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통업자상표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제조업자상표와의 상대적 차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Purchase Intention of Store Brands: Focusing on Relative Differ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061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actors affecting purchase intention of store brands have been investigated. National brands may work as the reference products for store brands. Therefore, this paper hypothesized that perceived price difference and perceived quality difference between the store brand and the national brand affect purchase intention of the store brand through relative value. Other factors such as store image, store brand familarity, and price sensitivity are included in the model. Consumers in Ulsan city were surveyed at the entrances of two big discount stores. The products researched are food and clothing. The model was estimated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show that perceived price difference and perceived quality difference are not significant in the total data of clothing and food but that they are significant in clothing. Relative value affects purchase intention of the store brand greater than other factors
      번역하기

      Factors affecting purchase intention of store brands have been investigated. National brands may work as the reference products for store brands. Therefore, this paper hypothesized that perceived price difference and perceived quality difference betwe...

      Factors affecting purchase intention of store brands have been investigated. National brands may work as the reference products for store brands. Therefore, this paper hypothesized that perceived price difference and perceived quality difference between the store brand and the national brand affect purchase intention of the store brand through relative value. Other factors such as store image, store brand familarity, and price sensitivity are included in the model. Consumers in Ulsan city were surveyed at the entrances of two big discount stores. The products researched are food and clothing. The model was estimated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show that perceived price difference and perceived quality difference are not significant in the total data of clothing and food but that they are significant in clothing. Relative value affects purchase intention of the store brand greater than other facto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통업자상표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하였다. 제조업자상표는 유통업자상표의 준거제품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조업자상표와 유통업자상표간의 지각된 가격차이와 품질차이가 상대적 가치를 통하여 유통업자상표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설을 설정하였다. 또한 유통업자상표의 구매의도와 관련이 있는 점포 이미지, 가격민감도, 그리고 유통업자상표 친숙성 등이 모형에 추가적으로 포함되었다. 울산의 두 대형 마트 앞에서 소비자들이 편의적으로 추출되었으며 연구 제품은 의류와 식료품이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모형을 추정하였다. 연구결과 의류와 식료품을 통합한 자료에서 가격차이와 품질차이는 상대적 가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의류에서는 품질차이가 상대적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 가치는 두 제품 모두에서 유통업자상표의 구매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유통업자상표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하였다. 제조업자상표는 유통업자상표의 준거제품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조업자상표와 유통업...

      본 연구는 유통업자상표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하였다. 제조업자상표는 유통업자상표의 준거제품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조업자상표와 유통업자상표간의 지각된 가격차이와 품질차이가 상대적 가치를 통하여 유통업자상표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설을 설정하였다. 또한 유통업자상표의 구매의도와 관련이 있는 점포 이미지, 가격민감도, 그리고 유통업자상표 친숙성 등이 모형에 추가적으로 포함되었다. 울산의 두 대형 마트 앞에서 소비자들이 편의적으로 추출되었으며 연구 제품은 의류와 식료품이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모형을 추정하였다. 연구결과 의류와 식료품을 통합한 자료에서 가격차이와 품질차이는 상대적 가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의류에서는 품질차이가 상대적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 가치는 두 제품 모두에서 유통업자상표의 구매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예종석, "지각된 품질요인이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PB와 NB간의 차이분석" 한국유통학회 15 (15): 1-34, 2010

      2 박진용, "유통업체브랜드 구매 의도 및 선행 변수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할인점 출점 지역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유통학회 8 (8): 21-39, 2003

      3 서용구, "유통업체 브랜드 (PB)의 성공전략" 3 : 56-67, 2004

      4 박진용, "유통업자상표 의류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4 (4): 59-74, 1999

      5 Hoch, Stephen J., "When do Private Label succeed" 34 (34): 57-67, 1993

      6 Mark, L., "Toward a Cognitive Structure Conceptualization of Product Familiarity" 8 : 145-150, 1981

      7 Howard, J.A., "The Theory of Buyer Behavior" John Wiley and Sons 1969

      8 Morris, D., "The Strategy of Own Labels" 13 (13): 55-78, 1979

      9 Raju, P.S., "The Introduction and Performance of Store Brands" 41 : 957-978, 1995

      10 Wheatley, J.J., "The Effects of Price, Store Image, and Product and Respondent Characteristics on Perceptions of Quality" 14 : 181-186, 1977

      1 예종석, "지각된 품질요인이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PB와 NB간의 차이분석" 한국유통학회 15 (15): 1-34, 2010

