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제대군인 가산점제도에 관한 연구 - 미국의 법률과 판례를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7115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미국의 현행 제대군인 우대조치는 미국 연방법전 제5장에 산재되어 있다. 제5장은 공직시험에서 가산점 부여, 임명 ․전직 ․승진 ․해고상의 유임 ․복직에서의 우대, 임용후보자명부에서 선순위 배치 등의 형태로 제대군인 우대조치를 규정하고 있다.
      제5장에 의하여 당해 직위에 자격을 가진 제대군인이 공직시험에서 합격점수를 얻은 경우, 그가 속하는 제대군인의 범주에 따라 취득점수에 5점 또는 10점의 가산점수를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우대권이 있는 제대군인은 제5장의 임용후보자명부에서 선순위 3배수에 등재되고 3명 중에서 우선적으로 임명될 수 있다.
      제대군인 가산점제도는 군복무로 인한 희생에 대한 보상으로, 그리고 군생활에서 민간생활로 쉽게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는 목적을 가지기 때문에 그 정당성이 인정된다. 피니(Feeney) 판결에서 연방대법원은 절대적인 제대군인 가산점제도를 합헌이라고 확인하였다.
      미국의 제도 중 가산점을 부여할 수 있는 제대군인과 군복무 제한, 일정한 가족에 대한 가산점 부여, 가산점 부여 절차에서 3배수 법칙 등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미국의 현행 제대군인 우대조치는 미국 연방법전 제5장에 산재되어 있다. 제5장은 공직시험에서 가산점 부여, 임명 ․전직 ․승진 ․해고상의 유임 ․복직에서의 우대, 임용후보자명부에서 ...

      미국의 현행 제대군인 우대조치는 미국 연방법전 제5장에 산재되어 있다. 제5장은 공직시험에서 가산점 부여, 임명 ․전직 ․승진 ․해고상의 유임 ․복직에서의 우대, 임용후보자명부에서 선순위 배치 등의 형태로 제대군인 우대조치를 규정하고 있다.
      제5장에 의하여 당해 직위에 자격을 가진 제대군인이 공직시험에서 합격점수를 얻은 경우, 그가 속하는 제대군인의 범주에 따라 취득점수에 5점 또는 10점의 가산점수를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우대권이 있는 제대군인은 제5장의 임용후보자명부에서 선순위 3배수에 등재되고 3명 중에서 우선적으로 임명될 수 있다.
      제대군인 가산점제도는 군복무로 인한 희생에 대한 보상으로, 그리고 군생활에서 민간생활로 쉽게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는 목적을 가지기 때문에 그 정당성이 인정된다. 피니(Feeney) 판결에서 연방대법원은 절대적인 제대군인 가산점제도를 합헌이라고 확인하였다.
      미국의 제도 중 가산점을 부여할 수 있는 제대군인과 군복무 제한, 일정한 가족에 대한 가산점 부여, 가산점 부여 절차에서 3배수 법칙 등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urrent veterans' preference is codified in scattered provisions of Title 5 of United States Code in America. It provides veterans' preference in the form of additional points being added to passing score in civil service examination, preference in appointments, transfers, promotions, retentions, reinstatements, and higher placement on employment lists of candidates.
      Preference eligibles who are qualified for a position by Title 5 and achieved a passing score have 5 or 10 extra points shall add to their numerical rating depending on which of categories of preference provided Title 5 they meet in. And preference eligibles shall be selected for appointment to each vacancy from highest three eligibles available for appointment on employment lists of candidates under the Title 5.
      Veterans' preference has been justified as a reward for veterans for their sacrifice for military service and to ease their transition from life in the military back to civilian life. In Feeney, The Court upheld an absolute preference for veteran constitutional.
      This article draws the conclusion that we shall adopt the defined veteran, the awarding of preference points to the veterans' kin, the definite number of additional points, the specified period of service, and veterans' placement on the register.
      번역하기

      Current veterans' preference is codified in scattered provisions of Title 5 of United States Code in America. It provides veterans' preference in the form of additional points being added to passing score in civil service examination, preference in ap...

