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폐 범주성 장애 영유아 관련 연구 활성화를 위한 국내연구 동향 및 발전 과제 = Trends and Issues in Research Regarding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277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자폐 범주성 장애 영유아 관련 연구에 대한 관심은 최근에 들어서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보고되고 있는 출현율 상승과 관련될 뿐만 아니라 장애의 특성상 조기발견의...

      자폐 범주성 장애 영유아 관련 연구에 대한 관심은 최근에 들어서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보고되고 있는 출현율 상승과 관련될 뿐만 아니라 장애의 특성상 조기발견의 가능성 및 지원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해볼 수 있다. 그러나 해외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연구에 비해서 국내 연구는 그 양이나 질적인 측면에서 아직까지 초기 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자폐 범주성 장애 영유아 관련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관련 연구 현장에서 직면하고 있는 과제에 대하여 논의함으로써 앞으로 수행될 연구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실질적인 활성화를 촉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2001년부터 2010년까지 10년 동안 이루어진 자폐 범주성 장애 영유아 관련 연구를 검색하였으며, 그 결과 총 137개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전반적인 연구 동향을 알아보았다. 또한 분석 대상 논문 중 자폐 범주성 장애 영유아를 대상으로 중재를 실시하고 그 성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된 실험연구 57편에 대한 추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근거로 자폐 범주성 장애 영유아 관련 국내 연구의 양적 및 질적 동향과 과제에 대하여 논의하였으며, 마지막으로 관련 연구 활성화를 위한 향후 방향 및 발전 과제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has been a rapid increase of interest in research on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is may be related to the increase in prevalence being reported globally as well as the emphasis on possibilities of early detection and needs o...

      There has been a rapid increase of interest in research on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is may be related to the increase in prevalence being reported globally as well as the emphasis on possibilities of early detection and needs of early supports. However, compared to the research being conducted abroad, domestic research is still at an early stage in terms of it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Therefor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urrent trends of research regarding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Korea, to discuss challenges faced by the field, and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active and practical research activiti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total of 137 articles published during the decade from 2001 to 2010 were analyzed. The overall research trends were recognized and an additional analysis was done with 57 target articles conducted in order to verify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interventions and research outcome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s of the related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지현,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전반벅 발달장애 유아의 사물요구하기와 어휘 습득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5 (5): 46-78, 2005

      2 전병운, "확장된 환경중심 언어중재(EMT)가 발달장애 유아의 발화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5 (5): 105-127, 2005

      3 송유하, "행동도표를 활용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 유아의 문제행동과 활동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4 (24): 1-25, 2008

      4 서정하, "파워카드전략을 사용한 사회적 시작행동중재가 아스퍼거증후군 유아의 사회적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8 (8): 1-21, 2008

      5 이소현, "특수아동교육 : 통합학급 교사들을 위한 특수교육 지침서(3판)" 학지사 2011

      6 노은호, "통합상황에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자폐 아동의 자발화와 반향어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육학회 10 (10): 169-193, 2010

      7 김미영, "통합 환경에서의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성 장애를 지닌 유아와 일반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6 (6): 85-107, 2006

      8 김기옥, "통합 상황에서 실시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Enhanced Milieu Teaching)가 자폐유아의 자발화에 미치는 효과" 6 (6): 97-121, 2007

      9 안경애, "타악기연주활동이 자폐성 장애유아의 부적응행동 감소에 미치는 영향" 2 (2): 105-136, 2002

      10 윤현숙, "친숙한 사진을 활용한 AAC 중재가 자폐아의 활동선택하기 및 언어발달, 문제행동 감소에 미치는 효과" 한국인간발달학회 11 (11): 41-58, 2004

      1 이지현,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전반벅 발달장애 유아의 사물요구하기와 어휘 습득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5 (5): 46-78, 2005

      2 전병운, "확장된 환경중심 언어중재(EMT)가 발달장애 유아의 발화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5 (5): 105-127, 2005

      3 송유하, "행동도표를 활용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 유아의 문제행동과 활동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4 (24): 1-25, 2008

      4 서정하, "파워카드전략을 사용한 사회적 시작행동중재가 아스퍼거증후군 유아의 사회적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8 (8): 1-21, 2008

