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도 유휴공간의 개발 계획을 위한 공간정보오픈플랫폼의 활용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9714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유휴공간은 기존 도로의 선형개량 및 신규노선 건설, 도로 확장공사 등으로 도로 본래 기능을 상실하여 방치된 도로 부지로 추가적인 활용이 가능한 공간이다. 그러나 현재 일부 유휴공간은...

      유휴공간은 기존 도로의 선형개량 및 신규노선 건설, 도로 확장공사 등으로 도로 본래 기능을 상실하여 방치된 도로 부지로 추가적인 활용이 가능한 공간이다. 그러나 현재 일부 유휴공간은 과적 검문소, 자재 적치장, 차량 대기소 등의 소극적인 유지관리와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대부분의 유휴공간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방안과 활용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정보 오픈 플랫폼(브이월드)를 이용하여 유휴공간의 입지조건, 지형특성, 지역 및 문화 특성을 분석하고 유휴공간의 유형을 분류하기 위한 기준을 정립하였다. 유휴공간의 유형에 따라 공간정보 오픈 플랫폼을 이용해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하고 주변 환경과 경관을 고려한 활용 및 개발 모델을 제시하였다. 향후 강원권 국도 유휴공간의 개발계획 및 설계방안을 도출하여 유휴공간의 활용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nused land is a new load of building and a linear improvement, expanding the loss of function of the road abandoned road construction sites, as well as existing roads is possible additional advantage. However, some space is overcharge checkpoints, ma...

      Unused land is a new load of building and a linear improvement, expanding the loss of function of the road abandoned road construction sites, as well as existing roads is possible additional advantage. However, some space is overcharge checkpoints, materials yard, make this vehicle utilization and maintenance of the unfavorable situation, as vehicle rest area but unused land most of the space required for the use of the system management plan. We are analyzed the location, topographical features, cultural property and in the space which is geospatail open platform set up to classify the type of unused land. Depending on the type of unused land using the geospatial open platform performs a 3D model and a proposed model development and application taking into account the environment and landscape. To derive the Gangwon development Plan and design of future route unused land was becoming helps you make better use of unused lan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要旨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방법
      • 3. 유휴공간 특성 분석
      • 要旨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방법
      • 3. 유휴공간 특성 분석
      • 4. 유휴공간의 유형 분류
      • 5. 3차원 공간정보 오픈 플랫폼을 이용한 유휴공간의 경관분석
      • 6. 유휴공간 관리 공정 제시
      • 7.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승용, "장기 미집행 도시계획시설의 재검토를 위한 지능형 국토정보의 활용방안 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21 (21): 125-134, 2013

      2 유인식, "도로 유휴지 활용·관리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10

      3 ME, "Waste road·railway restoration project guidelines" ME 7-86, 2010

      4 MOLIT, "Waste Road Utilization of established research" MOLIT 1-171, 2011

      5 MOLIT, "Statistical Yearbook of Road Traffic Counts"

      6 MOLIT, "Gangwon route unused land utilization of research and design service" 1-125, 2013

      7 Gwak, S. J., "A study on contents development in revitalizing idle space" Kookmin university 2006

      1 최승용, "장기 미집행 도시계획시설의 재검토를 위한 지능형 국토정보의 활용방안 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21 (21): 125-134, 2013

      2 유인식, "도로 유휴지 활용·관리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10

      3 ME, "Waste road·railway restoration project guidelines" ME 7-86, 2010

      4 MOLIT, "Waste Road Utilization of established research" MOLIT 1-171, 2011

      5 MOLIT, "Statistical Yearbook of Road Traffic Counts"

      6 MOLIT, "Gangwon route unused land utilization of research and design service" 1-125, 2013

      7 Gwak, S. J., "A study on contents development in revitalizing idle space" Kookmin university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3-1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KCI등재
      2019-01-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간정보학회 -> 대한공간정보학회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3-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형공간 정보학회지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5-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GIS학회 -> 한국공간정보학회
      영문명 :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ssociation Of Korea ->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KSIS)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3 0.83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61 0.947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