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기 구석기 바이칼 일대에서 성행했던 벽류는 모신상⋅신수상 등과 함께 당대인들 이 느꼈던 생명을 표현한 대표적인 생명(영기) 표상이었다. 원형과 원각방형을 기본형 으로 각종 다양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후기 구석기 바이칼 일대에서 성행했던 벽류는 모신상⋅신수상 등과 함께 당대인들 이 느꼈던 생명을 표현한 대표적인 생명(영기) 표상이었다. 원형과 원각방형을 기본형 으로 각종 다양한 ...
후기 구석기 바이칼 일대에서 성행했던 벽류는 모신상⋅신수상 등과 함께 당대인들
이 느꼈던 생명을 표현한 대표적인 생명(영기) 표상이었다. 원형과 원각방형을 기본형
으로 각종 다양한 변형태가 나타났고 소용돌이문 등의 생명 문양이 표현되기도 했다.
이러한 벽류는 오랜 잠복기를 지나 B.C.7000년경 동북평원 오소리강 일대에서 발흥
한 소남산문화의 옥벽류(벽⋅환⋅결)로 이어졌다. 소남산문화기 ‘적석단총(적석 제천
단 겸 무덤), 모신상, 옥기’를 표지로 하는 선도제천문화가 새롭게 등장하게 되는데
제천의기였던 옥기 중에서도 선도제천의 요체이자 신격인 생명을 형상화한 옥벽류가
가장 중시, 집중 제작되었다. 옥벽류는 이즈음 새롭게 개화한 선도제천문화의 상징과
같은 존재로 흑수백산지구의 대표 옥기 기종으로 자리매김되었다.
소남산문화 옥벽류를 위시하여 흑수백산지구의 옥벽류는 약 1천여년의 시차를 가지
고서 B.C.6000년경 무렵 요서 흥륭와사회로 전파되는데, 흑수백산지구에서 성행한
옥벽류 3종 중에서 결만이 전파되거나 또는 결⋅비 위주로 전파되었다. 이는 선도제천
문화 전파시 상대적으로 개인 위세품으로서의 성격이 강한 결 또는 결⋅비를 해당지역
의 통치세력에게 전달하였던 때문으로 분석된다. 전파 경로를 보면, 먼저 서랍목륜하
일대의 흥륭와문화 백음장한유형을 거쳐 대릉하 일대의 사해유형으로 전파, 서요하⋅
서랍목륜하 초원길이 흑수백산지구와 요서지구 교류의 일차 루트였음을 보여주었다.
소남산문화의 주역은 환국의 환인족으로 훗날 배달국의 맥족(환웅족+웅족, 한민족의
원형)으로 이어졌다.
흑수백산지구에서 성행한 옥벽류 3종 전체는 홍산문화 후기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요서사회에 등장하였다. 백두산 서편에서 배달국이 개창된 이후 맥족의 요서 진출 과정
에서 맥족의 옥벽류가 비로소 온전하게 요서지구로 전수된 것이다.
이렇듯 본고에서는 소남산 옥기문화로 상징되는 동북아 신석기 선도제천문화의 시
원이 후기 구석기 동시베리아 바이칼지구로 소급되며, B.C.7000년경 이래 요서지구⋅
중원지구 등지로 서진(西進)해갔음을 확인하였다. 동북아 신석기 선도제천문화의 계승
과 확산 방향에 대한 연구는 유라시아 선사시대 제의문화에 나타난 동⋅서 문화 교류의
문제를 풀어갈 실마리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Byeog(璧) types that were prevalent in the Paleolithic Baikal areas were representative ‘Ki(氣)-energy’ symbols that expressed Ki-energy felt by the people of the time, along with Great Mother Goddess(母神) statues and holy animal(神獸) ...
The Byeog(璧) types that were prevalent in the Paleolithic Baikal areas
were representative ‘Ki(氣)-energy’ symbols that expressed Ki-energy felt
by the people of the time, along with Great Mother Goddess(母神) statues
and holy animal(神獸) statues. The circular shape and the square shape with
a cut edge were the basic types, but various variations had emerged. In
addition, Ki-energy patterns such as vortexes were expressed on its surface.
After a long incubation period, these Byeog types led to Ogbyeog
types(Byeog, Hwan, Gyeol made of jade) of Xiaonanshan Culture that
emerged in Ussuri(烏蘇里) River on Dongbei Plains(東北平原) around B.C.7000.
By Xiaonanshan Culture, Sundo Heaven rituals culture represented by
‘stone-mound AltarㆍTomb, Great Mother Goddess statues, jade tools’ had
emerged and among jade tools, which were the major indicators of Sundo Heaven rituals, Ogbyeog types(ByeogㆍHwanㆍGyeol) were the most
important and intensively produced. Ogbyeog types were established as the
representative jade tool of Heilongjiang River(黑龍江)-Mt.Baekdusan(白頭山)
areas as a symbol of the newly developed Sundo Heaven rituals culture.
Ogbyeog types of Heilongjiang River-Mt.Baekdusan areas, led by
Xiaonanshan culture, had a time difference of about 1,000 years and spread
to Xinglongwa Culture in Liaoxi(遼西) areas around B.C.6000. Among the
three types of Ogbyeog prevalent in Heilongjiang River-Mt. Baekdusan
areas, only Gyeol type was spread, or Gyeol and Bi(匕) types were spread
to Xinglongwa Culture. These phenomena can be analyzed to be due to
the fact that Gyeol type or Gyeol and Bi types, which had relatively strong
tendency as personal prestige items, were delivered to the local ruling forces
as being spread the Sundo Heaven rituals culture.
According to the propagation route, Gyeol or Bi types were first
introduced to Baiyinzhanghan(白音長汗) type of Xinglongwa culture around
Xilamulunhe(西拉木倫河) River, and then to Chahai(査海) type around
Dalinghe(大凌河) River. This showed that the grassland roads along
west-Liaohe(遼河) River and Xilamulunhe River were the primary route of
propagation between Heilongjiang River-Mt. Baekdusan areas and Liaoxi areas.
The people who led Xiaonanshan culture were Hwanin(桓因) tribe of
Hwankuk(桓國) and they later led to Maek(貊) tribe(Hwanung桓雄 tribe + Ung
熊 tribe, the origin of Korean people) of Baedalkuk(倍達國). It was not until
the late period of Hongsan culture that all three types of Ogbyeog were
introduced to the Liaoxi areas. Since the opening of Baedalkuk on the west
side of Mt.Baekdusan, the Ogbyeog types of Maek tribe had been spread
to the Liaoxi areas intact in the process of Maek tribe’s advancement into
Liaoxi areas.
As such, this paper revealed the direction of the westward propagation
of Sundo Heaven Rituals Culture that emerged in the Heilongjiang
River-Mt.Baekdusan areas. In the next step, we have access to the very
important research topic, the westward propagation of Sundo Heaven
Rituals Culture passed through the Altai grasslands and spread to the Black Sea coast and Europe in succession. We have found clues to solve the
East-West negotiation of the Eurasian Sundo Heaven Rituals Culture in the
neolithic period.
목차 (Table of Contents)
考古学からみた海を介した交流三題:新安海底沈没船.竹幕洞祭祀遺跡.日本 秋田城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