      5 이소현, "특수아동교육 : 통합학급 교사들을 위한 특수교육 지침서(3판)" 학지사 2011

      6 노은호, "통합상황에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자폐 아동의 자발화와 반향어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육학회 10 (10): 169-193, 2010

      7 김미영, "통합 환경에서의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성 장애를 지닌 유아와 일반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6 (6): 85-107, 2006

      8 김기옥, "통합 상황에서 실시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Enhanced Milieu Teaching)가 자폐유아의 자발화에 미치는 효과" 6 (6): 97-121, 2007

      9 안경애, "타악기연주활동이 자폐성 장애유아의 부적응행동 감소에 미치는 영향" 2 (2): 105-136, 2002

      10 윤현숙, "친숙한 사진을 활용한 AAC 중재가 자폐아의 활동선택하기 및 언어발달, 문제행동 감소에 미치는 효과" 한국인간발달학회 11 (11): 41-58, 2004

      11 신선미, "치료놀이가 자폐 유아의 사회적 행동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14 (14): 93-107, 2010

      12 권명옥, "청각통합훈련이 자폐성 아동의 인지 및 행동발달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어치료학회 12 (12): 1-20, 2003

      13 오윤아, "집단치료놀이가 자폐성 장애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향상에 미치는 영향" 7 (7): 37-62, 2007

      14 이경관, "집단적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자폐아동의 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 13 (13): 113-121, 2005

      15 강명희, "중등도 유산소운동이 자폐아동들의 면역글로블린 농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17 (17): 1139-1148, 2008

      16 정정진, "자폐증 아동의 대인 간 애착증진훈련 효과" 4 (4): 145-161, 2002

      17 이인숙, "자폐유아를 위한 가정과 학교의 협력을 통한 긍정적 행동지원의 평가"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8 (8): 65-96, 2008

      18 황복선, "자폐아동과 어머니의 사회성 기술 증진에 미치는어머니-매개 사회적 상호훈련방법의 습득 및 일반화 효과" 한국특수교육학회 41 (41): 1-28, 2006

      19 윤현숙, "자폐아 조기판별을 위한 한국부모의 인식시기" 6 (6): 1-15, 2006

      20 이소현, "자폐아 조기교육의 개념 및 방향 재정립 - 프로그램의 질적 구성요소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37 (37): 369-394, 2002

      21 윤소영, "자폐아 및 전반발달장애아의 음성놀이에 있어 성인의 음성과 강화제의 연합이 미치는영향: 음성놀이에 대한 행동분석학적 연구" 36 (36): 143-164, 2001

      22 문현미, "자폐성 유아의 자발적 요구 증진을 위한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PECS)와 수화(Sign Language) 훈련의 비교"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2 (22): 315-342, 2006

      23 이효신, "자폐성 유아의 자발적 발화능력을 위한 DTT의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3 (23): 49-69, 2007

      24 여문환, "자폐성 아동 학습 프로그램 LPDAC의 교육과정에서 나타난 지능 특성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 5 (5): 73-84, 2010

      25 이제화, "자폐 아동의 집착사물을 이용한 게임 중재가 또래 상호작용과 집착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1 (21): 317-339, 2005

      26 장원석,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언어 능력에 미치는 도네페질의 효과"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5 (45): 64-68, 2006

      27 이소현, "자폐 범주성 장애의 조기발견 및 조기개입의 역할 및 과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9 (9): 103-133, 2009

      28 김선희, "음악활동이 자폐성 장애 아동의 감각 발달 및 사회ㆍ정서영역에 미치는 효과" 3 (3): 1-19, 2001

      29 양은아,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자폐 유아의 상호작용 촉진에 미치는 효과" 한국음악치료학회 11 (11): 1-20, 2009

      30 안의정, "음성출력 의사소통 기구(VOCA)사용 중재가 통합된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또래와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폐학회 9 (9): 1-19, 2009

      31 이경관, "유아체육 프로그램이 자폐아동의 기초운동능력 및 운동성취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발육발달학회 12 (12): 79-90, 2004

      32 정정순, "오이리트미 중재훈련이 자폐성 유아의 감정표현과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9 (9): 65-86, 2004

      33 김정일, "영어수업을 활용한 통합교육이 자폐스팩트럼장애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4 (44): 1-20, 2005

      34 주세진, "어머니가 제공한 치료적 신체접촉놀이가 아동의 자폐증상 감소에 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 16 (16): 181-189, 2007

