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단행본] 헤겔 예술철학 : 베를린 1823년 강의.H. G. 호토의 필기록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차
      호토의 난외주석에 따른 분류 = 8
      참고도판 = 14
      편집자 해제 : 헤겔의 예술철학 : H. G. 호토가 받아 쓴 1823년 베를린 예술철학 강의 노트의 편집에 관하여 / 안네마리 게트만-지페르트 = 31
      들어가는 말 = 77
      예술에 대한 통념 = 77
      예술은
      a) 자유로운 상상에 속하는 것으로서 = 77
      b) 단순히 호감적인 것으로서 = 77
      c) 단지 가상 속에서 그 현실성을 갖는 것으로서 학문적 고찰의 대상이 될 수 없다는 통념 = 77
      이 범주들에 대한 더 자세한 고찰 = 78
      a) 가상이라는 범주 = 78
      α) 가상 일반 = 78
      β) 예술에서의 가상 = 78
      b) 학문적으로 다룰 만한 예술의 가치 = 80
      그러므로 우리는 우선 예술에 대한 일반적인 표상만 가지고 있다 = 83
      1) 예술작품은 자연산물이 아니라 인간에 의해 생산된 것이라는 통념 = 83
      a) 그러므로 우리는 그것에 따라 각자가 예술작품을 생산할 수 있는 규칙을 확정해야만 한다는 통념 = 84
      b) 따라서 우리는 산물이 순수하게 어떤 특수한 소질에 속한다는 그 반대의 신념에 빠진다 = 85
      c) 인간의 작품으로서의 예술작품은 자연산물에 뒤진다는 통념 = 87
      d) 인간은 도대체, 왜 예술작품을 제작하는가라는 물음 = 88
      2) 예술작품은 인간, 더 자세히는 인간의 감각을 위해 만들어진 것이라는 통념 = 90
      a)
      α) 예술작품은 쾌적한 감각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제작되어 있다는 통념 = 90
      β) 더 자세히는 예술작품은 아름다움의 감정을 불러일으켜야 한다는 통념 = 92
      b) 예술작품은 피상적으로나 감정에 의해서가 아니라 특정한 측면에 의해 판정될 수 있다는 통념: 전문성 = 93
      c) 예술에 나타나는 그대로의 감각적인 것의 관계들 = 94
      α) 객관적인 것으로서의 예술작품에 관하여 = 94
      β) 예술가의 주관적 활동에 관하여 = 98
      γ) 예술 일반과 관련하여 = 100
      3) 예술작품은 그 작용에 목적이 있다는 통념 = 101
      a) 자연의 모방이 목적이라는 통념 = 101
      b) 인간 가슴 속에 존재하는 모든 것을 표현하는 것이 목적이라는 통념 = 102
      c) 예술은 본질적으로 궁극목적을 가져야 하는데, 그 궁극목적은 야만의 유화 및 요컨대 도덕적인 것의 확산이라는 통념 = 103
      예술개념 일반 = 108
      우리가 고찰할 학문의 분류 = 110
      1) 일반부분 = 110
      a) 절대적 통일성을 향한 노력 또는 상징적 예술 = 111
      b) 내용과 형식의 절대적 통일성 혹은 고전적 예술 = 112
      c) 이 절대적 통일성의 와해 혹은 낭만적 예술 = 113
      2) 특수부분 = 114
      a) 이 규정성들에 대한 추상적 방식의 고찰 = 114
      α) 건축 = 114
      β) 조각 = 115
      γ) 낭만적 예술 = 115
      b) 보다 구체적인 고찰 = 116
      α) 건축에 대한 고찰 = 117
      β) 조각에 대한 고찰 = 117
      γ) 낭만적 예술에 대한 고찰 = 118
      ⅰ) 회화 = 119
      ⅱ) 음악 = 120
      ⅲ) 시 = 121
      c) 추상적으로 감각적인 공간과 시간이라는 측면에 따른 고찰 = 122
      α) 건축은 그 현존재의 3차원에 따라 공간을 질료로 취한다 = 122
      β) 조각은 이를 규정하는 영혼이 거주하는 유기적인 형태를 만들 때 3차원을 필요로 한다 = 122
      γ) 낭만적 예술 = 122
      ⅰ) 회화는 추상적 공간과 평면, 평면의 형상화를 사용한다 = 122
      ⅱ) 공간의 추상적 부정, 즉 시간의 음(音)예술 = 123
      ⅲ) 공간과 시간의 절대적 부정성인 시 = 123
      일반예술형식과 특수예술의 관계 = 123
      a) 상징적 예술은 건축에서 최대로 적용된다 = 123
      b) 고전적 예술은 조각에서 최대로 적용된다 = 123
      c) 낭만적 예술에는 회화와 음악이 속한다 = 123
      d) 시는 모든 예술형식들을 거쳐 나아간다 = 123
      일반부분
      Ⅰ. 미 이념 = 127
      제1부 = 127
      1) 미 일반 = 127
      a) 개념 그 자체는 자신 속에서 구분되는 존재의 이념적 통일성이다 = 128
      b) 실재성은 개념 속에 있는 이념적인 계기들의 직접적인 현존이다 = 129
      c) 개념의 계기들의 이러한 현존들은 또한 그 실재성에서도 개념의 통일성으로서 총괄된다 = 129
      α) 첫 번째 필연적인 통일성은 우리에게는 지체들이 서로 나란히 있는 익숙함 속에 있다 = 137
      β) 익숙함에서 계속 나아가게 되는 바는 특정한 속성이 지체들의 필연적 연관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 137
      γ) 감각 혹은 의미로 가득 찬 직관 = 139
      A. 추상적 형식 = 144
      a) 같은 형태의 추상적 반복으로서의 합규칙성 = 144
      b) 같지 않은 형태들의 추상적인 반복으로서의 균제 = 144
      c) 추상적으로 내적인 연관으로서의 합법칙성 = 148
      B. 추상적 내용 혹은 자기 자신과 동등한 통일성으로서의 질료 = 152
      살아 있다는 것만으로서의 미의 결함: = 153
