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세기 댄디와 독일 팝 문학의 모던 댄디 비교 플라톤의 에로스 개념을 중심으로 = A Comparison of Modern Dandy in German Pop Literature with 19th Century Dandy Interpreted by Plato's Ero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734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Dandyism in the 19th century with Pop Modern Dandy in the perspective of Platonic Eros. The characteristics of Dandyism in the 19th century are based on definitions by Barbey d'Aurevilly and Charles Baudelaire, and those of Pop Modern Dandy can be found in Faserland by a Swiss-born German-language writer Christian Kracht. Compared to in Britain and in France, the influence of Dandy and Dandyism in Germany was not great. Dandy in Germany, which existed but hard to find traces of it,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at in Britain and in France. For this reason, to compare German Dandy with contemporary Pop Modern Dandy, the definitions of those two writers aforementioned are still important. To make it clear that Dandy in German literature didn't come out of nowhere, first, this paper gives a general introduction of its researches. Then, interprets the characteristics of Dandyism in the 19th century and Pop Modern Dandy from the perspective of Eros in Symposium by Plato. Orthodox Dandy denies mediocrity and has a zeal for spiritual aristocracy, in other words, Eros. Dandies try to cultivate their own beauty and aim for inner superiority through it. On the other hand, Pop Modern Dandy which appears in the work by Christian Kracht, is lacking in Eros. The beauty it pursues is not a means to meet its inner aspiration, but no more than a symbol of material wealth.
      Dandyism in the past cultivated new idea of beauty while striving to reach their inner, spiritual ideal, whereas contemporary Pop Modern Dandy is lacking in Eros which leads to set and pursue such an ideal. It can be said that it is in the state of meaningless superficial form.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Dandyism in the 19th century with Pop Modern Dandy in the perspective of Platonic Eros. The characteristics of Dandyism in the 19th century are based on definitions by Barbey d'Aurevilly and Charles Baudelaire,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Dandyism in the 19th century with Pop Modern Dandy in the perspective of Platonic Eros. The characteristics of Dandyism in the 19th century are based on definitions by Barbey d'Aurevilly and Charles Baudelaire, and those of Pop Modern Dandy can be found in Faserland by a Swiss-born German-language writer Christian Kracht. Compared to in Britain and in France, the influence of Dandy and Dandyism in Germany was not great. Dandy in Germany, which existed but hard to find traces of it,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at in Britain and in France. For this reason, to compare German Dandy with contemporary Pop Modern Dandy, the definitions of those two writers aforementioned are still important. To make it clear that Dandy in German literature didn't come out of nowhere, first, this paper gives a general introduction of its researches. Then, interprets the characteristics of Dandyism in the 19th century and Pop Modern Dandy from the perspective of Eros in Symposium by Plato. Orthodox Dandy denies mediocrity and has a zeal for spiritual aristocracy, in other words, Eros. Dandies try to cultivate their own beauty and aim for inner superiority through it. On the other hand, Pop Modern Dandy which appears in the work by Christian Kracht, is lacking in Eros. The beauty it pursues is not a means to meet its inner aspiration, but no more than a symbol of material wealth.
      Dandyism in the past cultivated new idea of beauty while striving to reach their inner, spiritual ideal, whereas contemporary Pop Modern Dandy is lacking in Eros which leads to set and pursue such an ideal. It can be said that it is in the state of meaningless superficial for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댄디와 댄디가 지향하는 태도 혹은 사조인 댄디즘은 일반적으로 영국과 프랑스를 중심으로 연구되며, 독일은 이와는 무관한 듯 보인다. 그러나 이웃나라의 영향으로 독일에도 댄디는 존재했다. 시인, 철학가, 사상가였던 독일의 소수 댄디는 개인으로서 주변에 영향을 주거나, 혹은 문화의 다른면에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그들은 댄디즘을 사회 전반에 확산시키지 않았고, 그럴 수도 없었다.
      영국과 프랑스와는 다른 사회·정치적 상황 때문이었다. 이렇게 존재가 미약한 댄디와 댄디즘이었지만, 그 명맥은 계속 이어졌다. 그리고 20세기 독일의 팝 문학에 다시 드러나 새로운 댄디의 모습을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은 독일의 팝 문학에서 등장하는 댄디를 19세기의 댄디와 비교하여, 그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플라톤의 에로스적 관점에서 과거와 현대의 댄디의 차별성을드러내고자한다.
      논문은 현대 독일어권 문학에서 댄디의 등장이 갑작스러운 것이 아님을 밝히기 위해 독일 댄디의존재와 그에 대한 연구를 개괄적으로 소개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그 다음에는 이들의 특성을 살펴본다. 존재는 했지만 그 흔적을 찾기 힘든 독일의 댄디는 프랑스와 영국의 댄디와 다르지 않다. 따라서독일의 댄디의 특성은 도르비이와 보들레르의 정의에 근거한다. 그 다음에는 19세기 댄디와 20세기독일의 팝 모던 댄디의 특성을 플라톤의 『향연』에 나오는 에로스의 관점으로 바라본다. 플라톤에따르면 에로스는 “아름다움에 대한 사랑”이며 “자신에게 결여된 것 즉 갖고 있지 않은 것을 사랑하는”1) 것이다. 정통 댄디는 평범함을 거부하고 미에 대한 사랑, 정신적인 것을 지향하고 사랑하는열의 즉 에로스를 가졌다. 자신만의 미를 창조하려는 노력과 그를 통한 내적 우월을 지향한다. 반면크라흐트의 작품에 등장하는 팝 모던 댄디에게는 에로스가 결여되어 있다. 그들의 미는 물질적 부를드러내는 상징 뿐, 내적열망을 충족시켜주는 수단은 아니다. 과거의 댄디가 미를 추구하면서 내면의이상에 도달하고자 애쓰며 새로운 미를 창조하고 정신적 이상을 향해 노력했다면, 현대의 팝 모던댄디는 그런 이상을 설정하고 추구하려는 에로스가 결핍되었고, 따라서 공허한 외적 형식에 머물러있다고 볼 수 있다.
      번역하기

