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취승(醉僧)의 정체와 <취승곡(醉僧曲)>의 성격 = The Identity of Chuiseu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Chuiseunggo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553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이옥의 <가자 송실솔전>에 나오는 <취승곡>의 성격을 파악하고자 집필된 것이다. 이를 위해 취승의 정체를 파악하는 것을 우선적인 목표로 삼았다.
      정현석의 『교방가요』 잡희 부분에 사당, 풍각, 초란, 산대, 곽독 등과 함께 기록된 것으로 보아 취승은 잡희의 일종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가사 <남아가>에 산대를 설치하고 펼치는 놀이 중에 취승이 포함된 것을 통해 취승이 산대희의 일종이라는 점, 취승이 만석중과 짝을 이루어 소개되고 있는 것을 통해 산대희에서 만석승희와 취승희가 한 세트로 존재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한편 1796년(정조 20년) 10월 16일 화성 성역의 완성을 축하하는 낙성연을 그린 채색화 <낙성연도>를 통해 만석승희는 만석중과 소매(기생)로, 취승희는 취승과 소매(기생)로 구성된 놀이임을 알 수 있다.
      만석승희와 취승희가 한 세트로 존재하게 된 것은 이것이 원래는 연결되는 하나의 고사에서 유래한 놀이기 때문이다. 중국에서 송나라 이래 지속적으로 인기를 끈 이야기로서 고사, 잡극, 소설 등으로 다양하게 변주된 <도류취>라는 것이 있는데 이 영향을 받아 형성된 것이 만석승희와 취승희로 추정된다. <도류취>는 옥통선사가 류선교의 계략에 빠져 그가 보낸 기생에게 유혹되어 파계한 후 류선교의 딸 류취로 환생하여 방탕한 삶을 이어가자 옥통선사의 친구였던 월명화상이 류취를 제도하는 이야기다. 이 중 옥통선사가 기생에게 유혹되어 파계하는 과정을 그린 놀이가 만석승희이고, 월명화상이 옥통선사의 환생인 류취를 제도하는 과정을 그린 놀이가 취승희로 보인다.
      이렇듯 만석승희와 취승희는 산대희의 일종으로 공연되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산대희에서 독립하여 별도의 산대놀이나 탈춤으로 발전해 갔으며, 이 과정에서 놀이의 성격도 종교극(불교도탈극)에서 오락극으로 전환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취승 캐릭터의 이름도 취바리로 바뀌었는데 여기에는 다소 복잡한 사정이 개입된 것으로 파악된다. 취승은 원래 <도류취>의 월명화상을 형상화한 인물이다. 그런데 월명화상의 이미지가 신선도화극에 등장하는 철괴리의 이미지와 겹쳐지게 되면서 취승을 철괴리로 인식하는 현상이 나타났고 이 철괴리가 체과리 → 취과리 → 취바리로 와전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취승곡>은 명칭을 고려할 때 취승희에서 불린 노래라 생각하기 쉽지만, 노래의 내용을 고려하면 만석승희에서 불린 노래로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 만석승희에서 불린 노래를 <취승곡>이라 한 것은 만석승희와 취승희를 포괄하여 취승희로 통칭하는 관행이 존재했었기 때문이다. 물론 만석승희와 취승희를 포괄하여 만석승희로 통칭하는 관행도 함께 존재했는데, 이 때문에 일부 기록에서는 <취승곡>을 ‘만석중 노래’라고 부르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번역하기

      이 글은 이옥의 <가자 송실솔전>에 나오는 <취승곡>의 성격을 파악하고자 집필된 것이다. 이를 위해 취승의 정체를 파악하는 것을 우선적인 목표로 삼았다. 정현석의 『교방가요』 ...