      a) 유기체로서의 생명체에 관하여 = 155
      b) 직접적으로 개별적인 것으로서의 생명성에 관하여 = 157
      c) 개별 생명체는 개체적인 것으로서 자신 속에서 특수화되고 한정되어 있다는 것에 관하여 = 159
      제2부 : 예술미 혹은 이념상 일반 = 160
      제3부 : 이념상의 현존재 혹은 예술미의 현실성 = 164
      1) 보편적 상태로서의 외부 세계. 이 속에서 개별 이상이 실현된다 = 165
      2) 상황 = 170
      a) 정지해 있는, 과정이 없는 상황: 고대의 신전 조각상 = 171
      b) 움직임으로서의 상황: 역학적 상황 또는 욕구의 외화 = 171
      c) 행위로서의 상황 = 173
      3) 상태에 반하는 행위와 이 행위의 반작용, 즉 자신의 특수한 상황에 대한 실체적인 상태의 반작용 = 174
      a) 행위에 의해 실행되는 실체적인 것 = 177
      b) 행위의 실체성을 현실화한 것으로서의 구체적인 인간 개별성 = 184
      4) 이상이 현실화될 때의 완전히 외적인 규정성 = 186
      a) 이 일치는 우선 주체와 이를 둘러싸고 있는 비유기적 자연 간의 조화에 있다 = 188
      b) 두 번째 일치는 인간이 자연 속에서 자기 자신에 만족함으로써 낳는 일치이다 = 189
      α) 이론적 만족: 장식 = 189
      β) 만족의 실천적 관계 = 190
      c) 관습과 관련된 일치 = 192
      Ⅱ. 일반적 예술형식들 = 200
      제1부 : 상징적 예술형식 = 200
      제1장 상징 일반에 대하여 = 200
      1) 자연대상에 대한 일반적인 표상이 내용일 수 있다 = 210
      2) 상징적인 것에서 이런 내용의 형태화는 불완전하다 = 212
      아름다운 것 혹은 고전적 예술로의 이행을 이루는 것은 이집트 상징인데, 더구나 이집트 상징이 상징으로서
      1) 전체 상징을 만들어냄으로써 = 219
      2) 혹은 죽은 자의 왕국에 대한 표상이 등장함으로써 그렇게 된다 = 220
      제2장 상징적인 것의 직접적인 통일성의 분리: 숭고의 시 혹은 성스러운 시 = 223
      제3장 의미와 형태의 분리로부터 통일성으로의 복귀: 직유 = 225
      1) 이솝 우화 = 227
      a) 수수께끼 = 228
      b) 비유담 = 229
      c) 교훈담 = 229
      2) 알레고리 = 229
      3) 은유 = 230
      4) 비유 = 230
      α) 감화된 심정이 자신의 내용을 그 직접성에서 표명하지 않으므로 한 번쯤 비유들이 생길 수 있다 = 233
      β) 이에 대한 다른 측면은 심정이 자신의 내용으로부터 해방된다는 것이다 = 234
      제2부 : 고전적 예술형식 일반 = 237
      개별성의 이러한 출현을 위한 재료를 조달하는 것: = 257
      1) 고전적 예술의 전제인 상징적 예술 = 257
      2) 그 외의 소재는 옛 왕들과 영웅들의 역사적인 전통이 제공한다 = 258
      3) 세 번째 원천은 시인의 상상이다 = 259
      제3부 : 낭만적 예술형식 = 265
      1) 종교적 영역 = 270
      a) 자기 자신과의 신적 화해의 과정 = 273
      b) 다른 개인들에게서의 이러한 과정을 서술 = 274
      c) 심정의 내면성에서 이루어지는 신적인 과정의 서술 = 276
      2) 세속적 영역 = 277
      a) 명예 = 279
      b) 사람 = 280
      c) 충성 = 281
      3) 형식적 주관성 = 282
      특수부분 = 295
      제1부 : 조형예술 = 299
      제1장 = 299
      A. 건축 = 299
      1) 자립적 또는 상징적인 건축 = 301
      2) 고전적 건축 = 314
      가옥을 이루는 계기들 = 317
      a) 받치는 것: 원주, 벽, 들보 = 317
      b) 받쳐진 것 = 317
      사원의 계기들 = 317
      a) 받치는 것 = 317
      α) 연속과 그룹으로 있는 기둥 = 318
      β) 고정된 장벽으로 둘러싸인 내부 = 318
      γ) 원주들과의 결합 = 318
      b) 받쳐진 것은 지붕이다 = 319
      3) 낭만적 건축 = 320
      제2장 = 323
      B. 조각 = 323
      제3장 = 343
      C. 회화 = 343
      제2부 : 음향예술 혹은 음악 = 357
      제3부 : 언어예술 혹은 시 = 366
      제1장 서사시 = 380
      서사시의 역사 = 391
      1) 동양의 서사적인 시작품들: 상징적인 시작품들 = 391
      2) 고전적인 시작품: 호메로스, 베르길리우스 = 391
      3) 낭만적인 고대 서사시 : 오시안, 단테의 『신곡』, 아리오스토, 타소 등 = 391
      제2장 서정시 = 392
      제3장 극 = 393
      고전 비극 = 396
      1) 합창은 안정된 통일성 속에 있는 보편적인 위력들이다 = 397
      2) 비극의 두 번째 측면을 이루는 것은 안정된 상태의 충돌이다 = 397
      3) 그러나 이런 꺾이지 않는 강건함이 개별자들을 서로 파괴하게 한다 = 400
      a) 개인은 자신의 타자를 자신에 대해 외적으로 가질 정도로 몰락할 수 있다 = 400
      b) 또는 개인은 그 자신에게서 자신의 타자를 갖는다 = 400
      c) 세 번째 화해는 주체 자체에서 생겨나는 화해이다 = 401
      근대 비극
      희극
      부록
      언급되는 책 = 409
      편집자와 역자의 주 = 413
      용어해설 = 473
      역자해설 = 489
      필자소개 = 495
      사항색인 = 501
      인명색인 = 508

