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중소하천의 경우 갈수기 관측유량의 부재로 인해 관측유량을 이용한 갈수량 분석은 상당히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준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인 SWAT을 이용하여 공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574031
2007
Korean
531
KCI등재
학술저널
431-440(10쪽)
1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국내 중소하천의 경우 갈수기 관측유량의 부재로 인해 관측유량을 이용한 갈수량 분석은 상당히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준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인 SWAT을 이용하여 공간 ...
국내 중소하천의 경우 갈수기 관측유량의 부재로 인해 관측유량을 이용한 갈수량 분석은 상당히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준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인 SWAT을 이용하여 공간 모의유량을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갈수량 산정 및 갈수량의 공간적 거동특성을 분석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SWAT 모형을 충주댐 유역에 구축하여 충주댐 지점과 상류 수위관측소 지점에 대해 모의된 일유량과 유황을 관측치와 비교하였으며 모의결과의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평균 갈수량의 비유량을 분석한 결과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비유량이 대체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소유역의 경사 및 포화수리전도도와 연계하여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기존연구와의 비교를 통해 관측유량을 이용할 경우 갈수량이 과대 산정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방법은 미계측 지점의 갈수량 산정시 과거 면적 비유량법으로부터 산정한 갈수량에 비해 합리적인 결과를 제시할 뿐만 아니라 갈수량의 특성을 물리적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rought flow analysis for small and medium sized river is very difficult because of the scarcity of drought flow observation data. This study concerns the generation of areal simulated flow from SWAT-the semi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the esti...
The drought flow analysis for small and medium sized river is very difficult because of the scarcity of drought flow observation data. This study concerns the generation of areal simulated flow from SWAT-the semi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the estimation of drought flow and the analysis of its areal characteristics. The SWAT model is set up for the Chungju Dam basin and is verified by comparing the observation-simulation daily flow of Dam site with upper stream station. The specific flow rate of mean drought flow is increased with the area, which is identified from the slope of each subbasin and the areal characteristics of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It is also proved that the drought flow can be overestimated using observed flow data by comparing with previous results. This method can represent more reasonable drought flow than thereby areal-specific flow rate metho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drought flow also can be evaluated by these result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강유역의 확률갈수량 추정기법 비교연구" 한국수자원학회 36 (36): 315-324, 2003
2 "한강 수계 하천수 사용실태 조사 및 하천유지유량 산정 보고서 : 하천유지유량 산정" 건설교통부 1998
3 "일 강우량의 모의 발생을 통한 갈수유량 계열의 산정 및 빈도분석" 한국수자원학회 32 (32): 265-279, 1999
4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개발사업-지표수 수문성분 해석시스템 개발 보고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7
5 "수문관측 현황과 개선방안"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76) : 9-15, 1998
6 "수리·통계모형에 의한 갈수빈도 해석" 대한토목학회 22 (22): 333-340, 2002
7 "미계측 산지하천 유역의 설계 갈수량 추정식 개발" 대한토목학회 19 (19): 169-181, 1999
8 "낙동강 수계 하천수 사용실태 조사 및 하천유지유량 산정 보고서 : 하천유지유량 산정" 건설교통부 1997
9 "금강 수계 하천수 사용실태 조사 및 하천유지유량 산정 보고서: 하천유지유량 산정" 건설교통부 1999
10 "갈수빈도를 고려한 물수지 분석 1994년도 학술발표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233-236, 1994
1 "한강유역의 확률갈수량 추정기법 비교연구" 한국수자원학회 36 (36): 315-324, 2003
2 "한강 수계 하천수 사용실태 조사 및 하천유지유량 산정 보고서 : 하천유지유량 산정" 건설교통부 1998
3 "일 강우량의 모의 발생을 통한 갈수유량 계열의 산정 및 빈도분석" 한국수자원학회 32 (32): 265-279, 1999
4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개발사업-지표수 수문성분 해석시스템 개발 보고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7
5 "수문관측 현황과 개선방안"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76) : 9-15, 1998
6 "수리·통계모형에 의한 갈수빈도 해석" 대한토목학회 22 (22): 333-340, 2002
7 "미계측 산지하천 유역의 설계 갈수량 추정식 개발" 대한토목학회 19 (19): 169-181, 1999
8 "낙동강 수계 하천수 사용실태 조사 및 하천유지유량 산정 보고서 : 하천유지유량 산정" 건설교통부 1997
9 "금강 수계 하천수 사용실태 조사 및 하천유지유량 산정 보고서: 하천유지유량 산정" 건설교통부 1999
10 "갈수빈도를 고려한 물수지 분석 1994년도 학술발표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233-236, 1994
11 "SWAT-SWMM 결합모형의 개발-(II) 모형의 특징 및 평가" 한국수자원학회 37 (37): 599-612, 2004a
12 "SWAT-MODFLOW 결합모형-(II) 모형의 평가" 한국수자원학회 37 (37): 499-507, 2004b
13 "SWAT 모형을 이용한 충주댐 유역의 융설영향 평가" 한국수자원학회 39 (39): 833-844, 2006
14 "SWAT 모형을 이용한 인공저류시설물의 하류장기유출 영향분석 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39 (39): 227-240, 2006
15 "Mapping and regional estimation of low flows" 2006
16 "Low-flow characteristics of Streams in North Carolina Department of the Interior" Geological Survey Federal Center 2403-, 1993
17 "Estimating generalized soil-water characteristics from texture" 1031-1036, 1986
18 "Determination of low-flow characteristics for texas streams" 310-319, 2000
19 "Crop Evapotranspiration. Guidelines For Computing Crop Water Requirements"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Rome, Italy 1998
단일저수지 월간운영률의 개발 : Ⅰ. 다목적 유전자알고리즘을 적용한 조각선형운영률
단일저수지 월간운영률의 개발 : Ⅱ. 확률론적 장기저류량 예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