      2 박진용, "유통업체브랜드 구매 의도 및 선행 변수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할인점 출점 지역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유통학회 8 (8): 21-39, 2003

      3 서용구, "유통업체 브랜드 (PB)의 성공전략" 3 : 56-67, 2004

      4 박진용, "유통업자상표 의류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4 (4): 59-74, 1999

      5 Hoch, Stephen J., "When do Private Label succeed" 34 (34): 57-67, 1993

      6 Mark, L., "Toward a Cognitive Structure Conceptualization of Product Familiarity" 8 : 145-150, 1981

      7 Howard, J.A., "The Theory of Buyer Behavior" John Wiley and Sons 1969

      8 Morris, D., "The Strategy of Own Labels" 13 (13): 55-78, 1979

      9 Raju, P.S., "The Introduction and Performance of Store Brands" 41 : 957-978, 1995

      10 Wheatley, J.J., "The Effects of Price, Store Image, and Product and Respondent Characteristics on Perceptions of Quality" 14 : 181-186, 1977

      11 Sinha, I., "The Effect of Consumer Price Consciousness on Private Label Purchase" 16 : 237-251, 1999

      12 Corstjens, Judith, "Store Wars: The battle for mindspace and shelfspace" John Wiley & Sons 1995

      13 Collins-Dodd, C., "Store Brands and Retail Differentiation: The Influence of Store Image and Store Brand Attitude on Store Own Brand Perceptions" 10 : 345-352, 2003

      14 Hyman, Michael R., "Review of literature - Future research suggestions: Private label brands: Benefits, success factors and future research" 17 (17): 368-389, 2010

      15 Bettman, J.R., "Relationship of Information-Processing Attitude Structures to Private Brand Purchasing Behavior" 59 (59): 79-83, 1974

      16 Ailawadi K.L., "Pursuing the Value-Conscious Consumer: Store Brands Versus National Brand Promotions" 65 (65): 71-89, 2001

      17 Raju, "Product Familarity, Brand Name and Price Influences on Product Evaluation, in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4" Association for Consumer Research 64-71, 1977

      18 Johnson, E.J., "Product Familarity and Learning New Information" 1 : 542-550, 1984

      19 이혜원, "Private Brand의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 요인에 관한 연구" 2003

      20 Kotler, P., "Principles of Marketing" Prentice Hall 2008

      21 Sheinin, D.A., "Pricing Store Brands across Categories and Retailers" 12 (12): 201-219, 2003

      22 Chang, T.Z., "Price, Product Information, and Purchase Intention: An Empirical Study" 22 (22): 16-27, 1994

      23 Lichtenstein, D.R., "Price Perceptions and consumer shopping behavbior: A field study" 30 : 234-245, 1993

      24 Richardson, P.S., "How Consumer Evaluate Store Brands" 5 (5): 19-28, 1996

      25 Cunningham, I.C.M., "Generic Brands versus National Brands and Store Brands" 22 (22): 25-32, 1982

      26 Richardson, P.S., "Extrinsic and Intrinsic Cue Effects on Perceptions of Store Brand Quality" 58 (58): 28-36, 1994

      27 Baltas, G., "Determinant of store brand choice: a behavioral analysis" 6 (6): 315-324, 1997

      28 Zeithaml, V.A., "Consumer Perceptions of Price, Quality, and Value: a Means-End Model and Synthesis of Evidence" 52 : 2-22, 1998

      29 Burger, Philip C., "Can Private Brand Buyers Be Identified" 10 : 219-222,

      30 Monroe, K.B., "Buyers' Perceptions of Price: An Update of the Evidence, in Perspectives in Consumer Behavior" Foresman, and Company Glenview 43-55, 1981

      31 Gujarati, Damodar N., "Basic Econometrics" McGraw Hill 2009

      32 Sethuraman, Raj, "Assessing the External Validity of Analytical Results from National Brand and Store Brand Competition Models" 28 (28): 759-781, 2009

      33 Garreston, Judith A., "Antecedents of Private Label Attitude and National Brand Promotion Attitud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78 : 91-99, 2002

      34 Chowdburry, Jhinuk, "Alternative Modes of Measuring Store Image: An Empirical Assessment of Structured versus Unstructured Measures" 6 (6): 72-86, 1988

      35 Burton, S., "A Scale for Measuring Attitude Toward Private Label Products and an Examination of Its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Correlates" 26 (26): 293-306, 1998

      36 한국경제신문, "2010년 10월 19일자, 2010년 6월 1일자"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5 1.35 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6 1.7 3.079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