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Radiation Therapy for Pituitary Adenoma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가톨릭의대 강남성모병원 방사선치료실에서는 1983년 3월부터 1990년 4월 사이 7년여 동안에 뇌하수체선종으로 확진되었던 74명의 환자(7~65세, 평균 37세, 남:여=39:35)에 대하여 뇌하수체 부위에 외부방사선치료를 하였다.
      방사선치료는 6MV 선형가속기를 사용하여 선원중심축거리 80cm, 4×4×4~8×8×8㎤ 조사야로 3문조사를 하였다(180cGy/일, 5회/주, 20~65Gy). 5예에서는 정위다방향고선량단일조사 (15~25Gy/1회)를 실시하였다.
      이 환자들의 수술전후 및 방사선치료 후에 복합뇌하수체자극검사를 실시하여 종양의 호르몬분비에 따른 분류와 방사선치료가 호르몬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추적조사하였다.
      호르몬분비에 따른 뇌하수체선종의 분류는 프로랙틴종 23예(29%), 성장호르몬분비종 20예(26%), 부신피질자극호르몬분비종 6예(8%) (쿠싱병 4예와 넬슨증후군 2예)였으며 4예(5%)에서는 프로랙틴과 성장호르몬을 동시에 분비하였다. 한편, 호르몬분비기능없는 종양이 29예(37%)였다.
      23예의 프로랙틴종 중 15예(65%)와 20예 성장호르몬분비종 중 3예(15%)에서는 방사선치료 2~3년 후 정상 호르몬 수치로 전환되었다. 부신피질자극호르몬분비종은 6예 중 1예를 제외한 전예에서 치료 후 모두 정상이되었다.
      방사선치료에 따른 부작용으로서 범하수체기능저하증 및 갑상선기능저하증이 각각 7예(9%)씩 그리고 성선기능저하증 2예(3%) 등이 관찰되었다.
      전예 중 15예(20%)에서는 정기적인 호르몬 추적검사를 실시하지 못하였다.
      번역하기

      가톨릭의대 강남성모병원 방사선치료실에서는 1983년 3월부터 1990년 4월 사이 7년여 동안에 뇌하수체선종으로 확진되었던 74명의 환자(7~65세, 평균 37세, 남:여=39:35)에 대하여 뇌하수체 부위에 ...