      이 글은 이옥의 <가자 송실솔전>에 나오는 <취승곡>의 성격을 파악하고자 집필된 것이다. 이를 위해 취승의 정체를 파악하는 것을 우선적인 목표로 삼았다.
      정현석의 『교방가요』 잡희 부분에 사당, 풍각, 초란, 산대, 곽독 등과 함께 기록된 것으로 보아 취승은 잡희의 일종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가사 <남아가>에 산대를 설치하고 펼치는 놀이 중에 취승이 포함된 것을 통해 취승이 산대희의 일종이라는 점, 취승이 만석중과 짝을 이루어 소개되고 있는 것을 통해 산대희에서 만석승희와 취승희가 한 세트로 존재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한편 1796년(정조 20년) 10월 16일 화성 성역의 완성을 축하하는 낙성연을 그린 채색화 <낙성연도>를 통해 만석승희는 만석중과 소매(기생)로, 취승희는 취승과 소매(기생)로 구성된 놀이임을 알 수 있다.
      만석승희와 취승희가 한 세트로 존재하게 된 것은 이것이 원래는 연결되는 하나의 고사에서 유래한 놀이기 때문이다. 중국에서 송나라 이래 지속적으로 인기를 끈 이야기로서 고사, 잡극, 소설 등으로 다양하게 변주된 <도류취>라는 것이 있는데 이 영향을 받아 형성된 것이 만석승희와 취승희로 추정된다. <도류취>는 옥통선사가 류선교의 계략에 빠져 그가 보낸 기생에게 유혹되어 파계한 후 류선교의 딸 류취로 환생하여 방탕한 삶을 이어가자 옥통선사의 친구였던 월명화상이 류취를 제도하는 이야기다. 이 중 옥통선사가 기생에게 유혹되어 파계하는 과정을 그린 놀이가 만석승희이고, 월명화상이 옥통선사의 환생인 류취를 제도하는 과정을 그린 놀이가 취승희로 보인다.
      이렇듯 만석승희와 취승희는 산대희의 일종으로 공연되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산대희에서 독립하여 별도의 산대놀이나 탈춤으로 발전해 갔으며, 이 과정에서 놀이의 성격도 종교극(불교도탈극)에서 오락극으로 전환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취승 캐릭터의 이름도 취바리로 바뀌었는데 여기에는 다소 복잡한 사정이 개입된 것으로 파악된다. 취승은 원래 <도류취>의 월명화상을 형상화한 인물이다. 그런데 월명화상의 이미지가 신선도화극에 등장하는 철괴리의 이미지와 겹쳐지게 되면서 취승을 철괴리로 인식하는 현상이 나타났고 이 철괴리가 체과리 → 취과리 → 취바리로 와전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취승곡>은 명칭을 고려할 때 취승희에서 불린 노래라 생각하기 쉽지만, 노래의 내용을 고려하면 만석승희에서 불린 노래로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 만석승희에서 불린 노래를 <취승곡>이라 한 것은 만석승희와 취승희를 포괄하여 취승희로 통칭하는 관행이 존재했었기 때문이다. 물론 만석승희와 취승희를 포괄하여 만석승희로 통칭하는 관행도 함께 존재했는데, 이 때문에 일부 기록에서는 <취승곡>을 ‘만석중 노래’라고 부르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경욱, "한국 전통연희사" 학고재 2020

      2 지규식, "하재일기 5 무술년(1898) 8월 26일"

      3 조만호, "탈춤 자료 읽기에 대한 반성적 제안(Ⅱ)" 한국역사민속학회 9 : 75-95, 1999

      4 조수삼, "추재기이(秋齋紀異)" 한겨레출판 233-236, 2010

      5 이덕무, "청장관전서" 한국고전번역원 1980

      6 김천택, "청구영언" 국립한글박물관

      7 김도영, "철괴리의 유래와 한국적 변용" 한국중국소설학회 18 : 153-174, 2003

      8 김순희, "중국의 탈놀이 대두화상" 한국학술정보(주) 2007

      9 오수경, "중국 고전극 읽기의 즐거움" 민속원 2011

      10 이상원, "주해 고가요기초" 보고사 94-96, 2009

      1 전경욱, "한국 전통연희사" 학고재 2020

      2 지규식, "하재일기 5 무술년(1898) 8월 26일"

