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연극놀이(Creative drama)를 통한 말하기 불안 해소 방안 연구 = (A) Study on how to get rid of speaking anxiety through the creative dram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583932

      • 저자
      • 발행사항

        춘천 :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03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684.072

      • 발행국(도시)

        강원특별자치도

      • 형태사항

        vi,110p. : 삽도 ; 26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 p.102-104

      • 소장기관
        • 대구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부산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주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청주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춘천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교육개발원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수업 현장에는 거의 대부분 말하기 불안으로 인해 발표나 질문 또는 자신의 감정 표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아이가 존재한다. 이러한 말하기 불안은 조기에 해소되지 않으면 중ㆍ고ㆍ대학교를 거쳐 성인에 이르러서도 타인과의 원만한 인간 관계 및 사회적인 성공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말하기 불안을 가진 아동에 대한 학교 현장에서의 교육적인 조치는 너무도 소극적이고 미약하다. 또한 공식적인 발표 및 쓰기 위주의 말하기 수업은 아동들의 말하기 불안을 더욱 심각하게 만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말하기 불안 해소를 위한 방안으로써 연극놀이를 활용해 보고, 그 가능성을 탐색해 보는 연구이다.
      본 연구는 먼저 말하기 불안의 해소에 왜 연극놀이를 사용하는가 하는 당위성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이를 위해 말하기 불안의 개념, 요인, 증상, 연극놀이의 개념 등을 살펴보았다. 이것을 바탕으로 연극놀이가 말하기 불안 해소에 왜 효과적인가를 고찰해 보았다. 우선 연극놀이는 그 성격상 놀이, 게임, 즉흥을 중심으로 한 과정 중심의 활동적인 학습 방법의 하나라는 것이다. 따라서 연극놀이는 아동의 자발적인 참여 및 흥미와 관심을 끌어들이기에 유리하다. 또한 말하기 상황이 인위적인 것이 아니라 놀이나 게임의 과정 속에 포함되기 때문에 아동들은 불안을 느끼지 않으면서 자연스럽게 말하기를 접하게 된다. 그리고 신체적, 언어적 즉흥 표현은 실제의 말하기와 같이 순간 순간 아동의 머릿속에서의 창의성을 요구한다. 이러한 말하기에 있어서의 창의성은 불안 해소에 매우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데 연극놀이의 효용성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말하기 불안 해소로서의 연극놀이의 효용성을 토대로 말하기 불안 요인별로 보다 유용한 연극놀이 방법을 살펴보았다. 초등학생이 느끼는 말하기 불안의 요인을 본고에서는 자신감의 부족, 타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 수줍음, 감정 표현의 미숙함, 말하기 자체를 중요시하지 않는 태도, 신체적 긴장감, 창의적인 말하기 능력의 부족 등으로 보고 각 불안 요인을 해소하는 데 효과적인 연극놀이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 관찰 대상 아동은 4명으로 말하기 불안의 정도가 심한 중증 불안 아동이다. 이들 관찰 아동의 선정은 검사지 투입 후 결과 분석, 담임 및 아동과의 면담, 연구자의 직접 관찰 등으로 이루어졌는데, 연극놀이 프로그램의 효율성을 위해 본교 3~6학년 19명의 아동 전원에게 적용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는 소수의 불안 아동에 대한 질적인 접근을 지향하므로 적용 결과는 4명의 아동 행동 변화 양상을 기술하였다.
      말하기 불안 아동으로 선정된 4명의 아동과 나머지 15명의 아동을 위하여 연극놀이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프로그램은 크게 만남의 단계, 감각 훈련의 단계, 신체 표현의 단계, 말하기 훈련의 단계, 즉흥 놀이 단계, 연극 만들기 및 발표의 단계로 나누어 30차시 분량으로 구성하였다. 구안된 프로그램은 9월 초부터 11월 중순까지 이틀 정도의 간격을 두고 약 3개월 간에 걸쳐 적용하였으며, 관찰자 기록, 비디오 분석, 검사지 투입, 개별 면담 등을 토대로 불안 아동의 신체적, 행동적, 정신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적용 결과 말하기 불안 아동에게서 나타나던 신체적, 행동적 불안 증상이 감소되거나 사라졌고, 말하기에 자신감이 길러졌으며, 말하기란 즐거운 것이라는 인식을 심어주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타인의 반응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긍정적인 인식으로 변화됨을 알 수 있었다. 이로 미루어 볼 때 아동의 자발성과 창의성을 중시하면서 놀이, 게임, 즉흥 등을 주 활동으로 삼는 연극놀이는 말하기 불안을 해소하는데 효과적인 하나의 학습 방법이라 할 수 있겠다.



















