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역사 속으로 퇴장하고 있는 이산 1세대 월남민의 정체성을 분석한 글이다. 생애사의 관점에서 비교적 소상한 행적을 알 수 있는 네 사람을 선택했는데, 그 이유는 분단과 근대 이행...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538269
2017
-
월남민 ; 이산 ; 자아 정체성 ; 인본주의 ; 자기 결정성 ; 지식인 ; People from North Korea ; Diaspora ; Self-identity ; Humanism ; Self-determination ; Intellectual
800
KCI등재
학술저널
99-139(41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역사 속으로 퇴장하고 있는 이산 1세대 월남민의 정체성을 분석한 글이다. 생애사의 관점에서 비교적 소상한 행적을 알 수 있는 네 사람을 선택했는데, 그 이유는 분단과 근대 이행...
이 글은 역사 속으로 퇴장하고 있는 이산 1세대 월남민의 정체성을 분석한 글이다. 생애사의 관점에서 비교적 소상한 행적을 알 수 있는 네 사람을 선택했는데, 그 이유는 분단과 근대 이행에서 그들의 활동이 법치주의와 산업화, 민주주
의 사회운동, 그리고 통일운동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들은 출신 배경과 학업, 활동 무대, 삶의 지향이 다르지만 ‘지식인’의 범주로 묶을수 있다. 개별성으로 볼 때 이런 설정에 편차는 존재한다. 그들은 월남민 전체를 대표하지 않으며 정체성 또한 자아의 형성과정에 초점을 두고 있다. 사람의 행위를 설명할 때 그들의 행동이 어떤 준거에 의해 이루어졌는지, 이 준거에서 그들은 자신과 주변의 상황을 어떻게 인식하고 재구성했는지가 중요하다. 구술자료와 자서전, 회고록, 언론 인터뷰를 중심으로 하는 에고도큐먼트(ego-documents)를 활용해 남북한의 체제 변동과 이산, 개인의 삶에 끼친 영향에 주목해서 그들의 정체성을 구성해본다. 정체성은 일제 강점기의 어린 시절과 이북의 교육, 사회주의 체제 이행, 남한 이주와 정착과정에서 영향을 받는다. 긍정의 방식과 부정의 방식으로 정체성을 강화하는 요인이 되는 것이 이북의 사회주의체제 이행에서 체험한 것과 그 이후의 북한 현실이다. 남한의 정치사회변동과 미국의 존재가 정체성 형성에 끼친 영향도 유사하다. 정체성은 고정되어 있지 않고 생애 시기마다 변하며 여러 사건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형성되는
변형적인 것이다. 인간은 객관적 조건에서 그것을 받아들이는 주관적 인식과 해석하는 방식에 따라 정체성을 재구성한다. 이 글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정체성의 본질은 자기 결정성에 있다. 이것은 구조적 환경에 따른 행위의 결과로서
하나의 총체성을 이루는 지금의 것을 의미한다. 김태청의 법치주의와 자유민주주의 이상, 오동선의 경제발전과 공동체 성원으로서 의무, 유태영의 기독교 세계관과 통일운동, 김우종의 사회참여 문학과 휴머니즘은 한국 근대 지식인의 초상을 보여준다. 무엇보다 이들은 모두 사회와 인간에 대한 신뢰, 애정을 잃지 않았다. 김태청과 오동선은 자신들의 계급 성분 때문에 이북에서 원하는 방식대로 살 수 없었다. 장래에 대한 선택의 여지는 협소했고 꿈을 펼치기에 한계가 뚜렷한 사회에서 그들은 체제에 비판적일 수밖에 없었다. 생애에서 이런 관점은 그들이 이북을 떠나온 이후 줄곧 유사한 인식을 보여준다. 유태영과 김우종의 삶은 보편적이지 않다. 유태영 목사는 기독교 보수주의와 반공주의에서 벗어나 북한을 제대로 알기 위해 평양을 방문하고 통일 운동에 큰 역할을 한다. 그에게 정체성의 전환은 미국에 대한 입장과 신앙에 대한 태도에서 극적으로 이루어진다. 문학평론가 김우종의 일관된 친일 비판과 문학의 사회참여는 정체성을 강화
하고 확장시키면서 진행된다. 서정주에 대한 비판과 윤동주에 대한 사랑은 휴머니즘의 실천이다.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존중이 정체성의 확장을 가져오고 이런 관점에서 휴머니즘은 가장 강력하게 개인의 정체성을 강화시켜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nalyzes the identity of the 1st generation of people from North Korea. Focusing on their life history, it studies four people whose actions are public, as their activities are related to the rule of law, industrialization, democratic soc...