      (출처: RISS, http://www.riss.kr/link?id=M11165767)
      번역하기

      목차 호토의 난외주석에 따른 분류 = 8 참고도판 = 14 편집자 해제 : 헤겔의 예술철학 : H. G. 호토가 받아 쓴 1823년 베를린 예술철학 강의 노트의 편집에 관하여 / 안네마리 게트만-지페르트...

      목차
      호토의 난외주석에 따른 분류 = 8
      참고도판 = 14
      편집자 해제 : 헤겔의 예술철학 : H. G. 호토가 받아 쓴 1823년 베를린 예술철학 강의 노트의 편집에 관하여 / 안네마리 게트만-지페르트 = 31
      들어가는 말 = 77
      예술에 대한 통념 = 77
      예술은
      a) 자유로운 상상에 속하는 것으로서 = 77
      b) 단순히 호감적인 것으로서 = 77
      c) 단지 가상 속에서 그 현실성을 갖는 것으로서 학문적 고찰의 대상이 될 수 없다는 통념 = 77
      이 범주들에 대한 더 자세한 고찰 = 78
      a) 가상이라는 범주 = 78
      α) 가상 일반 = 78
      β) 예술에서의 가상 = 78
      b) 학문적으로 다룰 만한 예술의 가치 = 80
      그러므로 우리는 우선 예술에 대한 일반적인 표상만 가지고 있다 = 83
      1) 예술작품은 자연산물이 아니라 인간에 의해 생산된 것이라는 통념 = 83
      a) 그러므로 우리는 그것에 따라 각자가 예술작품을 생산할 수 있는 규칙을 확정해야만 한다는 통념 = 84
      b) 따라서 우리는 산물이 순수하게 어떤 특수한 소질에 속한다는 그 반대의 신념에 빠진다 = 85
      c) 인간의 작품으로서의 예술작품은 자연산물에 뒤진다는 통념 = 87
      d) 인간은 도대체, 왜 예술작품을 제작하는가라는 물음 = 88
      2) 예술작품은 인간, 더 자세히는 인간의 감각을 위해 만들어진 것이라는 통념 = 90
      a)
      α) 예술작품은 쾌적한 감각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제작되어 있다는 통념 = 90
      β) 더 자세히는 예술작품은 아름다움의 감정을 불러일으켜야 한다는 통념 = 92
      b) 예술작품은 피상적으로나 감정에 의해서가 아니라 특정한 측면에 의해 판정될 수 있다는 통념: 전문성 = 93
      c) 예술에 나타나는 그대로의 감각적인 것의 관계들 = 94
      α) 객관적인 것으로서의 예술작품에 관하여 = 94
      β) 예술가의 주관적 활동에 관하여 = 98
      γ) 예술 일반과 관련하여 = 100
      3) 예술작품은 그 작용에 목적이 있다는 통념 = 101
      a) 자연의 모방이 목적이라는 통념 = 101
      b) 인간 가슴 속에 존재하는 모든 것을 표현하는 것이 목적이라는 통념 = 102
      c) 예술은 본질적으로 궁극목적을 가져야 하는데, 그 궁극목적은 야만의 유화 및 요컨대 도덕적인 것의 확산이라는 통념 = 103
      예술개념 일반 = 108
      우리가 고찰할 학문의 분류 = 110
      1) 일반부분 = 110
      a) 절대적 통일성을 향한 노력 또는 상징적 예술 = 111
      b) 내용과 형식의 절대적 통일성 혹은 고전적 예술 = 112
      c) 이 절대적 통일성의 와해 혹은 낭만적 예술 = 113
      2) 특수부분 = 114
      a) 이 규정성들에 대한 추상적 방식의 고찰 = 114
      α) 건축 = 114
      β) 조각 = 115
      γ) 낭만적 예술 = 115
      b) 보다 구체적인 고찰 = 116
      α) 건축에 대한 고찰 = 117
      β) 조각에 대한 고찰 = 117
      γ) 낭만적 예술에 대한 고찰 = 118
      ⅰ) 회화 = 119
      ⅱ) 음악 = 120
      ⅲ) 시 = 121
      c) 추상적으로 감각적인 공간과 시간이라는 측면에 따른 고찰 = 122