      번역하기

      수업 현장에는 거의 대부분 말하기 불안으로 인해 발표나 질문 또는 자신의 감정 표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아이가 존재한다. 이러한 말하기 불안은 조기에 해소되지 않으면 중ㆍ고ㆍ대학...

      수업 현장에는 거의 대부분 말하기 불안으로 인해 발표나 질문 또는 자신의 감정 표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아이가 존재한다. 이러한 말하기 불안은 조기에 해소되지 않으면 중ㆍ고ㆍ대학교를 거쳐 성인에 이르러서도 타인과의 원만한 인간 관계 및 사회적인 성공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말하기 불안을 가진 아동에 대한 학교 현장에서의 교육적인 조치는 너무도 소극적이고 미약하다. 또한 공식적인 발표 및 쓰기 위주의 말하기 수업은 아동들의 말하기 불안을 더욱 심각하게 만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말하기 불안 해소를 위한 방안으로써 연극놀이를 활용해 보고, 그 가능성을 탐색해 보는 연구이다.
      본 연구는 먼저 말하기 불안의 해소에 왜 연극놀이를 사용하는가 하는 당위성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이를 위해 말하기 불안의 개념, 요인, 증상, 연극놀이의 개념 등을 살펴보았다. 이것을 바탕으로 연극놀이가 말하기 불안 해소에 왜 효과적인가를 고찰해 보았다. 우선 연극놀이는 그 성격상 놀이, 게임, 즉흥을 중심으로 한 과정 중심의 활동적인 학습 방법의 하나라는 것이다. 따라서 연극놀이는 아동의 자발적인 참여 및 흥미와 관심을 끌어들이기에 유리하다. 또한 말하기 상황이 인위적인 것이 아니라 놀이나 게임의 과정 속에 포함되기 때문에 아동들은 불안을 느끼지 않으면서 자연스럽게 말하기를 접하게 된다. 그리고 신체적, 언어적 즉흥 표현은 실제의 말하기와 같이 순간 순간 아동의 머릿속에서의 창의성을 요구한다. 이러한 말하기에 있어서의 창의성은 불안 해소에 매우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데 연극놀이의 효용성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말하기 불안 해소로서의 연극놀이의 효용성을 토대로 말하기 불안 요인별로 보다 유용한 연극놀이 방법을 살펴보았다. 초등학생이 느끼는 말하기 불안의 요인을 본고에서는 자신감의 부족, 타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 수줍음, 감정 표현의 미숙함, 말하기 자체를 중요시하지 않는 태도, 신체적 긴장감, 창의적인 말하기 능력의 부족 등으로 보고 각 불안 요인을 해소하는 데 효과적인 연극놀이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 관찰 대상 아동은 4명으로 말하기 불안의 정도가 심한 중증 불안 아동이다. 이들 관찰 아동의 선정은 검사지 투입 후 결과 분석, 담임 및 아동과의 면담, 연구자의 직접 관찰 등으로 이루어졌는데, 연극놀이 프로그램의 효율성을 위해 본교 3~6학년 19명의 아동 전원에게 적용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는 소수의 불안 아동에 대한 질적인 접근을 지향하므로 적용 결과는 4명의 아동 행동 변화 양상을 기술하였다.
      말하기 불안 아동으로 선정된 4명의 아동과 나머지 15명의 아동을 위하여 연극놀이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프로그램은 크게 만남의 단계, 감각 훈련의 단계, 신체 표현의 단계, 말하기 훈련의 단계, 즉흥 놀이 단계, 연극 만들기 및 발표의 단계로 나누어 30차시 분량으로 구성하였다. 구안된 프로그램은 9월 초부터 11월 중순까지 이틀 정도의 간격을 두고 약 3개월 간에 걸쳐 적용하였으며, 관찰자 기록, 비디오 분석, 검사지 투입, 개별 면담 등을 토대로 불안 아동의 신체적, 행동적, 정신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적용 결과 말하기 불안 아동에게서 나타나던 신체적, 행동적 불안 증상이 감소되거나 사라졌고, 말하기에 자신감이 길러졌으며, 말하기란 즐거운 것이라는 인식을 심어주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타인의 반응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긍정적인 인식으로 변화됨을 알 수 있었다. 이로 미루어 볼 때 아동의 자발성과 창의성을 중시하면서 놀이, 게임, 즉흥 등을 주 활동으로 삼는 연극놀이는 말하기 불안을 해소하는데 효과적인 하나의 학습 방법이라 할 수 있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most of classrooms, there are children who suffer from difficulties in presentation, question, or expression because of speaking anxiety. Thet anxiety could be a barrier to pass through for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a successful career from middle, high school, and university to adulthood if it does not die down earlier. In spite of it, the educational movement is too small and slight for the uneasy children in schools. Their uneasiness is becoming a more serious situation in the classes just focusing on a public presentation and writing. Therefore, this study gives a way to solve the speaking anxiety by using the Creative Drama and exploring its application possibility.