      댄디와 댄디가 지향하는 태도 혹은 사조인 댄디즘은 일반적으로 영국과 프랑스를 중심으로 연구되며, 독일은 이와는 무관한 듯 보인다. 그러나 이웃나라의 영향으로 독일에도 댄디는 존재...

      댄디와 댄디가 지향하는 태도 혹은 사조인 댄디즘은 일반적으로 영국과 프랑스를 중심으로 연구되며, 독일은 이와는 무관한 듯 보인다. 그러나 이웃나라의 영향으로 독일에도 댄디는 존재했다. 시인, 철학가, 사상가였던 독일의 소수 댄디는 개인으로서 주변에 영향을 주거나, 혹은 문화의 다른면에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그들은 댄디즘을 사회 전반에 확산시키지 않았고, 그럴 수도 없었다.
      영국과 프랑스와는 다른 사회·정치적 상황 때문이었다. 이렇게 존재가 미약한 댄디와 댄디즘이었지만, 그 명맥은 계속 이어졌다. 그리고 20세기 독일의 팝 문학에 다시 드러나 새로운 댄디의 모습을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은 독일의 팝 문학에서 등장하는 댄디를 19세기의 댄디와 비교하여, 그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플라톤의 에로스적 관점에서 과거와 현대의 댄디의 차별성을드러내고자한다.
      논문은 현대 독일어권 문학에서 댄디의 등장이 갑작스러운 것이 아님을 밝히기 위해 독일 댄디의존재와 그에 대한 연구를 개괄적으로 소개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그 다음에는 이들의 특성을 살펴본다. 존재는 했지만 그 흔적을 찾기 힘든 독일의 댄디는 프랑스와 영국의 댄디와 다르지 않다. 따라서독일의 댄디의 특성은 도르비이와 보들레르의 정의에 근거한다. 그 다음에는 19세기 댄디와 20세기독일의 팝 모던 댄디의 특성을 플라톤의 『향연』에 나오는 에로스의 관점으로 바라본다. 플라톤에따르면 에로스는 “아름다움에 대한 사랑”이며 “자신에게 결여된 것 즉 갖고 있지 않은 것을 사랑하는”1) 것이다. 정통 댄디는 평범함을 거부하고 미에 대한 사랑, 정신적인 것을 지향하고 사랑하는열의 즉 에로스를 가졌다. 자신만의 미를 창조하려는 노력과 그를 통한 내적 우월을 지향한다. 반면크라흐트의 작품에 등장하는 팝 모던 댄디에게는 에로스가 결여되어 있다. 그들의 미는 물질적 부를드러내는 상징 뿐, 내적열망을 충족시켜주는 수단은 아니다. 과거의 댄디가 미를 추구하면서 내면의이상에 도달하고자 애쓰며 새로운 미를 창조하고 정신적 이상을 향해 노력했다면, 현대의 팝 모던댄디는 그런 이상을 설정하고 추구하려는 에로스가 결핍되었고, 따라서 공허한 외적 형식에 머물러있다고 볼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보들레르, "현대 생활의 화가" 인문서재 2013