      α) 건축은 그 현존재의 3차원에 따라 공간을 질료로 취한다 = 122
      β) 조각은 이를 규정하는 영혼이 거주하는 유기적인 형태를 만들 때 3차원을 필요로 한다 = 122
      γ) 낭만적 예술 = 122
      ⅰ) 회화는 추상적 공간과 평면, 평면의 형상화를 사용한다 = 122
      ⅱ) 공간의 추상적 부정, 즉 시간의 음(音)예술 = 123
      ⅲ) 공간과 시간의 절대적 부정성인 시 = 123
      일반예술형식과 특수예술의 관계 = 123
      a) 상징적 예술은 건축에서 최대로 적용된다 = 123
      b) 고전적 예술은 조각에서 최대로 적용된다 = 123
      c) 낭만적 예술에는 회화와 음악이 속한다 = 123
      d) 시는 모든 예술형식들을 거쳐 나아간다 = 123
      일반부분
      Ⅰ. 미 이념 = 127
      제1부 = 127
      1) 미 일반 = 127
      a) 개념 그 자체는 자신 속에서 구분되는 존재의 이념적 통일성이다 = 128
      b) 실재성은 개념 속에 있는 이념적인 계기들의 직접적인 현존이다 = 129
      c) 개념의 계기들의 이러한 현존들은 또한 그 실재성에서도 개념의 통일성으로서 총괄된다 = 129
      α) 첫 번째 필연적인 통일성은 우리에게는 지체들이 서로 나란히 있는 익숙함 속에 있다 = 137
      β) 익숙함에서 계속 나아가게 되는 바는 특정한 속성이 지체들의 필연적 연관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 137
      γ) 감각 혹은 의미로 가득 찬 직관 = 139
      A. 추상적 형식 = 144
      a) 같은 형태의 추상적 반복으로서의 합규칙성 = 144
      b) 같지 않은 형태들의 추상적인 반복으로서의 균제 = 144
      c) 추상적으로 내적인 연관으로서의 합법칙성 = 148
      B. 추상적 내용 혹은 자기 자신과 동등한 통일성으로서의 질료 = 152
      살아 있다는 것만으로서의 미의 결함: = 153
      a) 유기체로서의 생명체에 관하여 = 155
      b) 직접적으로 개별적인 것으로서의 생명성에 관하여 = 157
      c) 개별 생명체는 개체적인 것으로서 자신 속에서 특수화되고 한정되어 있다는 것에 관하여 = 159
      제2부 : 예술미 혹은 이념상 일반 = 160
      제3부 : 이념상의 현존재 혹은 예술미의 현실성 = 164
      1) 보편적 상태로서의 외부 세계. 이 속에서 개별 이상이 실현된다 = 165
      2) 상황 = 170
      a) 정지해 있는, 과정이 없는 상황: 고대의 신전 조각상 = 171
      b) 움직임으로서의 상황: 역학적 상황 또는 욕구의 외화 = 171
      c) 행위로서의 상황 = 173
      3) 상태에 반하는 행위와 이 행위의 반작용, 즉 자신의 특수한 상황에 대한 실체적인 상태의 반작용 = 174
      a) 행위에 의해 실행되는 실체적인 것 = 177
      b) 행위의 실체성을 현실화한 것으로서의 구체적인 인간 개별성 = 184
      4) 이상이 현실화될 때의 완전히 외적인 규정성 = 186
      a) 이 일치는 우선 주체와 이를 둘러싸고 있는 비유기적 자연 간의 조화에 있다 = 188
      b) 두 번째 일치는 인간이 자연 속에서 자기 자신에 만족함으로써 낳는 일치이다 = 189
      α) 이론적 만족: 장식 = 189
      β) 만족의 실천적 관계 = 190
      c) 관습과 관련된 일치 = 192
      Ⅱ. 일반적 예술형식들 = 200
      제1부 : 상징적 예술형식 = 200
      제1장 상징 일반에 대하여 = 200
      1) 자연대상에 대한 일반적인 표상이 내용일 수 있다 = 210
      2) 상징적인 것에서 이런 내용의 형태화는 불완전하다 = 212
      아름다운 것 혹은 고전적 예술로의 이행을 이루는 것은 이집트 상징인데, 더구나 이집트 상징이 상징으로서
