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장경희, "현대국어의 양태범주 연구" 탑출판사 1985
2 고영근, "한국어의 시제 서법 동작상" 태학사 2004
3 임동훈, "한국어의 서법과 양태 체계" 한국어의미학회 26 : 211-248, 2008
4 박재연, "한국어 양태 어미 연구" 태학사 2006
5 박재연, "한국어 관형사형 어미의 의미 기능과 그 문법 범주" 한국어학회 43 : 151-177, 2009
6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7 장윤희, "중세국어의 조건 접속어미에 대한 연구" 국어연구회 (104) : 1991
8 이현희, "중세국어 구문연구" 신구문화사 1994
9 송재목, "인식 양태와 증거성" 7-24, 2009
10 오경진, "인과관계 의미 표현류: ‘-느라고, -길래, -으므로, -는 바람에, -는 통에’ in :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어 문법론" 한국문화사 377-398, 2003
1 장경희, "현대국어의 양태범주 연구" 탑출판사 1985
2 고영근, "한국어의 시제 서법 동작상" 태학사 2004
3 임동훈, "한국어의 서법과 양태 체계" 한국어의미학회 26 : 211-248, 2008
4 박재연, "한국어 양태 어미 연구" 태학사 2006
5 박재연, "한국어 관형사형 어미의 의미 기능과 그 문법 범주" 한국어학회 43 : 151-177, 2009
6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7 장윤희, "중세국어의 조건 접속어미에 대한 연구" 국어연구회 (104) : 1991
8 이현희, "중세국어 구문연구" 신구문화사 1994
9 송재목, "인식 양태와 증거성" 7-24, 2009
10 오경진, "인과관계 의미 표현류: ‘-느라고, -길래, -으므로, -는 바람에, -는 통에’ in :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어 문법론" 한국문화사 377-398, 2003
11 안주호, "연결어미 ‘-길래’의 통사적 특성과 의미"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34 (34): 205-227, 1998
12 송재영, "연결 어미 ‘-더니’ 연구" 국어학회 (53) : 177-198, 2008
13 박병선, "서법의 정의 및 한국어 서법 범주의 체계화" 1999
14 고영근, "서법과 양태의 상관관계 in : 국어학 신연구" 탑출판사 1986
15 이희자, "사전식 텍스트 분석적 국어 어미의 연구" 한국문화사 1999
16 박재연, "문법 형식의 전경 의미와 배경 의미" 한국어의미학회 22 : 73-94, 2007
17 고영근, "단어ㆍ문장ㆍ텍스트" 한국문화사 1995
18 이지영, "근대국어 이후 反事實的 假定 표현의 發達 - '-더면', '-던들'을 중심으로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0 : 33-59, 2002
19 윤평현, "국어의 접속어미 연구: 의미론적 기능을 중심으로" 한신문화사 1989
20 최재희, "국어의 접속문 구성 연구" 탑출판사 1992
21 이은경, "국어의 접속 어미 연구" 국어연구회 (97) : 1990
22 이은경, "국어의 연결 어미 연구" 서울대학교 1996
23 한동완, "국어의 시제 연구" 태학사 1996
24 심재기, "국어어휘론" 집문당 1982
25 서정수, "국어문법의 연구 Ⅰ" 한국문화사 1990
26 이익섭, "국어문법론 강의" 학연사 1999
27 서정수, "국어문법" 뿌리깊은나무 1994
28 김진수, "국어 접속조사와 어미 연구" 탑출판사 1987
29 이선웅, "국어 양태 체계 확립을 위한 시론"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26 : 318-339, 2001
30 임채훈, "국어 문장의 의미 연구" 경희대학교 2007
31 심재기, "관형화의 의미 기능"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15 (15): 333-350, 1979
32 朴載蓮, "過去 時制를 나타내는 ‘-었더-’에 대하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1 (31): 85-110, 2003
33 서정수, "“(었)더니”에 관하여" 363-394, 1978
34 임채훈, "‘감각적 증거’ 양태성과 한국어 어미 교육- ‘-네’, ‘-더라’, ‘-더니’, ‘-길래’ 등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회 19 (19): 199-234, 2008
35 임동훈, "‘-을’의 문법 범주" 2009
36 안주호, "‘-기에’와 ‘길래’의 특성과 형성 과정" 담화와 인지학회 6 (6): 101-120, 1999
37 남길임, "‘-겠-’ 결합 양상에 따른 종속접속문 연구 in : 국어문법의 탐구 4" 태학사 423-451, 1998
38 Chafe, W., "The Realis-irrealis Distinction in Caddo, the Northern Iroquoian Language, and English" 349-365, 2005
39 이효상, "Tense, Aspect, Modality: a Discourse-Pragmatic Analysis of Verbal Affixes in Korean from a Typological Perspective" UCLA 1991
40 Chung, S., "Tense, Aspect and Mood" 202-258, 1985
41 Palmer, F. R., "Mood and Modal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42 Palmer, F. R., "Mood and Modal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43 Bybee, J., "Modality in Grammar and Discourse" John Benjamins 2005
44 Delancey, S., "Mirative and evidentiality" 33 : 369-382, 2001
45 Shopen, T., "Language Typology and Syntactic Description 3"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5
46 Aikhenvald, A., "Evidentiality" Oxford University Press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