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내 노인들의 문화에서 “알코올 사용”이 보편적이고 허용적인 행태임을 고려한다면 일반주의적인 관점에서 노인의 알코올 사용문제를 조망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들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525619
2009
Korean
334.1
학술저널
1-18(1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지역사회 내 노인들의 문화에서 “알코올 사용”이 보편적이고 허용적인 행태임을 고려한다면 일반주의적인 관점에서 노인의 알코올 사용문제를 조망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들의 ...
지역사회 내 노인들의 문화에서 “알코올 사용”이 보편적이고 허용적인 행태임을 고려한다면 일반주의적인 관점에서 노인의 알코올 사용문제를 조망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들의 사회참여활동과 알코올 사용과의 관련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노인들의 사회참여활동 유형으로는 사교단체, 종교단체, 취미, 레저단체(문화 활동), 자원봉사활동, 교육활동, 정치단체 등이 있으나 아직까지 “사교단체참여활동”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교단체라 할 수 있는 경로당(노인정)을 이용하는 노인들은 주로 고령이며, 교육․문화적 혜택의 경험이 대체로 낮아 노인 당사자 스스로 보다 적극적인 사회참여활동의 방향을 제시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을 지닌다. 현재까지 경로당은 노인들의 자율적인 운영에 의지하고 있어 알코올사용과 화투, 장기 등이 여가놀이로서 깊이 자리 잡고 있다. 특히 알코올 사용은 노인의 건강에 매우 치명적이라는 연구결과들이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지만 노인들의 알코올 사용은 젊은 성인 군에 비해 더욱 심각하다. 이에 노인들의 알코올 사용을 줄이고 사회참여활동을 보다 적극적인 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대안마련이 시급이 요구된다. 즉 다양한 노인들의 인구학적 특성을 고려한 개입과 노인 당사자 중심의 계획 및 실천이 보다 포괄적인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하겠다.
목차 (Table of Contents)
비행과 범죄피해를 경험한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