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RISS 인기논문 KCI등재

      영유아교육에서 관찰과 기록의 차이 탐구 : 영유아 관찰, 레지오 에밀리아 교육의 기록, 개정 누리과정 놀이 관찰과 기록을 중심으로 = The Study of Differences in Observation and Docu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Observation of children, Reggio Emilia Documentation and Observation and Document of Play in the 2019 National Nuri Curriculum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그동안 영유아교육에서 이루어져 온 영유아 관찰, 레지오 교육의 기록작업과 2019 개정 누리과정의 놀이 관찰과 기록 간에 차이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영유아 관찰...

      본 연구는 그동안 영유아교육에서 이루어져 온 영유아 관찰, 레지오 교육의 기록작업과 2019 개정 누리과정의 놀이 관찰과 기록 간에 차이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영유아 관찰, 레지오 에밀리아 교육의 기록작업, 2019 개정 누리과정의 놀이 관찰과 기록의 목적, 내용, 방법, 활용의 측면에서 비교하였다. 그 결과 영유아 관찰은 영유아의 발달을 선결정된 틀에 따라 그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객관적이고 형식적으로 기술하였다. 또한 영유아 관찰은 곧 영유아 평가로 여겨지며 영유아의 발달을 위해 교육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레지오 에밀리아 교육의 기록작업은 열린 마음으로 영유아의 학습 과정에 귀 기울이는 것으로서, 영유아의 사진, 글, 그림 등과 같은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여 이미지화 하고, 영유아, 동료 교사, 부모와의 소통, 그리고 교사 성찰의 도구로 사용되었다. 마지막으로 2019 개정 누리과정의 놀이 관찰과 기록은 사건으로서 영유아의 놀이(배움)를 포착하고 의미 짓는다. 놀이 관찰과 기록의 행위주체성을 인정하며, 놀이 관찰과 기록이 교사에게 작용하여 영유아를 이해하고, 교육적 실천을 할 수 있는 교육과정 실행 그 자체로 바라보고 있다. 본 연구는 영유아 관찰, 레지오 에밀리아 교육의 기록작업, 2019 개정 누리과정의 놀이 관찰과 기록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놀이 관찰과 기록의 의미를 명확히 하였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difference between observation of children, Reggio Emilia documentation and the observation and document of play spoken in the 2019 National Nuri curriculum. Accordingly, three aspects were compared: 1) the 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difference between observation of children, Reggio Emilia documentation and the observation and document of play spoken in the 2019 National Nuri curriculum. Accordingly, three aspects were compared: 1) the purpose and contents 2) the method and 3) the utilization. As a result, observation of children was made to explain child development statu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framework, which was described objectively and formally. In addition, observation of children is considered to be an evaluation of child and was used as a means of developing educational plans for the development of child. The Reggio Emilia documentation is to listen to the learning process of children with an open mind. The documentation was imaged using various languages such as photography, writing, and painting of children. The documentation was used as a tool for communication with children, fellow teachers, and parents, or as a tool for reflection by teachers. Finally, the 2019 National Nuri curriculum’s observation and document of play captures and means the play of children as an event. It recognized the agency of the play document and believed that the observation and document of play would act on teachers so that they could understand children and carry out educational praxi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larified the meaning of observation and document by comparing differences in observation of children, Reggio Emilia documentation and observation and document of paly in the 2019 National Nuri curriculu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혜령, "현대 해석학의 관점에서 본 아동 이해의 문제" 6 (6): 96-110, 1997

      2 정선아, "한국 유아교육에서 레지오 에밀리아 교육의 위상" 33-49, 2015

      3 신은미, "푸코의 자기배려에 대한 소고: 유아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을 중심으로" Pusan National University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9 (29): 341-358, 2019

      4 Dahlberg, G., "포스트모던 유아교육: 새로운 이해와 실천을 열어가기" 창지사 2016

      5 이정우, "천하나 의 고원 : 소수자 윤리학 을 위하여" 돌베개 2008

      6 보건복지부,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7 안부금, "자가진단 루브릭에 근거한 피드백 전략이 예비유아교사의 일화기록 작성능력과 반성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8 (18): 363-387, 2017

      8 김은희, "유치원 교실에서 기록의 의미 알아가기: 3세반 두 교사의 기록 공유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67-98, 2011