      35 김정일, "아스퍼거장애 유아의 부적응 행동 중재를 위한 또래개입 사회상황 이야기 효과" 국립특수교육원 11 (11): 425-445, 2004

      36 박혜정,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자폐아동의 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 13 (13): 53-61, 2005

      37 황복선, "사회적 상호훈련방법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공동관심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폐학회 10 (10): 1-24, 2010

      38 윤현숙, "비디오피드백과 반응대가 훈련의 병행을 통한 사회성 기술훈련이 학령전 아스퍼거 장애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한국인간발달학회 12 (12): 23-41, 2005

      39 윤현숙, "비디오를 피드백을 이용한 자기관찰방법이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의 지시순응 및 충동성에미치는 효과" 7 (7): 5-20, 2007

      40 김정일, "비디오 활용 또래 모델링이 자폐성 장애 유아의 적절한 요구행동 형성증진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4 (44): 23-44, 2005

      41 진흥신, "불연속 개별시도 훈련(Discrete Trial Training: DTT)을 적용한 그림카드 변별학습과 명명학습이 자폐유아의 그림어휘 이해력과 표현 어휘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6 (26): 305-330, 2010

      42 윤현숙, "부모직접교수가 자폐성 영아의 지시따르기 및문제행동, 부모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인간발달학회 13 (13): 37-54, 2006

      43 문현미, "보완적 의사소통체계의 사용이 자폐성 유아의 자발적 구어 촉진에 미치는 효과 비교 -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와 수화체계를 중심으로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3 (23): 509-533, 2007

      44 문혜숙, "보완대체의사소통중재가 자폐성 아동의 자발어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7 (47): 147-166, 2008

      45 김은경, "발달장애아동을 위한 방과후 프로그램의 구성요소 : 정신지체와 자폐성 장애를 중심으로" 3 (3): 75-98, 2003

      46 김소영, "무게감 있는 조끼(weighted vest)의 착용이 취학 전 자폐성 장애 아동의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자폐학회 10 (10): 143-161, 2010

      47 이희영, "모방놀이 프로그램이 자폐아의 감정 표현 능력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6 (46): 193-210, 2007

      48 김정일, "또래그룹 미술프로그램이 자폐스팩트럼장애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방해성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6 (6): 377-394, 2005

      49 박소연, "동요활동이 자폐성아동의 어휘습득에 미치는 효과" 6 (6): 38-51, 2004

      50 박주연, "기능평가를 통한 선호 재료선택 미술활동이 자폐아동의 물건 던지기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14 (14): 65-82, 2007

      51 정대영,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성장애 유아의 수업방해행동 및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아동학회 12 (12): 299-323, 2010

      52 고영숙, "근거 기반의 실제(Evidence-Based Practice)를 구축하기 위한 메타분석: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사회성과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3 (23): 1-27, 2007

      53 윤선아, "그림책을 활용한 극놀이 중재가 자폐아동의정서이해수준과 사회적 놀이 수준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7 (7): 71-96, 2007

      54 허은정, "그림교환 의사소통 체계(PECS) 프로그램이 자폐아동의 요구하기, 자발적 발화 및 눈맞춤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6 (26): 179-208, 2010

      55 강은희, "구조화된 화용적 의사소통 중재가 무발화 자폐성 아동의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8 (8): 539-553, 2007

      56 강은희, "구조화된 촉진전략 중재 프로그램에 따른 자폐성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 변화 연구" 한국언어치료학회 16 (16): 47-58, 2007

      57 문회원, "가족이 참여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가정에서의 저녁 일과시간에 발생하는 자폐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8 (8): 97-115, 2008

      58 채유선, "가정에서 어머니가 실행한 중심축 반응 훈련이 자폐 범주성 장애 영유아의 공동관심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8 (8): 41-66, 2008

      59 이인숙, "가정과 유치원, 지역사회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유아의 바람직한 행동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5 (5): 161-190, 2005

      60 Horner, R., "The use of single subject research to identify evidence-based practice in special education" 71 : 165-180, 2005

      61 Poustka, R., "The neurobiology of autism, In Autism and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2nd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9-220, 2007

      62 Wilczynski, S. M., "The national standards project: Promoting evidence-based practice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Effective practices for children with autism: Education and behavioral support interventions that work" Oxford University Press 37-60, 2008