      3 조만호, "탈춤 자료 읽기에 대한 반성적 제안(Ⅱ)" 한국역사민속학회 9 : 75-95, 1999

      4 조수삼, "추재기이(秋齋紀異)" 한겨레출판 233-236, 2010

      5 이덕무, "청장관전서" 한국고전번역원 1980

      6 김천택, "청구영언" 국립한글박물관

      7 김도영, "철괴리의 유래와 한국적 변용" 한국중국소설학회 18 : 153-174, 2003

      8 김순희, "중국의 탈놀이 대두화상" 한국학술정보(주) 2007

      9 오수경, "중국 고전극 읽기의 즐거움" 민속원 2011

      10 이상원, "주해 고가요기초" 보고사 94-96, 2009

      11 윤주필, "조선조 축제문화의 마지막 광경을 읽다-경복궁 중건의 연희 공연과 관극시가 연구" 민속원 2020

      12 박진태, "이철괴를 통해 본 산대놀이의 역사" 우리말글학회 29 : 269-301, 2003

      13 홍신유, "이조시대 서사시(하)" 창작과비평사 285-, 1992

      14 강이천, "이조시대 서사시(하)" 창작과비평사 302-307, 1992

      15 이상원, "이세춘 그룹의 가악 활동 양상과 특징" 국제어문학회 (50) : 93-120, 2010

      16 김도영, "원 잡극 팔선희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1

      17 박지원, "연암집 제8권" 한국고전번역원 2004

      18 최영년, "속악유희" 범우사 2002

      19 전경욱, "산대희와 본산대놀이-동아시아 산대 전통의 보편성과 한국의 독자성" 민속원 2021

      20 김현중, "불교와 도교의 交涉과 攝受 - 조선후기 神衆圖의 신선 도상 수용을 중심으로 -" 동악미술사학회 (27) : 89-124, 2020

      21 서연호, "봉산탈춤 오청채록원본의 연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36) : 1-63, 2001

      22 이철희, "몽유연행록 상, 무신년(1848, 헌종14, 도광28) 11월 19일"

      23 강혜정, "만횡청류의 형성 기반과 여항가요와의 친연성에 대한 고찰" 민족어문학회 (62) : 5-32, 2010

      24 이상원, "만횡청류의 운명-『청구영언』 수록 전과 후" 한국시가학회 43 : 117-150, 2017

      25 박세연, "동아시아 기관인형 연구" 민속원 2015

      26 안정복, "동사강목 제10하" 한국고전번역원 1978

      27 "뎡니의궤(整理儀軌) 원전" 수원화성박물관 314-, 2019

      28 "기완별록"

      29 정현석, "교방가요" 보고사 2002

      30 사진실, "공연문화의 전통 악·희·극" 태학사 2002

      31 김흥규, "고시조 대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890-, 2012

      32 김종철, "게우사" 일지사 17 (17): 230-, 1991

      33 김광영, "魚龍曼延 小考 — 佛敎와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중국문화연구학회 (35) : 149-170, 2017

      34 金鑢, "歌者宋蟋蟀傳"

      35 兪晩柱, "欽英 3"

      36 김태홍 ; 천대진, "度柳翠 고사의 장르별 수용 양상 고찰" 대한중국학회 (62) : 123-141, 2018

      37 김광영, "元雜劇 「度柳翠」 度脫 - 통과의례적 관점을 중심으로 -" 중국문화연구학회 (28) : 267-293, 2015

      38 張邦幾, "侍兒小名錄拾遺"

      39 득공, "京都雜誌 권1"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0 허용호, "『뎡니의궤』를 통해 살펴본 화성 낙성연의 전모와 전통연희사적 가치" 민족문화연구원 (85) : 289-317, 2019

      41 허용호, "‘만석중연희’의 존재 양상과 그 복원에 관한 연구" 한국민속학회 72 : 267-293, 2020

      42 이상원, "<남아가>에 투영된 이상적 삶과 그것의 문화사적 의미" 민족문학사연구소 (42) : 218-241, 2010

      43 이종숙, "19세기 <승무(僧舞)>와 <성진무(性眞舞)> 연행 양상 연구" 국립국악원 (43) : 129-153, 2021

      44 안대회, "18ㆍ19세기 탈춤꾼ㆍ山臺造成匠人 卓文漢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33 (33): 235-260,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4 1.206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