      At first, this study considered the reason that the Creative Drama should be used for the anxiety settlement, looked into the concept, cause, symptom of speaking anxiety and the concept of the Creative Drama, and then examined why the drama was so effective on the anxiety. The drama is one of the active learning methods centered on a course of play, game and improvisation when seeing its nature. Thus, it is easy to attract an interest and attention and a spontaneous participation by children. And the children are easy to speak naturally without any anxiety because the speaking situation is not made artificially but included in the form of plays or games. In the course of that, a linguistic immediate expression requires a creative thinking every second like a real speaking. That is, the drama is of use that the creativity in speaking could take an positive effect on ending the anxiety.
      I have seen more useful ways of the Creative Drama based on the advantage of it as the anxiety solution by the causes of speaking anxiety. The reasons, in this study, are a lack of confidence and creative speaking ability, negative thinking against others, shyness, immature expression, physical tension and underestimating attitude toward speaking.
      Four were the mainly observed children who were serious cases in speaking. They were selected by analyzing test sheets, interviewing with class teachers and children and observing in person, applied to all of 19 students from 3rd to 6th grade of the school for making more effective program of the drama. This study, however, described a behavioral change of 4 children to aim at a qualitive approach to a few anxious children.
      I schemed out a new program of the Creative Drama for the 4 chosen children as well as the rest of 15 ones. The program consisted of 30 stages including joining, sense training, physical expression, speaking training, immediate playing, making a play and presentation. It was applied every two days for 3 months from the early September to the middle of November. Due to the program, I observed physical, behavioral and mental changes by the children based upon observer's record, video analysis, test sheet and individual interview.
      The program finally resulted in which their physical and behavioral anxiety lessened or disappeared, which they had a confidence in speaking, which they knew speaking was funny and which their negative response to others were replaced by a positive one. From this, it's one of the effective learning method to get rid of speaking anxiety by the Creative Drama which takes main activities as play, game and immediateness and at the same time thinking children's spontaneity and creativeness very important.





