      63 Seo, Eun Jung, "The Social Curricular Activities to Teaching Greeting Skills for Young Children with Autism"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 (20): 207-230, 2004

      64 강지원, "The Effects of Visual Tracking on the Learn Units to Criterion and the Visual Tracking of Moving Objects of Students with Autism" 국립특수교육원 16 (16): 355-375, 2009

      65 정보인, "The Effect of Stop Request Compliance Training on Generalized Compliance of Children with Autism to Instructional Requests in the Regular Classroom"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1 (21): 19-37, 2005

      66 Callahan, K., "Social validation of evidence-based practices in autism by parents, teachers, and administrators" 38 : 678-692, 2008

      67 Reichow, B., "Social skills interventions for individuals with autism : Evaluation for evidence-based practices within a best evidence synthesis framework" 40 : 149-166, 2010

      68 Odom, S. L., "Research in special education : Scientific methods and evidence-based practices" 71 : 137-148, 2005

      69 Dowson, G.,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n intervention for toddlers with autism : The Early Start Devner Model" 125 : 17-23, 2010

      70 Gersten, R., "Quality indicators for group experimental and quasi-experimental research in special education" 71 : 149-164, 2005

      71 Brandlinger, E., "Qualitative studies in special education" 71 : 195-207, 2005

      72 Prior, M., "Pychological factors in autism, In Autism and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2nd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69-128, 2007

      73 Kogan, M. D., "Prevalence of parent-reported diagnosis of autism spectrum disorder among children in the US, 2007" 124 : 1395-1403, 2009

      74 Kim, Y. S., "Prevalence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a total population sample" AMER PSYCHIATRIC PUBLISHING, inC 168 (168): 904-912, 201109

      75 Lerman, D. C., "Preparing teachers in evidence-based practices for young children with autism" 33 : 510-526, 2004

      76 이효신, "PECS를 이용한 자폐장애 유아의 자발적 의사표현 행동 향상"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 (20): 335-351, 2004

      77 Rogers, S. J., "Intervention for infants and toddler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Oxford University Press, Inc 1081-1094, 2011

      78 Ozonoff, S., "Gross motor development, movement abnormalities, and early identification of autism" 38 : 644-656, 2008

      79 Szatmari, P., "Genetic epidemiology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Autism and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2nd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80 Odom, S. L., "Evidence-based practices in interventions for children and youth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54 : 275-282, 2010

      81 Odom, S. L., "Evidence-based practices for young children with autism : Contributions form single-subject design research" 18 : 166-175, 2003

      82 Simpson, R. L., "Evidence-based practices and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20 : 140-149, 2005

      83 Reichow, B., "Evidence-based practice in autism: Where we started, In Evidence-based practices and treatment for children with autism" Spinger 2011

      84 Simpson, R. L., "Evidence-based methods for children and youth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 Stakeholder issues and perspectives" 15 : 203-217, 2007

      85 Rogers, S. J., "Evidence-based comprehensive treatment for early autism" 37 : 8-38, 2008

      86 Fombonne, E., "Epidemiological surveys of autism and other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 An update" 33 : 365-382, 2003

      87 Ball, J., "Early intervention and autism : Real-life questions, real-life answers" Future Horizons, Inc 2008

      88 Crane, J. L., "Early autism detection : Implications for pediatric practice and public policy" 18 : 245-253, 2008

      89 Rogers, S. J., "Early Start Denver Model for young children with autism : Promoting language, learning, and engagement" The Guilford Press 2010

      90 Odom, S. L., "Earl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n Handbook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Guilford Press 199-223, 2007

      91 Rubenstein, J. L. R., "Developmental neurobiology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Oxford University Press, Inc 527-538, 2011

      92 Ruble, L. A., "Collaborative model for promoting competence and success for persons with ASD" Spinger 2012

      93 Miles, J. H., "Autism subgroups from a medical genetics,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Oxford University Press, Inc 705-721, 2011

      94 Lord, C., "Autism from 2 to 9 years of age" 63 : 694-701, 2006

      95 Gilbert, C., "Autism as a medical disorder,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Oxford University Press, Inc 445-454, 2011

      96 Stichter, J. P., "Addressing the challenges : Developing a programmatic framework for the systematic integration of evidence-based practices for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16 : 18-32,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4 0.94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08 1.407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