      1) 전체 상징을 만들어냄으로써 = 219
      2) 혹은 죽은 자의 왕국에 대한 표상이 등장함으로써 그렇게 된다 = 220
      제2장 상징적인 것의 직접적인 통일성의 분리: 숭고의 시 혹은 성스러운 시 = 223
      제3장 의미와 형태의 분리로부터 통일성으로의 복귀: 직유 = 225
      1) 이솝 우화 = 227
      a) 수수께끼 = 228
      b) 비유담 = 229
      c) 교훈담 = 229
      2) 알레고리 = 229
      3) 은유 = 230
      4) 비유 = 230
      α) 감화된 심정이 자신의 내용을 그 직접성에서 표명하지 않으므로 한 번쯤 비유들이 생길 수 있다 = 233
      β) 이에 대한 다른 측면은 심정이 자신의 내용으로부터 해방된다는 것이다 = 234
      제2부 : 고전적 예술형식 일반 = 237
      개별성의 이러한 출현을 위한 재료를 조달하는 것: = 257
      1) 고전적 예술의 전제인 상징적 예술 = 257
      2) 그 외의 소재는 옛 왕들과 영웅들의 역사적인 전통이 제공한다 = 258
      3) 세 번째 원천은 시인의 상상이다 = 259
      제3부 : 낭만적 예술형식 = 265
      1) 종교적 영역 = 270
      a) 자기 자신과의 신적 화해의 과정 = 273
      b) 다른 개인들에게서의 이러한 과정을 서술 = 274
      c) 심정의 내면성에서 이루어지는 신적인 과정의 서술 = 276
      2) 세속적 영역 = 277
      a) 명예 = 279
      b) 사람 = 280
      c) 충성 = 281
      3) 형식적 주관성 = 282
      특수부분 = 295
      제1부 : 조형예술 = 299
      제1장 = 299
      A. 건축 = 299
      1) 자립적 또는 상징적인 건축 = 301
      2) 고전적 건축 = 314
      가옥을 이루는 계기들 = 317
      a) 받치는 것: 원주, 벽, 들보 = 317
      b) 받쳐진 것 = 317
      사원의 계기들 = 317
      a) 받치는 것 = 317
      α) 연속과 그룹으로 있는 기둥 = 318
      β) 고정된 장벽으로 둘러싸인 내부 = 318
      γ) 원주들과의 결합 = 318
      b) 받쳐진 것은 지붕이다 = 319
      3) 낭만적 건축 = 320
      제2장 = 323
      B. 조각 = 323
      제3장 = 343
      C. 회화 = 343
      제2부 : 음향예술 혹은 음악 = 357
      제3부 : 언어예술 혹은 시 = 366
      제1장 서사시 = 380
      서사시의 역사 = 391
      1) 동양의 서사적인 시작품들: 상징적인 시작품들 = 391
      2) 고전적인 시작품: 호메로스, 베르길리우스 = 391
      3) 낭만적인 고대 서사시 : 오시안, 단테의 『신곡』, 아리오스토, 타소 등 = 391
      제2장 서정시 = 392
      제3장 극 = 393
      고전 비극 = 396
      1) 합창은 안정된 통일성 속에 있는 보편적인 위력들이다 = 397
      2) 비극의 두 번째 측면을 이루는 것은 안정된 상태의 충돌이다 = 397
      3) 그러나 이런 꺾이지 않는 강건함이 개별자들을 서로 파괴하게 한다 = 400
      a) 개인은 자신의 타자를 자신에 대해 외적으로 가질 정도로 몰락할 수 있다 = 400
      b) 또는 개인은 그 자신에게서 자신의 타자를 갖는다 = 400
      c) 세 번째 화해는 주체 자체에서 생겨나는 화해이다 = 401
      근대 비극
      희극
      부록
      언급되는 책 = 409
      편집자와 역자의 주 = 413
      용어해설 = 473
      역자해설 = 489
      필자소개 = 495
      사항색인 = 501
      인명색인 = 508