This article analyzes the identity of the 1st generation of people from North Korea. Focusing on their life history, it studies four people whose actions are public, as their activities are related to the rule of law, industrialization, democratic social movements, and unification movements. Although their academic backgrounds and life orientations differ, they can all be regarded as “intellectuals.” Using ego-documents centered on oral records, autobiography, memoirs, and interviews, this study examines their identity by paying attention to the effects of North and South Korean social changes and disasters, and to their personal lives. Their identity formation was influenced by their childhood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education of the North, the implementation of the socialist system, and their relocation and settlement in the South. Their identity is not fixed, but it varies from one life cycle to another, and is transformed and influenced by events. The essence of identity in this article is self-determination. Kim Tae-chung’s legalism and liberal democratic ideals, Oh Dong-seon’s economic development and belief in the duty of community members, Yoo Tae-young’s Christian worldview and unification movement, and Kim Woo-jong’s social participation literature and humanism, all reveal Korean modern intellectuals. Pastor Yoo returns to Pyongyang to learn about North Korea and to play a major role in the unification movement. Literary critic Kim Woo-jong’s consistent criticism of pro Japanese analyses and his social participation in literary work proceed to strengthen and expand his identit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알프레드 그로세르, "현대인의 정체성" 한울 2002
2 김귀옥, "해방직후 월남민의 서울 정착: 월남인의 사회․정치적 활동에 대한 접근" 9 : 2003
3 김성수, "함석헌평전 : 신의 도시와 세속 도시 사이에서" 삼인 2006
4 차철욱, "한국전쟁 피난민들의 정착과 장소성 - 부산 당감동 월남 피난민마을을 중심으로 -" 석당학술원 (47) : 281-323, 2010
5 "한국경제신문"
6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2000
7 한성훈, "진영지역 학살과 진실규명: 역사의 법정과 희생자 복원" 역사학연구소 (21) : 73-101, 2011
8 오동선, "지봉자전" 삶과꿈 2005
9 한성훈, "중국 조선족의 독일 이주 연구" 국학연구원 (163) : 57-80, 2013
10 존 포트만, "죄의 역사" 리더스북 2008
1 알프레드 그로세르, "현대인의 정체성" 한울 2002
2 김귀옥, "해방직후 월남민의 서울 정착: 월남인의 사회․정치적 활동에 대한 접근" 9 : 2003
3 김성수, "함석헌평전 : 신의 도시와 세속 도시 사이에서" 삼인 2006
4 차철욱, "한국전쟁 피난민들의 정착과 장소성 - 부산 당감동 월남 피난민마을을 중심으로 -" 석당학술원 (47) : 281-323, 2010
5 "한국경제신문"
6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2000
7 한성훈, "진영지역 학살과 진실규명: 역사의 법정과 희생자 복원" 역사학연구소 (21) : 73-101, 2011
8 오동선, "지봉자전" 삶과꿈 2005
9 한성훈, "중국 조선족의 독일 이주 연구" 국학연구원 (163) : 57-80, 2013
10 존 포트만, "죄의 역사" 리더스북 2008
11 사미자, "종교심리학"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2001
12 유태영, "제 소리" 가나안 2010
13 류동규, "전후 월남작가의 자아정체성 기원" 한국비평문학회 (24) : 221-246, 2006
14 데이비드 헬드, "전지구적 변환" 창작과비평사 2003
15 한성훈, "전쟁과 인민 : 북한 사회주의 체제의 성립과 인민의 탄생" 돌베개 2012
16 김정숙, "인천시 황해도민의 정착과 정체성 형성"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7 김귀옥, "이산가족-반공전사도 빨갱이도 아닌" 역사비평사 2004
18 이신철, "월남인 마을 ‘해방촌’(용산2가동) 연구 - 공동체의 성격을 중심으로" 14 : 2000
