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보들레르, "현대 생활의 화가" 인문서재 2013
2 플라톤, "향연" 문학과 지성사 2007
3 크리스티안 크라흐트, "파저란트" 문학과 지성사 2012
4 고봉만, "조지 브러멀과 댄디즘에 대하여" 프랑스문화예술학회 31 : 1-27, 2010
5 정원석, "에른스트 윙어의 초기 에세이와 나치즘" 한국독어독문학회 51 (51): 79-106, 2010
6 요하네스 로쯔, "사랑의 세 단계. 에로스, 필리아, 아가페" 서공사 1977
7 윤영애, "보들레르와 댄디즘" 40 : 299-326, 1999
8 민주식, "미적 취미로서의 댄디즘" 44 : 71-91, 2003
9 쥘 바르베 도르비이, "멋쟁이 남자들의 이야기 댄디즘. 최초의 멋쟁이 조지 브러멀에 대한 상세한 보고서" 문학동네 2014
10 노영돈, "독일 신세대 문학" 민음사 2013
1 보들레르, "현대 생활의 화가" 인문서재 2013
2 플라톤, "향연" 문학과 지성사 2007
3 크리스티안 크라흐트, "파저란트" 문학과 지성사 2012
4 고봉만, "조지 브러멀과 댄디즘에 대하여" 프랑스문화예술학회 31 : 1-27, 2010
5 정원석, "에른스트 윙어의 초기 에세이와 나치즘" 한국독어독문학회 51 (51): 79-106, 2010
6 요하네스 로쯔, "사랑의 세 단계. 에로스, 필리아, 아가페" 서공사 1977
7 윤영애, "보들레르와 댄디즘" 40 : 299-326, 1999
8 민주식, "미적 취미로서의 댄디즘" 44 : 71-91, 2003
9 쥘 바르베 도르비이, "멋쟁이 남자들의 이야기 댄디즘. 최초의 멋쟁이 조지 브러멀에 대한 상세한 보고서" 문학동네 2014
10 노영돈, "독일 신세대 문학" 민음사 2013
11 조은라, "댄디즘-이념과 형식의 철학" 프랑스문화예술학회 41 : 413-437, 2012
12 Carlyle, Thomas, "“The Dandy.” In: The World’s Wit and Humor: An Encyclopedia in 15 Volumes. Vols. VI–IX"
13 Schickendanz, Hans-Joachim, "Ästhetische Rebellion und rebellische Ästheten. Eine kulturge- schichtliche Studie über den europäischen Dandyismus" 2000
14 Stahl-Busch, Marlene, "Interpretationen Deutsch - Kracht: Faserland" Stark Verlag 2012
15 Zerbst, Arne, "Gestalten des 19. Jahrhunderts. Von Lou Andreas- Salomé bis Leopold von Sacher-Masoch" Wilhelm Fink Verlag 221-239, 2011
16 Christian Kracht, "Faserland" 2014
17 Grundmann, Melanie, "Der Dandy. Eine Anthropologie. Wie er wurde, was er war" 2007
18 Tacke, Alexandra, "Depressive Dandys. Spielformen der Dekadenz in der Pop-Moderne" 2009
19 Sombart, Nicolaus, "Das Ideal des Dandys" (1) : 1995
20 조은라, "21세기 네오-댄디 : 프로토타입의 제안 가능성" 한국비교문학회 (56) : 313-337,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