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국 운강석굴의 탑파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the Carved Pagoda of Yungang Grottoes in Chin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512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fter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to China, many temples were founded.
      As a result, the construction of Buddhist pagodas, which were the center
      of worship and faith, flourished. It is estimated that the pagoda began to
      be constructed in Chinese temple, during the late Han Dynasty and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the early days, Buddhist pagodas were
      constructed with the construction of temples, most of which were wooden
      pagodas. The three major Chinese stone caves, Dunhuang Grottoes,
      Yungang Grottoes, and Longmen Grottoes, were constructed with Buddhist
      pagodas of the various techniques and styles. Yungang Grottoes were
      established at a relatively early date, showing the aspects of the early
      Chinese pagoda. Thus, we examined the contrast techniques, stylistic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art history of the pagoda represented
      in Yungang Grottoes.
      The Buddhist pagodas built in Yungang Grottoes. It can be classified as
      stone-shaped outer Buddhist pagoda built at the entrance of a Cave,
      stone-shaped inner pagoda built in three-dimensional form in the center
      of a cave, pavilions built inside the cave, tapa-shaped doorpost carv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ntrance to a small cave, rock-carved tower
      carved in relief on the entrance of the cave or inside the wall space. They
      faithfully reflect the structure, contrast techniques, and styles of wooden pagodas that prevailed at that time. The various types of Buddhist pagodas
      depicted in Yungang Grottoes show the contrast techniques and styles of
      the pagoda in early China. These are the materials for examining the early
      wooden pagoda in Korea.
      번역하기

      After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to China, many temples were founded. As a result, the construction of Buddhist pagodas, which were the center of worship and faith, flourished. It is estimated that the pagoda began to be constructed in Chinese templ...

      After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to China, many temples were founded.
      As a result, the construction of Buddhist pagodas, which were the center
      of worship and faith, flourished. It is estimated that the pagoda began to
      be constructed in Chinese temple, during the late Han Dynasty and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the early days, Buddhist pagodas were
      constructed with the construction of temples, most of which were wooden
      pagodas. The three major Chinese stone caves, Dunhuang Grottoes,
      Yungang Grottoes, and Longmen Grottoes, were constructed with Buddhist
      pagodas of the various techniques and styles. Yungang Grottoes were
      established at a relatively early date, showing the aspects of the early
      Chinese pagoda. Thus, we examined the contrast techniques, stylistic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art history of the pagoda represented
      in Yungang Grottoes.
      The Buddhist pagodas built in Yungang Grottoes. It can be classified as
      stone-shaped outer Buddhist pagoda built at the entrance of a Cave,
      stone-shaped inner pagoda built in three-dimensional form in the center
      of a cave, pavilions built inside the cave, tapa-shaped doorpost carv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ntrance to a small cave, rock-carved tower
      carved in relief on the entrance of the cave or inside the wall space. They
      faithfully reflect the structure, contrast techniques, and styles of wooden pagodas that prevailed at that time. The various types of Buddhist pagodas
      depicted in Yungang Grottoes show the contrast techniques and styles of
      the pagoda in early China. These are the materials for examining the early
      wooden pagoda in Kore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중국에 불교 신앙이 전래한 이후 크게 발흥하면서 많은 사찰이 창건되었고, 그에
      따라 예불과 신앙의 중심 대상이었던 불탑의 건립이 성행하였다. 중국의 사찰 가람에서
      불탑이 건립되기 시작한 것은 후한 말기에서 삼국시대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초기에
      는 사찰이 창건되면서 불탑이 건립되었는데, 대부분 목탑이었던 것으로 전하고 있다.
      중국 3대 석굴인 돈황석굴(敦煌石窟), 운강석굴(雲岡石窟), 용문석굴(龍門石窟)에는 조
      성 시기에 따라 다양한 조영 기법과 양식 등을 보여 주는 불탑이 상당량 표현되었다.
      운강석굴은 비교적 이른 시기에 개착한 석굴로서 중국 초기 북위 시대의 탑파의 양상을
      잘 보여 주고 있다. 이에 운강석굴에 표현된 탑파에 대하여 조영 기법과 양식적 특징, 미술사적 의의 등을 살펴보았다.
      운강석굴에 조성된 탑파는 석굴 입구에 건립한 석주형 외탑, 석굴 내부의 한 중심에
      입체로 건립한 석주형 내탑, 석굴 내부에 세워진 누각형 탑파, 소형의 석굴이나 불감의
      입구 좌우에 새긴 탑파형 문설주, 석굴의 입구나 내부의 벽면 공간에 부조로 새긴 마애
      형 탑파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이들은 북위 시대 성행한 목탑의 구조와 조영 기법,
      양식 등을 충실하게 반영하고 있다. 이처럼 운강석굴에 표현된 다양한 유형의 탑파들은
      중국 초기 불탑의 조영 기법과 양식을 알 수 있는 탑파 자료이며, 한국 초기 목탑을
      살필 수 있는 자료이기도 하다.
      번역하기

      중국에 불교 신앙이 전래한 이후 크게 발흥하면서 많은 사찰이 창건되었고, 그에 따라 예불과 신앙의 중심 대상이었던 불탑의 건립이 성행하였다. 중국의 사찰 가람에서 불탑이 건립되기 시...

      중국에 불교 신앙이 전래한 이후 크게 발흥하면서 많은 사찰이 창건되었고, 그에
      따라 예불과 신앙의 중심 대상이었던 불탑의 건립이 성행하였다. 중국의 사찰 가람에서
      불탑이 건립되기 시작한 것은 후한 말기에서 삼국시대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초기에
      는 사찰이 창건되면서 불탑이 건립되었는데, 대부분 목탑이었던 것으로 전하고 있다.
      중국 3대 석굴인 돈황석굴(敦煌石窟), 운강석굴(雲岡石窟), 용문석굴(龍門石窟)에는 조
      성 시기에 따라 다양한 조영 기법과 양식 등을 보여 주는 불탑이 상당량 표현되었다.
      운강석굴은 비교적 이른 시기에 개착한 석굴로서 중국 초기 북위 시대의 탑파의 양상을
      잘 보여 주고 있다. 이에 운강석굴에 표현된 탑파에 대하여 조영 기법과 양식적 특징, 미술사적 의의 등을 살펴보았다.
      운강석굴에 조성된 탑파는 석굴 입구에 건립한 석주형 외탑, 석굴 내부의 한 중심에
      입체로 건립한 석주형 내탑, 석굴 내부에 세워진 누각형 탑파, 소형의 석굴이나 불감의
      입구 좌우에 새긴 탑파형 문설주, 석굴의 입구나 내부의 벽면 공간에 부조로 새긴 마애
      형 탑파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이들은 북위 시대 성행한 목탑의 구조와 조영 기법,
      양식 등을 충실하게 반영하고 있다. 이처럼 운강석굴에 표현된 다양한 유형의 탑파들은
      중국 초기 불탑의 조영 기법과 양식을 알 수 있는 탑파 자료이며, 한국 초기 목탑을
      살필 수 있는 자료이기도 하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운강석굴 탑파의 현황과 특징
      • Ⅲ. 운강석굴 탑파의 미술사적 의의
      • Ⅳ. 결론
      • Ⅰ. 서론
      • Ⅱ. 운강석굴 탑파의 현황과 특징
      • Ⅲ. 운강석굴 탑파의 미술사적 의의
      • Ⅳ. 결론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