19 한성훈, "월남민의 서사 ― 출신지와 이산가족, 신념, 전쟁 체험을 중심으로 ―" 수선사학회 (60) : 335-366, 2017
20 김귀옥, "월남민의 생활 경험과 정체성 : 밑으로부터의 월남민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21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월남난민 양준호 간첩조작 의혹 사건" 2008
22 전소영, "월남 작가의 정체성, 그 존재태로서의 전유 - 황순원의 해방기 및 전시기 소설 일고찰" 한국근대문학회 (32) : 81-105, 2015
23 장세진, "원한, 노스탤지어, 과학-월남 지식인들과 1960년대 북한학지(學知)의 성립 사정-"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17) : 141-180, 2014
24 안신, "에릭 에릭슨의 종교심리학에 대한 연구 -발달이론과 종교이론을 중심으로-" 종교문제연구소 (14) : 179-196, 2008
25 T. H. 마셜, "시민권" 나눔의집 2014
26 황석영, "손님" 창작과비평사 2001
27 박금숙, "삶과 죽음을 넘은 李永哲선생님과 나의 만남" 2012
28 선우종원, "사상검사" 계명사 1992
29 "북한의 『조선말대사전』"
30 차철욱, "부산지역 피란민 유입과 피란민 공간만들기- 우암동 피란여성을 중심으로" 석당학술원 (63) : 229-269, 2015
31 김태청, "법복과 군복의 사이" 원경 2001
32 이명희, "반공주의와 작가정신: 월남 작가 박순녀의 경우" 아시아여성연구원 47 (47): 7-38, 2008
33 김동춘, "반공의 시대 : 한국과 독일, 냉전의 정치" 돌베개 2015
34 안쏘니 기든스, "민족국가와 폭력" 삼지원 1991
35 "미주중앙일보"
36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문인 간첩단 사건" 2009
37 이호철, "문" 문학세계사 1995
38 박금숙, "동화작가 이영철의 생애 고찰" 동화와번역연구소 (32) : 61-90, 2016
39 "동아일보"
40 김귀옥, "동아시아의 전쟁과 사회" 한울 2009
41 "경향신문"
42 한인섭, "거창양민학살사건자료집 Ⅲ" 법학연구소 2003
43 한성훈, "개인 편지에 나타난 북한 인민의 전쟁 서사" 비판사회학회 (94) : 339-372, 2012
44 한성훈, "가면권력 : 한국전쟁과 학살" 후마니타스 2014
45 Norbert Elias, "社會學이란 무엇인가" 나남 1987
46 "五道民新聞"
47 "『월간 한국수필』, 2013년 1월호"
48 "『민족21』, 2001년 9월호 (통권 제6호)"
49 정주아, "‘정치적 난민’의 공간 감각, 월남작가와 월경의 체험" 한국근대문학회 (31) : 39-63, 2015
50 Stephen Castles, "The age of migration: international population movements in the modern world" Palgrave Macmillan 2009
51 Sunghoon Han, "The Ongoing Korean War at the Sinch’ŏn Museum in North Korea" 민족문화연구원 (14) : 152-177, 2015
52 Alberto Melucci, "Social Movements and Culture" Th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95
53 Jill Kiecolt, "Self, Identity and Social Movement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00
54 Robert Segal, "Religion and Social Sciences" Scholars Press 1989
55 Edward W. Said, "Reflections on Exile and Other Essays" Harvard University Press 2000
56 Anthony Giddens, "Modernity and Self-Identity: Self and Identity in the late Modern Age" Polity Press 1991
57 Frederik Barth, "Ethnic Groups and Boundaries" Universitats-fur Paget 1969
58 Anthony D. Smith, "Culture, Community and Territory: the Politics of Ethnicity and Nationalism" 72 (72): 1996
59 Charles Tilly, "Citizenship, Identity and Social History" 40 (40): 1995
60 "<유태영 구술자료>, 한성훈 채록, 미국 뉴저지, Harrington Park, 2016. 2. 20"
61 "<오동선 구술자료>, 한성훈 채록, 서울 강남구 논현동 삼영빌딩, 2015. 3. 5"
62 "<김태청 인터뷰>, 한성훈, 서울시 중구 태평로2가 계림합동법률사무소, 2005. 3. 30"
63 "<김우종 구술자료>, 김아람 채록, 서울시 동작구 상도로 구술자 자택, 2015. 4. 15 ; 4. 22; 4. 27"
64 김아람, "38선 넘고 바다 건너 한라산까지, 월남민의 제주도 정착 과정과 삶" 역사문제연구소 20 (20): 207-251, 2016
조선후기 새로운 국가구상의 전통과 『경세유표(經世遺表)』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2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DONG BANG HAK CHI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3 | 1.23 | 1.1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6 | 0.97 | 2.154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