      9 박소연, "유아의 놀이를 기록하는 교사의 경험"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10 임부연, "유아교육과정의 맥락 속에서 살펴본 ‘놀이~배움’의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265-287, 2019

      1 유혜령, "현대 해석학의 관점에서 본 아동 이해의 문제" 6 (6): 96-110, 1997

      2 정선아, "한국 유아교육에서 레지오 에밀리아 교육의 위상" 33-49, 2015

      3 신은미, "푸코의 자기배려에 대한 소고: 유아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을 중심으로" Pusan National University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9 (29): 341-358, 2019

      4 Dahlberg, G., "포스트모던 유아교육: 새로운 이해와 실천을 열어가기" 창지사 2016

      5 이정우, "천하나 의 고원 : 소수자 윤리학 을 위하여" 돌베개 2008

      6 보건복지부,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7 안부금, "자가진단 루브릭에 근거한 피드백 전략이 예비유아교사의 일화기록 작성능력과 반성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8 (18): 363-387, 2017

      8 김은희, "유치원 교실에서 기록의 의미 알아가기: 3세반 두 교사의 기록 공유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67-98, 2011

      9 박소연, "유아의 놀이를 기록하는 교사의 경험"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10 임부연, "유아교육과정의 맥락 속에서 살펴본 ‘놀이~배움’의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265-287, 2019

      11 신나리, "유아관찰기록척도(K-COR-Ⅱ) 타당화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 9 (9): 309-337, 2013

      12 임부연, "유아 놀이중심 유아교육과정" 공동체 2021

      13 이경화, "유아 관찰 및 기록 자료 개발. 2019 개정누리과정 후속조치 연구보고서" 교육부 2020

      14 김태인, "예비교사의 유아관찰 경험의 의미: 부적응 유아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4 (14): 341-368, 2010

      15 김희진, "영유아교육기관에서의 관찰" 창지사 2018

      16 Davies, B., "어린이에게 귀 기울이기:‘이기’와 ‘되기’" 창지사 2017

      17 Edwards, C., "어린이들의 수많은 언어: 레지오 에밀리아의 유아교육" 정민사 2006

      18 오문자,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 1 : 109-115, 1997

      19 김은희, "민주주의 교육 실천으로서 기록의 의미: 4세반 두 교사의 기록 공유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463-488, 2012

      20 이주호, "미셸 푸코의 ‘자기배려’ 개념과 교육적 담론의 복원" 한국교육철학학회 36 (36): 99-118, 2014

      21 정효진, "레지오 에밀리아를 적용하는 도담유치원 경력교사들의 기록작업에 대한 탐색" The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14 (14): 115-148, 2019

      22 김은숙, "레지오 에밀리아 적용 유치원 교사들의 기록에 대한 인식" 18 : 47-79, 2009

      23 Taguchi, H. L., "들뢰즈와 내부작용 유아교육" 창지사 2018

      24 Olsson, L. M., "들뢰즈와 가타리를 통해 유아교육 읽기: 운동과 실험" 살림터 2017

      25 김보은, "기록작업을 하는 유아교사의 교수지원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26 Project Zero, "기록작업을 통한 학습의 가시화: 개인과 집단 학습자로서의 어린이" 양서원 2005

      27 임진영, "기록작업을 통한 유아교사의 사고와 행동의 변화" 한국열린교육학회 18 (18): 229-253, 2010

      28 김희연, "기록작업을 매개로 한 부모참여에 관한 실행연구: 학습공동체를 지향하며" 한국유아교육학회 26 (26): 221-254, 2005

      29 김희연, "기록작업(documentation)의 의미에 대한 재조명: 21세기 한국 유아교육의 공공성 구성을 위한 탐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79-102, 2008

      30 김경철, "기록 작업을 통한 교사의 귀 기울이기"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67-89, 2009

      31 유혜령, "구조주의 및 후기구조조의의 사조의 등장과 근대적 주체의 해체" 1-6, 2021

      32 노연서, "교육현장이 다른 교사와 나의 레지오 기록작업 함께 읽기"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33 최유리, "교육과정 자율화 논의에 가정된 교사 자율성 재개념화: Foucault의 ‘자기 배려’ 논의에 기초하여" 한국교육과정학회 35 (35): 119-141, 2017

      34 유혜령, "교육과정 개발에서 이해로" 1-5, 2021

      35 교육부, "관찰기록 안내서"

