태와 교사의 인식"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4 (14): 279-305, 2015

      2 최수윤, "글자책 읽기 후 음운인식 활동이 유아의 음운인식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5 (15): 157-182, 2016

      3 이지영, "글자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단어재인 및 읽기흥미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1 (21): 283-306, 2017

      4 이지영, "글자 그림책 읽기 과정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문학적 반응 연구" 교과교육연구소 21 (21): 110-118, 2017

      5 현정희, "그림책 읽어주기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0 (10): 125-147, 2009

      6 Nodelman, P., "Words about pictures: The narrative art of children's picture books" Borim 2011

      7 Warner, L., "Why young children need alphabet books" 41 (41): 124-127, 2005

      8 Hyun, E., "The pleasures of alphabet book" 5 (5): 39-59, 2004

      9 Kim, S., "The Status of the arrangement and the use of the picture books in kindergarten classroom environment"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ung-Ang University 2015

      10 Bradley, B. A., "Sharing alphabet books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60 (60): 452-463, 2007

      11 Park, J., "Recognition on & utilization of wordless picture book of 3-5-year-old early childhood classroom teacher" Graduate School Ewha Womans University 2016

      12 Nowak, Sarah N., "Parents’ goals for and perceptions of alphabet books" 26 (26): 1265-1287, 2013

      13 Lachner, W., "Parent and child references to letters during alphabet book reading : Relations to child age and letter name knowledge" 19 (19): 541-559, 2008

      14 Hyun, E., "Looking at picture books" sakyejul 2005

      15 Pentimonti, J. M., "Information text use in preschool read alouds" 63 : 656-665, 2010

      16 Sawyer, W., "Growing up with literature" Wadsworth Cengage Learning 2000

      17 Um, H., "Comparison research of composition of literacy environment for kindergarten and children care cente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2011

      18 Mitchell, D., "Children's literature: An Invitation to the world" Pearson Education, Inc 2002

      19 Davis, B, "Child miscues and parental feedback during shared alphabet book reading and relations with child literacy skills" 14 (14): 341-362, 2010

      20 Anderson, R. C., "Becoming a nation of readers: The report of the Commission on Reading" Center for the Study of Reading 1985

      21 Ha, M., "A study on the perceptions and realities of teaching reading through the utilization of picture book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cheon University 2012

      22 Yoon, H., "A study on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fs in children's literacy from the view of whole language approach" Graduate School Ewha Womans University 1997

      23 Heo, Y., "A study on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fs in children's literacy and practice and the cause of conflict from the view of whole language approach" Graduate School Ewha Womans University 2006

      24 Park, M., "A comparative study on the belief systems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mothers of young children about literacy development" Graduate School Konkuk University 2001

      25 Lee, Y., "A Study on the state of the use of picture books in kindergarte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ungi University 2006

      26 Bae, K., "A Study on teachers' awareness and use of illustrated information book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jong University 2002

      27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3-5-year-old Age-Specific Nuri process guide"

      28 Smolkin, L., ""O"Is for"Mouse" : First encounters with the alphabet book" 69 (69): 432-441,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3-09 학회명변경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Instruction ->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 Instruction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7 1.07 1.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 1.17 1.432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