      (출처: RISS, http://www.riss.kr/link?id=M11165767)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헤겔의 철학이 예술과 만나면? 헤겔의 사유와 언설을 가감없이 접할 수 있는『헤겔 예술철학』!

      『헤겔 예술철학』은 헤겔이 1823년 베를린 대학에서 실시한 '예술철학' 강의를 직접 받아쓴 필기록으로, 헤겔 사유의 흐름과 발전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예술미를 시작으로 일반적, 상징적, 고전적, 낭만적 예술형식으로 나누어 예술전반에 대한 헤겔의 강의가 이어진다. 그런 다음 건축, 조각, 회화, 음악, 시 등 특수 예술분야에 대해 이야기한다.

      이를 통해 예술에 대한 헤겔의 정신철학적 및 역사철학적 입장을 분명히 보여주며 '역사 속에서 스스로 발전해가는 정신 내지 이념의 구체적인 형태와 의미 파악'을 가능하게 해준다. 또한 예술에서는 사유가 중요하고, 그러므로 더욱 예술철학이 필요하다는 헤겔 예술사유의 핵심을 명료하게 보여준다. [양장본]

      ☞ 이 책의 독서 포인트!
      그 동안 주로『헤겔 미학』이 일반인들 사이에 알려졌었다. 이는 헤겔 사후에 제자인 하인리히 구스타프 호토(『헤겔 예술철학』의 강의 수록자)가 편찬한 것으로 스승의 미학을 변증법적 체계에 따른 완결본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의무감에 많은 부분을 변형시켜 헤겔이 전하고자 했던 내용이 달리 다루어지거나 간과되었다.