      2 플라톤, "향연" 문학과 지성사 2007

      3 크리스티안 크라흐트, "파저란트" 문학과 지성사 2012

      4 고봉만, "조지 브러멀과 댄디즘에 대하여" 프랑스문화예술학회 31 : 1-27, 2010

      5 정원석, "에른스트 윙어의 초기 에세이와 나치즘" 한국독어독문학회 51 (51): 79-106, 2010

      6 요하네스 로쯔, "사랑의 세 단계. 에로스, 필리아, 아가페" 서공사 1977

      7 윤영애, "보들레르와 댄디즘" 40 : 299-326, 1999

      8 민주식, "미적 취미로서의 댄디즘" 44 : 71-91, 2003

      9 쥘 바르베 도르비이, "멋쟁이 남자들의 이야기 댄디즘. 최초의 멋쟁이 조지 브러멀에 대한 상세한 보고서" 문학동네 2014

      10 노영돈, "독일 신세대 문학" 민음사 2013

      1 보들레르, "현대 생활의 화가" 인문서재 2013

      2 플라톤, "향연" 문학과 지성사 2007

      3 크리스티안 크라흐트, "파저란트" 문학과 지성사 2012

      4 고봉만, "조지 브러멀과 댄디즘에 대하여" 프랑스문화예술학회 31 : 1-27, 2010

      5 정원석, "에른스트 윙어의 초기 에세이와 나치즘" 한국독어독문학회 51 (51): 79-106, 2010

      6 요하네스 로쯔, "사랑의 세 단계. 에로스, 필리아, 아가페" 서공사 1977

      7 윤영애, "보들레르와 댄디즘" 40 : 299-326, 1999

      8 민주식, "미적 취미로서의 댄디즘" 44 : 71-91, 2003

      9 쥘 바르베 도르비이, "멋쟁이 남자들의 이야기 댄디즘. 최초의 멋쟁이 조지 브러멀에 대한 상세한 보고서" 문학동네 2014

      10 노영돈, "독일 신세대 문학" 민음사 2013

      11 조은라, "댄디즘-이념과 형식의 철학" 프랑스문화예술학회 41 : 413-437, 2012

      12 Carlyle, Thomas, "“The Dandy.” In: The World’s Wit and Humor: An Encyclopedia in 15 Volumes. Vols. VI–IX"

      13 Schickendanz, Hans-Joachim, "Ästhetische Rebellion und rebellische Ästheten. Eine kulturge- schichtliche Studie über den europäischen Dandyismus" 2000

      14 Stahl-Busch, Marlene, "Interpretationen Deutsch - Kracht: Faserland" Stark Verlag 2012

      15 Zerbst, Arne, "Gestalten des 19. Jahrhunderts. Von Lou Andreas- Salomé bis Leopold von Sacher-Masoch" Wilhelm Fink Verlag 221-239, 2011

      16 Christian Kracht, "Faserland" 2014

      17 Grundmann, Melanie, "Der Dandy. Eine Anthropologie. Wie er wurde, was er war" 2007

      18 Tacke, Alexandra, "Depressive Dandys. Spielformen der Dekadenz in der Pop-Moderne" 2009

      19 Sombart, Nicolaus, "Das Ideal des Dandys" (1) : 1995

      20 조은라, "21세기 네오-댄디 : 프로토타입의 제안 가능성" 한국비교문학회 (56) : 313-337,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0-03-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유럽문화예술학회 -> 유럽문화예술학논집
      외국어명 : Europe Culture A RTS Association -> The Journal of Europe Culture Arts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