      36 Reggio Children, "개미 빼고 모든 것에 그림자가 있어요" 다음세대 2002

      37 van Manen, M., "가르친다는 것의 의미" 학지사 2012

      38 Albin-Clark, J., "What is documentation do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shifting from and between the meanings and actions of documentation practices" 1463949120917157 : 2020

      39 Hostyn, I., "The professional actuation of pedagogical documentation in Belgian and Finnish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190 (190): 400-413, 2020

      40 Hae-Ryung Yeu, "The meaning of Reggio Emilia documentation as a hermeneutic text: The ambivalent duality of pedagogical anxiety and hope" The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32 (32): 415-433, 2012

      41 Knauf, H., "Styles of documentation in German early childhood education" 35 (35): 232-248, 2015

      42 OECD, "Starting Strong III" OECD Publishing 2011

      43 Turner, T., "Reflections on documentation : A discussion with thought leaders from Reggio Emilia" 49 (49): 5-13, 2009

      44 Lee-Hammond, L., "Pedagogical documentation and systematic quality work in early childhood : Comparing practices in Western Australia and Sweden" 1463949120928431 : 2020

      45 Merewether, J., "Listening to young children outdoors with pedagogical documentation" 26 (26): 259-277, 2018

      46 Fawcett, M., "Learning through child observation" Jessica Kingsley Publishers 2016

      47 Löfgren, H., "Learning in preschool : Teachers’ talk about their work with documentation in Swedish preschools" 15 (15): 130-143, 2017

      48 Rinaldi, C., "In dialogue with Reggio Emilia: Listening, researching and learning" Psychology Press 2006

      49 정선아, "G. Stanley Hall 의 아동연구 발달주의 (Child-Study Developmentalism) 의 의미" 21 (21): 481-496, 2001

      50 Kyeonghwa Lee, "Early Childhood Teacher Competences toward Actualizing the 「2019 Nuri Curriculum」" Korean Society for Critical Inquiry of Childhood Education 9 (9): 5-33, 2019

      51 Rintakorpi, K., "Documenting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 pedagogical documentation as a tool for developing early childhood pedagogy and practises" 36 (36): 399-412, 2016

      52 Knauf, H., "Documentation strategies : Pedagogical document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New Zealand and Germany" 48 (48): 11-19, 2020

      53 Vallberg-Roth, A. C., "Different forms of assessment and documentation in Swedish preschools" 5 : 2012

      54 Yun-Jin Jung, "Content Analysis of the Infant Observation Record: Focused on the Correspondence between Nuri Curriculum and Observation Record" The Korea Society for Child Education (KSCE) 25 (25): 351-367, 2016

      55 Vecchi, V., "Art and creativity in Reggio Emilia: Exploring the role and potential of ateli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Routledge 2010

      56 Kwi-Ok Nah, "An investigation of directions for child assessment in relation with Nuri Curriculum" The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32 (32): 465-492, 2012

      57 Geongsuk Kim, "An exploration of changes i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bservational capacity through teaching improvement efforts in the “Children Observation and Behavior Research” course" Research Institut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22 (22): 100-127, 2020

      58 Jin-Hee Lee, "An Exploration of Sociocultural Child Assessment for Learning: Overcoming Methodological Individualism" Korean Association For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 (20): 791-815, 2020

      59 Yeon-Sook Song, "A study on the metaphorical analysis of the good child observation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Korean Society for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18 (18): 127-149, 2019

      60 Chung, S., "A critical analysis on discourses of the Reggio Emilia Approach in Korea ECE" EECERA 2017

      61 허영주, "A Study on Self-care Education Based on Comparison Analysis of Noddings and Foucault's Theory" Korean Educational Idea Association 27 (27): 349-375, 2013

      62 교육과학기술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63 교육부,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64 교육부, "2019 개정 누리과정 놀이이해자료집"

      65 교육부, "2019 개정 누리과정 놀이실행자료집"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5-0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어린이교육문화비평학회 -> 한국영유아교육과정학회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Critical Inquiry of Childhood Education -> Korean Society for Young Children Becoming Curriculum
      KCI등재
      2022-05-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어린이교육비평 -> 영유아교육과정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Young Children Becoming Curriculum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3-05-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레지오교육학회 -> 한국어린이교육문화비평학회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for the Reggio Emilia Approach -> Korean Society for Critical Inquiry of Childhood Education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