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0년대부터 그 가동이 시작된 우리나라 노동관계법·제도 및 노동정책은 1970년대에 시작된 자본의 세계화와 국제적인 자유무역의 활성화와 함께 신자유주의 노동정책의 영향을 받기 시작...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42979
2021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71-306(36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950년대부터 그 가동이 시작된 우리나라 노동관계법·제도 및 노동정책은 1970년대에 시작된 자본의 세계화와 국제적인 자유무역의 활성화와 함께 신자유주의 노동정책의 영향을 받기 시작...
1950년대부터 그 가동이 시작된 우리나라 노동관계법·제도 및 노동정책은 1970년대에 시작된 자본의 세계화와 국제적인 자유무역의 활성화와 함께 신자유주의 노동정책의 영향을 받기 시작하였다. 특히, 1997년과 2008년 두 차례의 심각한 경제위기 상황을 맞으면서 “노동시장의 유연화” 내지 “규제완화”의 경향성이 강하게 대두되었는데, 이러한 경향은 이른바 촛불혁명을 통해 집권한 현 정부에 이르러서도 크게 달라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우리 산업사회에 심화되고 있는 “공동체의 붕괴”와 “사회 양극화 확대”가 해소되지 않는 한 “노동이 존중되는 공정사회”는 물론이고 더 나아가, “사람이 먼저”인 “차별없는 사회”는 다가오지 않을 것이다. 한 때는 영원할 것 같았던 로마제국이 중간계층의 몰락과 무산계급의 극빈화에 기인한 “사회 양극화”로 내부적으로 서서히 무너져갔음을 기억해야 하는 이유도 바로 이러한 위기의식에서 기인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Korean Labor Law System & Labor Policy had started from 1950’s and had come under the influence of the Neo-liberalism, Globalization of Capital and the Activation of International Free Trade from 1970’s. Particularly, facing the double serious...
The Korean Labor Law System & Labor Policy had started from 1950’s and had come under the influence of the Neo-liberalism, Globalization of Capital and the Activation of International Free Trade from 1970’s. Particularly, facing the double serious Economic Crisis in 1997 and 2008, the Flexibility of Labor Market and Deregulation of Labor Laws had become conspicuous. These trends has remained unchanged till the present Government, had come into being by so called Candle Revolution, have carried forward the National Labor Scheme. But without clearing up the Collapse of Community and Social Polarization in Korean Industrial Society, the Labor-regarding Fair-Society and Indiscriminating Human preferential Society would not come true. This is the reason why we should remember the origin of Decadence of Roman Empire, caused by the ruin of middle bracket and the destitution of proletarian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영기, "한국의 노동법 개정과 노사관계-‘87년 이후 노동법 개정사를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2000
2 이원덕, "한국의 노동(1987~2002)" 한국노동연구원 2003
3 김삼수, "한국의 1997년 개정 노동법" 한국노동경제학회 21 (21): 1998
4 이원보, "한국노동운동사 100년의 기록" 한국노동사회연구소 2005
5 김영곤, "한국 노동사와 미래" 선인 2005
