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시험은 제주도내 발생하는 돈분액비의 활용도를 높이고 화학비료 사용 절감 및 대처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어졌다. 품종 간의 건물수량은 수수×수단그라스가 1,480.4 ㎏/10a 로 가장 높았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297959
2006
Korean
521
KCI등재
학술저널
293-300(8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시험은 제주도내 발생하는 돈분액비의 활용도를 높이고 화학비료 사용 절감 및 대처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어졌다. 품종 간의 건물수량은 수수×수단그라스가 1,480.4 ㎏/10a 로 가장 높았으�...
본 시험은 제주도내 발생하는 돈분액비의 활용도를 높이고 화학비료 사용 절감 및 대처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어졌다. 품종 간의 건물수량은 수수×수단그라스가 1,480.4 ㎏/10a 로 가장 높았으며, 수수×수수교잡종이 1,444.9.5 ㎏/10a, 옥수수 1,054.6 ㎏/10a로 나타났다(p<0.01). 처리별 건물수량은 미생물제제를 처리한 돈분액비가 1,562 ㎏/10a로 높게 나타났으며, 돈분액비 시용구는 1,410 ㎏/10a, 화학비료구 1,008 ㎏/10a로 나타났다(p<0.01). 토양성분은 시험 전 1.32 ppm이었던 Zn 함량이 시험 후 화학비료구, 돈분액비구, 미생물제제를 처리한 돈 분액비구에서는 4.23, 4.12, 4.00 ppm으로 나타났으며, Cu 함량은 시험 전 0.59 ppm, 시험 후에 토양에서는 화학비료구, 돈분액비구, 미생물 제제를 처리한 돈분액비구에서는 각각 0.821, 0.854, 1.027 ppm으로 높아졌다. 이 시험의 결과로 미생물제제를 처리한 돈분액비가 화학비료구나 일반돈분액비에 비해 비료성분이 떨어지지 않으며 관수효과까지 있어 사료작물에 적합한 비료자원이라 할 수 있겠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 of chemical fertilizer and two fermented types of pig slurry on the dry matter(DM) yield of three crops and chemical properties. The experiment design was a slit plot with three replications. Main pl...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 of chemical fertilizer and two fermented types of pig slurry on the dry matter(DM) yield of three crops and chemical properties. The experiment design was a slit plot with three replications. Main plots consist of three crops : sorghum×sudangrass hybrid(‘SS405’), sudangrass(‘Jumbo’), corn(‘DK501’). Sub plots consist of three treatments : chemical fertilizer (CF N-200, P-150, K-150 ㎏/ha), aerobic fermented pig slurry (APS 200 ㎏ N/ha), and aerobic fermented pig slurry treated with probiotics (APS+P 200 ㎏ N/ha). Plant heights with three crops per sudangrass (380.3㎝) was the longest (p<0.01). Dry matter yield of aerobic fermented pig slurry treated with probiotics was the highest the other treatments (p<0.01). Crude protein (CP) content were highest in sorghum×sudangrass hybrid than in the other crops. Cupper content(%) were highest in aerobic fermented pig slurry treated with probiotics than in the other treatment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제주화산회토양에서 돈분액비 시용이 수수×수단그라스의 생산성 및 NO3-N의 용탈에 미치는 영향" 23 (23): 151-158, 2003
2 "젖소액비 시용방법이 담근먹이 옥수수와 수수×수단그라스 잡종의 생산성 및 토양특성에 미치는 영향" 19 : 333-338, 1999
3 "액상발효우분(cattle 슬러리) 및 요소의 N 시용수준이 옥수수의 생산성과 N의 용탈에 관한 연구." 22 (22): 37-44, 2002
4 "액상구비시용이 사료작물의 생산성과 토양성분에 미치는 영향" 15 (15): 52-60, 1995
5 "Water quality in a stream receiving dairy feedlot effluent" 5-9, 1992
6 "Soil nitrate accumulations following nitrogen fertilized corn in Pensilvania" 243-248, 1990
7 "Plant nutrient and economic value of animal manure" 121-135, 1979
8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4thed" 1984
9 "Effect of fertilizer nitrogen source and cattle slurry on herbage production and nitrogen utilization" 431-442, 1990
10 "Deep nitrate movement in the understanded zone of a simulated urban lawn" 658-662, 1991
1 "제주화산회토양에서 돈분액비 시용이 수수×수단그라스의 생산성 및 NO3-N의 용탈에 미치는 영향" 23 (23): 151-158, 2003
2 "젖소액비 시용방법이 담근먹이 옥수수와 수수×수단그라스 잡종의 생산성 및 토양특성에 미치는 영향" 19 : 333-338, 1999
3 "액상발효우분(cattle 슬러리) 및 요소의 N 시용수준이 옥수수의 생산성과 N의 용탈에 관한 연구." 22 (22): 37-44, 2002
4 "액상구비시용이 사료작물의 생산성과 토양성분에 미치는 영향" 15 (15): 52-60, 1995
5 "Water quality in a stream receiving dairy feedlot effluent" 5-9, 1992
6 "Soil nitrate accumulations following nitrogen fertilized corn in Pensilvania" 243-248, 1990
7 "Plant nutrient and economic value of animal manure" 121-135, 1979
8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4thed" 1984
9 "Effect of fertilizer nitrogen source and cattle slurry on herbage production and nitrogen utilization" 431-442, 1990
10 "Deep nitrate movement in the understanded zone of a simulated urban lawn" 658-662, 1991
KSGS Board of Directors (FY 2006)
오차드그래스의 품종이 캘러스배양과 식물체 재분화에 미치는 영향
오차드그래스의 형질전환에 있어서 Acetosyringone과 품종이 미치는 영향
맥주박 첨가 섬유질 배합사료가 거세흑염소의 생산성 및 영양소 이용율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3-07-25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초지학회지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5-11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초지학회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2 | 0.52 | 0.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3 | 0.53 | 0.572 | 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