      가톨릭의대 강남성모병원 방사선치료실에서는 1983년 3월부터 1990년 4월 사이 7년여 동안에 뇌하수체선종으로 확진되었던 74명의 환자(7~65세, 평균 37세, 남:여=39:35)에 대하여 뇌하수체 부위에 외부방사선치료를 하였다.
      방사선치료는 6MV 선형가속기를 사용하여 선원중심축거리 80cm, 4×4×4~8×8×8㎤ 조사야로 3문조사를 하였다(180cGy/일, 5회/주, 20~65Gy). 5예에서는 정위다방향고선량단일조사 (15~25Gy/1회)를 실시하였다.
      이 환자들의 수술전후 및 방사선치료 후에 복합뇌하수체자극검사를 실시하여 종양의 호르몬분비에 따른 분류와 방사선치료가 호르몬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추적조사하였다.
      호르몬분비에 따른 뇌하수체선종의 분류는 프로랙틴종 23예(29%), 성장호르몬분비종 20예(26%), 부신피질자극호르몬분비종 6예(8%) (쿠싱병 4예와 넬슨증후군 2예)였으며 4예(5%)에서는 프로랙틴과 성장호르몬을 동시에 분비하였다. 한편, 호르몬분비기능없는 종양이 29예(37%)였다.
      23예의 프로랙틴종 중 15예(65%)와 20예 성장호르몬분비종 중 3예(15%)에서는 방사선치료 2~3년 후 정상 호르몬 수치로 전환되었다. 부신피질자극호르몬분비종은 6예 중 1예를 제외한 전예에서 치료 후 모두 정상이되었다.
      방사선치료에 따른 부작용으로서 범하수체기능저하증 및 갑상선기능저하증이 각각 7예(9%)씩 그리고 성선기능저하증 2예(3%) 등이 관찰되었다.
      전예 중 15예(20%)에서는 정기적인 호르몬 추적검사를 실시하지 못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eventy four patients with pituitary adenoma received radiation therapy (RT) on the pituitary area using 6 MV linear accelerator during the past 7 years at the Division of Radiation Therapy, Kangnam St. Mary's Hospital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age.
      Thirty nine were men and 35 were women. The age ranged from 7 to 65 years with the mean being 37 years. Sixty five (88%) patients were treated postoperatively and 9(12%) primary RT.
      To evaluate the effects of RT, we analyzed the series of endocrinologic studies with prolactin (PRL), growth hormone (GH), adrenocorticotrophic hormone (ACTH), leuteinizing hormone (LH), follicular stimulating hormone(FSH) and thyroid stimulating hormone(TSH) etc after RT. All but one with Nelson's syndrome showed abnormal neuroradiologic changes in the sella turcica with invasive tumor mass around supra- and/orparasella area.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as 23(29%) prolactinomas and 20(26%) growth hormone(GH) secreting tumors, and 6(8%) ACTH secreting ones consisting of 4 Cushing's disease and 2 Nelson's syndrome. Twentynine(37%) had nonfunctioning tumor and four(5%) of those secreting pituitary tumors were mixed PRL-GH secreting tumors. The hormonal level in 15 (65%) of 23 PRL and 3 (15%) of 20 GH secreting tumors returned to mormal by 2 to 3 years after RT, but five PRL and five GH secreting tumors showed high hormonal level requiiring bromocriptine medication.
      Endocrinologic insufficiency developed by 3years after RT in 5 of 7 panhypopituitarisms, 4 of seven hypothyroidisms and one of two hypogonadisms, respectively. Fifteen (20%) patients were lost to follow up after RT.
      번역하기

      Seventy four patients with pituitary adenoma received radiation therapy (RT) on the pituitary area using 6 MV linear accelerator during the past 7 years at the Division of Radiation Therapy, Kangnam St. Mary's Hospital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

      Seventy four patients with pituitary adenoma received radiation therapy (RT) on the pituitary area using 6 MV linear accelerator during the past 7 years at the Division of Radiation Therapy, Kangnam St. Mary's Hospital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age.
      Thirty nine were men and 35 were women. The age ranged from 7 to 65 years with the mean being 37 years. Sixty five (88%) patients were treated postoperatively and 9(12%) primary RT.
      To evaluate the effects of RT, we analyzed the series of endocrinologic studies with prolactin (PRL), growth hormone (GH), adrenocorticotrophic hormone (ACTH), leuteinizing hormone (LH), follicular stimulating hormone(FSH) and thyroid stimulating hormone(TSH) etc after RT. All but one with Nelson's syndrome showed abnormal neuroradiologic changes in the sella turcica with invasive tumor mass around supra- and/orparasella area.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as 23(29%) prolactinomas and 20(26%) growth hormone(GH) secreting tumors, and 6(8%) ACTH secreting ones consisting of 4 Cushing's disease and 2 Nelson's syndrome. Twentynine(37%) had nonfunctioning tumor and four(5%) of those secreting pituitary tumors were mixed PRL-GH secreting tumors. The hormonal level in 15 (65%) of 23 PRL and 3 (15%) of 20 GH secreting tumors returned to mormal by 2 to 3 years after RT, but five PRL and five GH secreting tumors showed high hormonal level requiiring bromocriptine medication.
      Endocrinologic insufficiency developed by 3years after RT in 5 of 7 panhypopituitarisms, 4 of seven hypothyroidisms and one of two hypogonadisms, respectively. Fifteen (20%) patients were lost to follow up after R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