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장원, "한국에서 과학소설은 어떻게 살아남았는가? : 한국 과학소설 100년사" 부크크 2017
2 최애순, "한국과학소설사 : 한국 SF의 엉뚱한 상상의 계보" 소명출판 2023
3 칸 앞잘 아흐메드, "한국 근대 초창기 인도 소재 문학의 번역과 수용―「해저 여행 기담」을 중심으로―" 택민국학연구원 (31) : 281-304, 2023
4 김병철, "한국 근대 번역문학사 연구" 을유문학사 1998
5 태극학회, "태극학보 제8호~제21호"
6 이채영, "쥘 베른과 19세기 과학의 대중화 (2) - 쥘 베른의 작품에 나타나는 과학의 대중화 양상과 작가적 의미 재고(再考)를 중심으로" 한국불어불문학회 (93) : 263-296, 2013
7 이채영, "쥘 베른과 19세기 ‘과학의 대중화’ - (1)" 한국불어불문학회 (91) : 319-352, 2012
8 김종욱, "쥘 베른 소설의 한국 수용과정 연구" 한국문학회 (49) : 55-82, 2008
9 손성준, "완역 태극학보 3" 보고사 2020
10 신지연, "완역 태극학보 2" 보고사 2020
1 고장원, "한국에서 과학소설은 어떻게 살아남았는가? : 한국 과학소설 100년사" 부크크 2017
2 최애순, "한국과학소설사 : 한국 SF의 엉뚱한 상상의 계보" 소명출판 2023
3 칸 앞잘 아흐메드, "한국 근대 초창기 인도 소재 문학의 번역과 수용―「해저 여행 기담」을 중심으로―" 택민국학연구원 (31) : 281-304, 2023
4 김병철, "한국 근대 번역문학사 연구" 을유문학사 1998
5 태극학회, "태극학보 제8호~제21호"
6 이채영, "쥘 베른과 19세기 과학의 대중화 (2) - 쥘 베른의 작품에 나타나는 과학의 대중화 양상과 작가적 의미 재고(再考)를 중심으로" 한국불어불문학회 (93) : 263-296, 2013
7 이채영, "쥘 베른과 19세기 ‘과학의 대중화’ - (1)" 한국불어불문학회 (91) : 319-352, 2012
8 김종욱, "쥘 베른 소설의 한국 수용과정 연구" 한국문학회 (49) : 55-82, 2008
9 손성준, "완역 태극학보 3" 보고사 2020
10 신지연, "완역 태극학보 2" 보고사 2020
11 신지연, "완역 태극학보 1" 보고사 2020
12 김미연, "번역된 미래와 유토피아 다시 쓰기 : 1920년대 과학소설 번역과 수용사" 소명출판 2022
13 박진영, "번역과 번안의 시대" 소명출판 2012
14 손성준, "근대 동아시아의 크롬웰 변주: 영웅 담론 · 영국 政體․프로테스탄티즘" 대동문화연구원 (78) : 213-260, 2012
15 강정구, "근대 계몽기의 과학소설에 나타난 기계 표상" 국제한인문학회 (28) : 111-134, 2020
16 山田敬三, "魯迅與儒勒․凡爾納之間" 2003
17 包天笑, "鐵世界" 文明書局 1903
18 송명진, "近代 科學小說의 ‘科學’ 槪念 硏究 -朴英熙의 「人造勞動者」를 中心으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2 (42): 185-207, 2014
19 조숙려, "科幻小說≪海底旅行≫ 中韓譯本的比較" 숭실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48 : 2019
20 陳向紅, "晚清科學小說的政治化改寫和人物形象的變形" 2016
21 柳田泉, "明治初期の翻訳文学(明治文学叢刊1)" 松柏館書店 1935
22 梁啓超, "新小說 제1호~제18호"
23 季敏, "儒勒·凡爾納科幻小說在晚清的時期的接受研究" 北京語言大學 2008
24 大平三次, "五大洲中海底旅行 하편" 四通社 1886
25 大平三次, "五大洲中海底旅行 상편" 四通社 1884
26 賈立元, "“晚清科幻小說”概念辨析" 2017
27 윤영실, "‘세 제국들 사이’의 식민지 ‘민족’ - 1900년대 말 제국주의적 인종 담론과 한국 민족 개념의 역사적 생성" 한국현대문학회 (68) : 5-47, 2022
28 조숙려, "20세기초 쥘 베른 과학소설의 中譯本과 韓譯本비교연구:≪海底旅行≫과≪鐵世界≫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2019
29 王秉欽, "20世紀中國翻譯思想史" 南開大學出版社 2011
30 박주현, "1900년대 과학소설 속 영웅 형상과 구국의 논리- <해저여행>과 <철세계>를 중심으로 -"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37 : 81-116, 2022
31 노연숙, "1900년대 과학 담론과 과학 소설의 양상 고찰" 한국현대문학회 (37) : 33-67,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