6 유재원, "코로나시대의 통상해고 법리" 2021
7 더불어민주당, "제19대 대통령선거 정책공약집 : 나라를 나라답게"
8 조효래, "이명박 정부의 노동정책: 변화와 연속성?" 한국사회과학연구회 (87) : 224-263, 2013
9 김인재, "이명박 정부 노동정책의 평가와 과제" 민주주의법학연구회 (50) : 151-182, 2012
10 김승묵, "우리나라 노사관계의 시대별 변화에 관한 연구 -1940년대에서 2000년대까지의 노동운동을 중심으로-" 한국기업경영학회 16 (16): 285-309, 2009
1 최영기, "한국의 노동법 개정과 노사관계-‘87년 이후 노동법 개정사를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2000
2 이원덕, "한국의 노동(1987~2002)" 한국노동연구원 2003
3 김삼수, "한국의 1997년 개정 노동법" 한국노동경제학회 21 (21): 1998
4 이원보, "한국노동운동사 100년의 기록" 한국노동사회연구소 2005
5 김영곤, "한국 노동사와 미래" 선인 2005
6 유재원, "코로나시대의 통상해고 법리" 2021
7 더불어민주당, "제19대 대통령선거 정책공약집 : 나라를 나라답게"
8 조효래, "이명박 정부의 노동정책: 변화와 연속성?" 한국사회과학연구회 (87) : 224-263, 2013
9 김인재, "이명박 정부 노동정책의 평가와 과제" 민주주의법학연구회 (50) : 151-182, 2012
10 김승묵, "우리나라 노사관계의 시대별 변화에 관한 연구 -1940년대에서 2000년대까지의 노동운동을 중심으로-" 한국기업경영학회 16 (16): 285-309, 2009
11 문무기, "우리나라 노동관계법제와 노동정책에 대한 연혁적 고찰" 한국법정책학회 14 (14): 969-1001, 2014
12 문무기, "신설 비정규직 차별시정제도에 대한 비판적 고찰" 법학연구원 (47) : 439-466, 2014
13 고용노동부, "비정규직 입법방향 전문가 토론회"
14 이상훈, "박근혜정부의 노동정책 분석과 전망: 노동의 부재와 신자유주의적 고용체제의 공고화" 사회공공연구소 2013
15 조용만, "로스쿨 노동법 해설" 도서출판 오래 2019
16 이철수, "로스쿨 노동법" 도서출판 오래 2019
17 박명준, "단체협약분석" 고용노동부 2014
18 노사관계제도선진화연구위원회, "노사관계법 제도 선진화 방안" 한국노동연구원 2003
19 노동부, "노동행정사: 제2편 노동시장정책"
20 김근주, "노동판례리뷰: 통상해고의 정당성" 한국노동연구원 2021
21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노동시장 구조개선을 위한 사회적 대타협" 2015
22 니시타니 사토시(西谷 敏), "노동법의 기초구조" 박영사 2016
23 유성재, "노동법 60년사" 한국노동법학회 2010
24 김형배, "노동법" 박영사 2014
25 지식경제부, "노동규제법 개정안" 2008
26 강희원, "근로자의 쟁의(행위)권의 행사와 공공복리 헌법재판소 1996. 12. 26. 선고 90헌바19 결정, 92헌바41 결정, 94헌바49 결정과 관련하여" 헌법실무연구회 3 : 2002
27 문무기, "9.15 노사정합의와 노동법 개정안 검토 - 기단법 및 근기법을 중심으로 -" 한국노동법학회 (56) : 51-67, 2015
28 배규식, "2013년 노사관계 평가와 2014년 노사관계 전망" 한국노동연구원 2014
29 대한변호사협회, "2013 인권보고서(제28집)" 2014
30 노사정위원회, "2003년 연차보고서" 2004
31 최영기, "1987년 이후 한국의 노동운동" 한국노동연구원 2001
비정규직·무기계약직에 대한 차별의 합리성에 관한 판단법리
근로3권과 협약자율 및 노동조합법 제1조의 의미와 관계에 대한 단상
팬데믹 상황을 대비한 농업 분야 외국인력 활용 제도의 법정책적 개선 방안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2 | 0.62 | 0.5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7 | 0.63 | 0.876 | 0.07 |
(방송) 위대한 수업4(GREAT MINDS) - 저출생, 워킹맘, 극우 그리고 신자유주의
K-MOOC EBS 조앤 윌리엄스(MOOC) 위대한 수업4(GREAT MINDS) - 저출생, 워킹맘, 극우 그리고 신자유주의
K-MOOC EBS 조앤 윌리엄스(더빙) 위대한 수업4(GREAT MINDS) - 저출생, 워킹맘, 극우 그리고 신자유주의
K-MOOC EBS 조앤 윌리엄스(수어) 위대한 수업4(GREAT MINDS) - 저출생, 워킹맘, 극우 그리고 신자유주의
K-MOOC EBS 조앤 윌리엄스FTA and Law
한국외국어대학교 김봉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