      Current veterans' preference is codified in scattered provisions of Title 5 of United States Code in America. It provides veterans' preference in the form of additional points being added to passing score in civil service examination, preference in appointments, transfers, promotions, retentions, reinstatements, and higher placement on employment lists of candidates.
      Preference eligibles who are qualified for a position by Title 5 and achieved a passing score have 5 or 10 extra points shall add to their numerical rating depending on which of categories of preference provided Title 5 they meet in. And preference eligibles shall be selected for appointment to each vacancy from highest three eligibles available for appointment on employment lists of candidates under the Title 5.
      Veterans' preference has been justified as a reward for veterans for their sacrifice for military service and to ease their transition from life in the military back to civilian life. In Feeney, The Court upheld an absolute preference for veteran constitutional.
      This article draws the conclusion that we shall adopt the defined veteran, the awarding of preference points to the veterans' kin, the definite number of additional points, the specified period of service, and veterans' placement on the regist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미국 제대군인 가산점제도의 역사
      • 1. 남북전쟁 이전의 우대조치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미국 제대군인 가산점제도의 역사
      • 1. 남북전쟁 이전의 우대조치
      • 2. 독립전쟁과 제1차 대전 사이의 우대조치
      • 3. 양차 대전 중의 우대조치
      • 4. 1944년 제대군인우대법 제정
      • 5. 1944년 제대군인우대법의 개정과 우대조치
      • 6. 1978년 공무원제도개혁법과 우대조치
      • 7. 1997년 국방예산법과 우대조치
      • 8. 2006년 국방수권법과 우대조치
      • Ⅲ. 미국 제대군인 가산점제도의 목적
      • Ⅳ. 미국 제대군인 가산점제도의 내용
      • 1. 연방법상의 군가산점제도
      • 2. 주법상의 군가산점제도
      • Ⅴ. 미연방대법원의 피니(Feeney) 판결 분석
      • 1. 사건의 개요
      • 2. 연방 대법원의 판결
      • Ⅵ. 결론 : 시사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성희, "헌재, 군가산점제 사회변화 따라 합리적 판단 기대, 뉴시스 2008.10.1"

      2 황용해, "제대군인지원 왜 필요한가, 국정 브리핑 2004.12.02"

      3 김영호, "제대군인에게 천국인 미국, 노컷 뉴스 2007.7.5"

      4 "제대군인에게 가산점을 주는 미국 …… 그러나, 오마이 뉴스 2009.10.19"

      5 "장애인을 열등한 존재로 내모는 군 가산점 제도, 함께 걸음 사회 2011.6.3"

      6 "실질적 제대군인 보상제 실시하라, 노컷 뉴스 2011.5.19"

      7 임지봉, "성차별과 제대군인 우대제도, 법률신문 2007.3.20"

      8 안형주, "미국의 보훈제도" 국가보훈처·보훈교육연구원 2005

      9 "군복무가산점 재도입 80% 찬성, 조선일보 2011.5.20"

      10 "국민 80% 軍가산점제 재도입 찬성, 서울신문 2010.5.20"

      1 김성희, "헌재, 군가산점제 사회변화 따라 합리적 판단 기대, 뉴시스 2008.10.1"

      2 황용해, "제대군인지원 왜 필요한가, 국정 브리핑 2004.12.02"

      3 김영호, "제대군인에게 천국인 미국, 노컷 뉴스 2007.7.5"

      4 "제대군인에게 가산점을 주는 미국 …… 그러나, 오마이 뉴스 2009.10.19"

      5 "장애인을 열등한 존재로 내모는 군 가산점 제도, 함께 걸음 사회 2011.6.3"

      6 "실질적 제대군인 보상제 실시하라, 노컷 뉴스 2011.5.19"

      7 임지봉, "성차별과 제대군인 우대제도, 법률신문 2007.3.20"

      8 안형주, "미국의 보훈제도" 국가보훈처·보훈교육연구원 2005

      9 "군복무가산점 재도입 80% 찬성, 조선일보 2011.5.20"

      10 "국민 80% 軍가산점제 재도입 찬성, 서울신문 2010.5.20"

      11 Fleming, John H., "Veterans' Preferences in Public Employment: Unconstitutional Gender Discrimination" 26 : 13-, 1977

      12 Brown, V.I., "Veteran Preference Employment Statutes" McFarland & Company, Inc 2001

      13 Office of Personnel Management, "VetGuide"

      14 Knight, Amy W., "The Veterans Benefits Administration: An Organizational History: 1776-1994" Diane Publishing Company 1995

      15 Milcof, Joseph P., "COMMENT: Veterans' Preference Act After Brickhouse v. Spring-Ford Area School District: Has the Preference Been Rendered Illusory" 103 : 639-, 1999

      16 Torresi, Brian, "COMMENT: Comment Operation Rewarding Sacrifice: A Proposal to Amend the Definition of "Veteran" in Title 5 to Fully Effectuate the Purposes of Veterans' Preference" 110 : 209-, 2005

      17 Hellman, Deborah, "Article: The Expressive Dimension of Equal Protection" 85 : 1-,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7 0.57 0.693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