      그러나『헤겔 예술철학』은 헤겔의 사유와 언설을 가감 없이 담고 있는 본래의 헤겔 예술철학의 번역본이기 때문에, 헤겔이 예술 속에서 무엇을 찾고자 했는지, 예술의 역할과 의미를 어떻게 찾아갔는지 그 과정을 생생히 느낄 수 있다. 특히 앞부분에 헤겔의 예술철학에 대한 편집자의 해제가 더해져 기본적인 배경지식을 갖추고 독서를 해 나갈 수 있다.

      (출처: 네이버 책정보,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4377462)
      번역하기

      헤겔의 철학이 예술과 만나면? 헤겔의 사유와 언설을 가감없이 접할 수 있는『헤겔 예술철학』! 『헤겔 예술철학』은 헤겔이 1823년 베를린 대학에서 실시한 '예술철학' 강의를 직접 받아...

      헤겔의 철학이 예술과 만나면? 헤겔의 사유와 언설을 가감없이 접할 수 있는『헤겔 예술철학』!

      『헤겔 예술철학』은 헤겔이 1823년 베를린 대학에서 실시한 '예술철학' 강의를 직접 받아쓴 필기록으로, 헤겔 사유의 흐름과 발전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예술미를 시작으로 일반적, 상징적, 고전적, 낭만적 예술형식으로 나누어 예술전반에 대한 헤겔의 강의가 이어진다. 그런 다음 건축, 조각, 회화, 음악, 시 등 특수 예술분야에 대해 이야기한다.

      이를 통해 예술에 대한 헤겔의 정신철학적 및 역사철학적 입장을 분명히 보여주며 '역사 속에서 스스로 발전해가는 정신 내지 이념의 구체적인 형태와 의미 파악'을 가능하게 해준다. 또한 예술에서는 사유가 중요하고, 그러므로 더욱 예술철학이 필요하다는 헤겔 예술사유의 핵심을 명료하게 보여준다. [양장본]

      ☞ 이 책의 독서 포인트!
      그 동안 주로『헤겔 미학』이 일반인들 사이에 알려졌었다. 이는 헤겔 사후에 제자인 하인리히 구스타프 호토(『헤겔 예술철학』의 강의 수록자)가 편찬한 것으로 스승의 미학을 변증법적 체계에 따른 완결본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의무감에 많은 부분을 변형시켜 헤겔이 전하고자 했던 내용이 달리 다루어지거나 간과되었다.

      그러나『헤겔 예술철학』은 헤겔의 사유와 언설을 가감 없이 담고 있는 본래의 헤겔 예술철학의 번역본이기 때문에, 헤겔이 예술 속에서 무엇을 찾고자 했는지, 예술의 역할과 의미를 어떻게 찾아갔는지 그 과정을 생생히 느낄 수 있다. 특히 앞부분에 헤겔의 예술철학에 대한 편집자의 해제가 더해져 기본적인 배경지식을 갖추고 독서를 해 나갈 수 있다.

      (출처: 네이버 책정보,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4377462)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자료는 최종결과물(결과보고서)의 원자료이다.

      연구는 내용과 형식, 의미와 표현의 ‘불일치’를 본질로 하는 헤겔의 ‘숭고’ 개념에 기초가 되는 ‘상징’ 개념의 형성과정과 그 고유한 의미를 헤겔의 초기 사유와 연관하여 발전사적으로 살펴보면서 그가 말하는 ‘숭고’ 개념의 의미를 규명하기 위하여 위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번역하기

      본 자료는 최종결과물(결과보고서)의 원자료이다. 연구는 내용과 형식, 의미와 표현의 ‘불일치’를 본질로 하는 헤겔의 ‘숭고’ 개념에 기초가 되는 ‘상징’ 개념의 형성과정과 그 고...

      본 자료는 최종결과물(결과보고서)의 원자료이다.

      연구는 내용과 형식, 의미와 표현의 ‘불일치’를 본질로 하는 헤겔의 ‘숭고’ 개념에 기초가 되는 ‘상징’ 개념의 형성과정과 그 고유한 의미를 헤겔의 초기 사유와 연관하여 발전사적으로 살펴보면서 그가 말하는 ‘숭고’ 개념의 의미를 규명하기 위하여 위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