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목적: 가. 학문의 형식적인 통합이 아닌 진정한 통합의 연구 지향. 최근에 전방위적으로 진행되는 학문간 통합은 일정 부분 문제가 많으며, 학문의 형식적인 통합이 아닌 진정한 통합...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58623
2015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 연구목적: 가. 학문의 형식적인 통합이 아닌 진정한 통합의 연구 지향. 최근에 전방위적으로 진행되는 학문간 통합은 일정 부분 문제가 많으며, 학문의 형식적인 통합이 아닌 진정한 통합...
1. 연구목적: 가. 학문의 형식적인 통합이 아닌 진정한 통합의 연구 지향. 최근에 전방위적으로 진행되는 학문간 통합은 일정 부분 문제가 많으며, 학문의 형식적인 통합이 아닌 진정한 통합으로 나갈 필요가 있다. 현재 사용 중인 융․복합 연구는 다학문적 연구, 즉 여러 학문의 병렬적 통합의 수준에 와 있으며, 장차 간학문적, 교차, 초학문적 수준으로 나아가야 한다. 따라서 최근 융․복합 연구 변화에 나타난 경향은 학문 간의 통합을 보다 긴밀하게 해야 한다는 의지의 발로이며, 단순한 물리적 통합보다는 화학적 통합을 통하여 시너지 효과를 최대화 할 필요가 있다. 나. 인간과학 주류 방법론의 한계 극복: 내러티브 지식(narrative knowledge). 인문사회과학연구나 자연과학연구가 인간의 각종 문제 해결에 유용한 답을 제공하기위해서는 실천가들이 실천 현장에서 어떤 종류의 지식을 사용하는지 조사할 필요가 있다. 그 문제의 관건은 실천가들이 내러티브적 지식으로 일을 한다는 것이다. 그들이 관심 있어 하는 부분은 사람들의 '이야기'이다. 그들은 사례사(개인 기록)를 가지고 업무를 진행하며 의뢰인들이 왜 그런 방식으로 행동하는지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서 내러티브 설명방식을 사용한다(Polkinghorne, 1983; 1988; Rossiter & Clark, 2007). 다. 인문사회과학과 과학기술의 융합의 본질 탐색. 본 연구는 표면적으로는 인문사회과학과 과학기술의 융합이다. 교육학, 국문학, 심리학, 간호학, 기술공학 등의 결합이다. 그러나 내러티브를 기반으로 하여 인간의 문제를 해결하는 통합연구이다. 과거 통합연구는 여러 학문들이 병렬적으로 결합하여 최소한의 기여를 조합하는 방식이었다면 본 연구는 인간 경험의 내러티브 속성에 비추어 보다 긴밀하게 관련 학문들을 융합하고자 한다.
소위 내러티브 과학(narrative science)이라는 새로운 학문 분야를 개척하고 인간 문제의 응용영역을 창안하는 연구이다. 더욱이 최근 들어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소통 문제가 변질 왜곡되고, 정신과 영혼의 치유가 중요한 숙제로 등장하고 있다. 내러티브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주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해줄 것으로 예상한다. 실제 부분적으로 많은 성과를 산출하고 있기도 하다. 본 연구는 여기에서 더 나아가 이론적으로는 새로운 분야를 확립하고, 실제적으로는 실천 장면에서 산출된 지식을 적용해보기도 한다.
2. 연구내용: 융․복합 사례 연구 분석, ‘내러티브 과학’이라는 융․복합 분야의 학문적 토대 구성, 융․복합 시너지 효과 방안 탐색을 주로 수행한다. 그리고 창의적 지식의 창안과 응용 영역 확장. 기존 학문 융합 연구에서 산출되는 지식들은 조각난 정보들을 짜깁기 하는 방식(patch work)이었다. 이러한 방식 하에서는 산출된 지식이 응용되는 데에도 제한적이며, 심각한 문제는 지식의 생명 주기(life cycle)가 짧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학문들 간의 공통적인 주제나 개념, 핵심적인 아이디어나 원리에 토대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제 연구는 학문들을 긴밀하게 통합해주는 공통적인 주제나 원리들에 의해 수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학문들의 근본 기저인 인간 경험의 구성 문제에 주목하여 융합 연구를 접근(approach)하고자 한다. 즉 내러티브를 기초로 하여 새로운 학문적 지식을 창안하고 그 응용 분야를 확장시켜나가고자 한다.
3. 연구방법: 문한연구, 사례연구, FGI, 정기적인 콜로키움을 활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