      번역하기

      In most of classrooms, there are children who suffer from difficulties in presentation, question, or expression because of speaking anxiety. Thet anxiety could be a barrier to pass through for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a successful caree...

      In most of classrooms, there are children who suffer from difficulties in presentation, question, or expression because of speaking anxiety. Thet anxiety could be a barrier to pass through for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a successful career from middle, high school, and university to adulthood if it does not die down earlier. In spite of it, the educational movement is too small and slight for the uneasy children in schools. Their uneasiness is becoming a more serious situation in the classes just focusing on a public presentation and writing. Therefore, this study gives a way to solve the speaking anxiety by using the Creative Drama and exploring its application possibility.
      At first, this study considered the reason that the Creative Drama should be used for the anxiety settlement, looked into the concept, cause, symptom of speaking anxiety and the concept of the Creative Drama, and then examined why the drama was so effective on the anxiety. The drama is one of the active learning methods centered on a course of play, game and improvisation when seeing its nature. Thus, it is easy to attract an interest and attention and a spontaneous participation by children. And the children are easy to speak naturally without any anxiety because the speaking situation is not made artificially but included in the form of plays or games. In the course of that, a linguistic immediate expression requires a creative thinking every second like a real speaking. That is, the drama is of use that the creativity in speaking could take an positive effect on ending the anxiety.
      I have seen more useful ways of the Creative Drama based on the advantage of it as the anxiety solution by the causes of speaking anxiety. The reasons, in this study, are a lack of confidence and creative speaking ability, negative thinking against others, shyness, immature expression, physical tension and underestimating attitude toward speaking.
      Four were the mainly observed children who were serious cases in speaking. They were selected by analyzing test sheets, interviewing with class teachers and children and observing in person, applied to all of 19 students from 3rd to 6th grade of the school for making more effective program of the drama. This study, however, described a behavioral change of 4 children to aim at a qualitive approach to a few anxious children.
      I schemed out a new program of the Creative Drama for the 4 chosen children as well as the rest of 15 ones. The program consisted of 30 stages including joining, sense training, physical expression, speaking training, immediate playing, making a play and presentation. It was applied every two days for 3 months from the early September to the middle of November. Due to the program, I observed physical, behavioral and mental changes by the children based upon observer's record, video analysis, test sheet and individual interview.
      The program finally resulted in which their physical and behavioral anxiety lessened or disappeared, which they had a confidence in speaking, which they knew speaking was funny and which their negative response to others were replaced by a positive one. From this, it's one of the effective learning method to get rid of speaking anxiety by the Creative Drama which takes main activities as play, game and immediateness and at the same time thinking children's spontaneity and creativeness very importa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표차례 = iii
      • 국문초록 = v
      • I.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목차
      • 표차례 = iii
      • 국문초록 = v
      • I.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선행연구의 고찰 = 5
      • 3. 연구 내용 및 방법 = 10
      • 4. 연구의 제한점 = 11
      • II. 말하기 불안과 연극놀이
      • 1. 말하기 불안 = 13
      • 1.1 불안의 정의 = 13
      • 1.2 말하기 불안의 정의 = 15
      • 1.3 말하기 불안의 요인 및 증상 = 17
      • 2. 말하기 불안 해소로서의 연극놀이(creative Drama)의 개념과 효율성 = 22
      • 2.1 연극 놀이의 개념 = 22
      • 2.2 말하기 불안 해소로서 연극놀이의 효용성 = 23
      • III. 말하기 불안 해소를 위한 연극 놀이 방법
      • 1. 자신감(자아 존중감, 자기 효능감)을 기르기 위한 연극놀이 = 30
      • 2. 타인에 대한 긍정적 인식(신뢰감과 친밀감)을 심어주기 위한 연극놀이 = 32
      • 3. 수줍음 퇴치(적극적인 자기 표현)를 위한 연극놀이 = 34
      • 4. 감정 표현력을 신장을 위한 연극놀이 = 36
      • 5. 말하기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주기 위한 연극놀이 = 37
      • 6. 신체적 긴장감 해소를 위한 연극놀이 = 38
      • 7. 창조적인 말하기 훈련으로서의 연극 놀이 방법 = 39
      • IV. 말하기 불안 해소를 위한 연극 놀이의 적용
      • 1. 연극 놀이의 적용 절차 = 41
      • 2. 연극놀이 프로그램 = 47
      • 3. 연극놀이 프로그램의 세부 내용 = 51
      • 4. 프로그램 적용 단계 및 결과 = 71
      • 4.1 1차시~5차시(만남의 단계) = 73
      • 4.2 6~8차시(감각 놀이 단계) = 77
      • 4.3 9차시~16차시(신체 표현의 단계) = 78
      • 4.4 17차시~20차시(말하기 훈련단계, 말하는 즐거움, 느끼는 단계) = 85
      • 4.5 21차시~24차시(즉흥놀이 단계) 적응 결과 = 88
      • 4.6 25차시~30차시(연극 만들기 단계) 적응 결과 = 92
      • V. 결론 = 99
      • 참고문헌 = 102
      • ABSTRACT = 105
      • 부록 = 1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