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유아교사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유아 동시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 A study on how to activate the poetr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based on the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527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에서 등한시되고 있는 인문교육으로서의 동시교육의 중요성을 고취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의 목소리를 통해 현행 동시교육의 문제점과 ...

      본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에서 등한시되고 있는 인문교육으로서의 동시교육의 중요성을 고취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의 목소리를 통해 현행 동시교육의 문제점과 영향요인들을 알아봄으로써 유아 동시교육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유아교육 전문가로부터 추천받은 21명의 유아교사들이었고 이들을 직접 면담하여 수집된 자료를 질적 내용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는 5개의 차원으로 분류되어 25개의 개념과 11개의 범주로 기술되었다. 유아 동시교육의 ‘정체상태’ 차원에서의 범주는 부수적인 동시 활동, 제한된 자료탐색, 수업운영의 어려움이었으며 ‘부정적 맥락 조건’ 차원의 범주는 안주하는 교사, 동시가 소외된 교육환경이었으며 ‘중재조건’ 차원의 범주는 교사역량개발과 동시 활동 자료집개발이 해당되었다. 또한 ‘활성화’ 차원의 범주는 즐거운 동시 활동과 동시가 중심이 되는 수업이었고 ‘촉진적 맥락 조건’ 차원의 범주는 도전하는 교사와 동시를 중시하는 교육환경이 해당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동시교육 활성화를 위한 과정 모형을 도출하고 어떻게 하면 유아 동시교육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지 그 방안들을 제안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the importance of poetry education as humanities, which is neglecte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find ways to activate poetr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by find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the importance of poetry education as humanities, which is neglecte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find ways to activate poetr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by finding out the actual conditions and influence factors of poetry education through the voi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researcher interviewed 21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mmended by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 and analyzed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interview using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The study results were classified into 5 dimensions and described in 25 concepts and 11 categories. In the ‘constant state’ dimension of poetry education, the categories were incidental concurrent activities, limited material exploration, and difficulty in class operation. The categories of the ‘negative context condition' were teacher no longer try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alienates poetry education. The categories of ’intervention condition' were the development of teacher competency and the development of poetry activities collection. In addition, the categories of the ‘activation’ dimension were pleasant activities and a class that focuses on the poetry, while the categories of the “promotive context condition” were challengeable teachers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emphasizes poetry.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possible to present a process model for activating poetry education and to propose conditions how to create desirable ways for poetry educ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영심, "표준보육과정과 2007년 개정유치원교육과정에 반영된 유아문학교육의 의미 분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0 (10): 201-222, 2009

      2 이송은, "통합적인 동시짓기 활동이유아의 동시짓기와 감상 및 교사의 동시인식에 미치는 영향" 3 (3): 101-126, 2002

      3 박부숙, "통합적 음악 감상을 통한 유아 소그룹 동시짓기 활동의 효과" 한국보육학회 17 (17): 233-258, 2017

      4 최선녀, "초등 국어교육에서의 창의적 동시 쓰기 지도 방안 - 빙고 놀이를 활용한 아이디어 생성과 관련하여 -" 한민족어문학회 (61) : 379-421, 2012

      5 김영실, "지능형 로봇을 활용한 동시활동이 4세 유아의 음운인식과 단어재인에 미치는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389-409, 2011

      6 김선영, "자연체험에 기초한 동시 관련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과언어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143-158, 2008

      7 정은아, "읽기 전 활동 ‘시 창작’을 통한 시 감상 교육 - 시인의 대상 관찰과 형상화 과정의 체험(이해)을 중심으로" 우리말교육현장학회 11 (11): 231-248, 2017

      8 김선영, "이론과 실제 : 동시 지도의 방향" 5 : 50-58, 1963

      9 윤진주, "유치원 교사의 수업전문성과 전문성지원환경간의 관계" 한국아동교육학회 24 (24): 73-91, 2015

      10 김재숙, "유치원 교사의 동시지도에 관한 인식과 실제사례 분석을 통한 동시지도 방안에관한 기초연구" 2 (2): 81-104, 2001

      1 임영심, "표준보육과정과 2007년 개정유치원교육과정에 반영된 유아문학교육의 의미 분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0 (10): 201-222, 2009

      2 이송은, "통합적인 동시짓기 활동이유아의 동시짓기와 감상 및 교사의 동시인식에 미치는 영향" 3 (3): 101-126, 2002

      3 박부숙, "통합적 음악 감상을 통한 유아 소그룹 동시짓기 활동의 효과" 한국보육학회 17 (17): 233-258, 2017

      4 최선녀, "초등 국어교육에서의 창의적 동시 쓰기 지도 방안 - 빙고 놀이를 활용한 아이디어 생성과 관련하여 -" 한민족어문학회 (61) : 379-421, 2012

      5 김영실, "지능형 로봇을 활용한 동시활동이 4세 유아의 음운인식과 단어재인에 미치는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389-409, 2011

      6 김선영, "자연체험에 기초한 동시 관련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과언어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143-158, 2008

      7 정은아, "읽기 전 활동 ‘시 창작’을 통한 시 감상 교육 - 시인의 대상 관찰과 형상화 과정의 체험(이해)을 중심으로" 우리말교육현장학회 11 (11): 231-248, 2017

      8 김선영, "이론과 실제 : 동시 지도의 방향" 5 : 50-58, 1963

      9 윤진주, "유치원 교사의 수업전문성과 전문성지원환경간의 관계" 한국아동교육학회 24 (24): 73-91, 2015

      10 김재숙, "유치원 교사의 동시지도에 관한 인식과 실제사례 분석을 통한 동시지도 방안에관한 기초연구" 2 (2): 81-104, 2001

      11 주영희, "유아언어발달과 교육" 교문사 2001

      12 이상금, "유아문학론" 교문사 1986

      13 최한선, "유아문학교육의 방향성 연구 ― 동요, 동시 교육 강화를 제안하며 ―" 한국시가문화학회 (41) : 113-138, 2018

      14 정성진,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역량강화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한국아동교육학회 21 (21): 67-80, 2012

      15 정진, "유아 문학교육 내용의 활용실태"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0 (10): 171-194, 2011

      16 강성화, "영유아를 위한 문학교육" 동문사 2017

      17 이향근, "언어유희 동시 교육의 개선 방향 탐색" 청람어문교육학회 (45) : 381-407, 2012

      18 남지현, "아동과 예비교사의 동시 선호도 조사 연구" 우리말교육현장학회 12 (12): 7-52, 2018

      19 김상욱, "실천적 이론과 이론적 실천" 한국문학교육학회 (18) : 339-370, 2005

      20 하계덕, "실천수기 : 우리 학교의 동시지도" 8 : 113-136, 1964

      21 송혜경, "식물체험과 연계한 동시감상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정서창의성에 미치는효과" 5 (5): 1-16, 2013

      22 이오덕, "시정신과 유희정신" 창작과 비평사 1998

      23 김상욱, "시적 상상력의 유형과 그 문학교육적 함의" 18 (18): 223-245, 2001

      24 김영관, "시적 상상력을 통한 시 창작 교육 연구" 우리말교육현장학회 5 (5): 209-236, 2011

      25 박가을, "시문학 이론과 실제" 도서출판 지성의 샘 2015

      26 이성수, "시교육의 현황과 발전 방향의 모색" 우리말교육현장학회 9 (9): 71-109, 2015

      27 김유미, "숲 활동을 토대로 한 만 4세 유아의 자발적 동시 짓기 과정과 시적 표현" 한국보육지원학회 13 (13): 59-80, 2017

      28 유선희, "숲 체험활동을 통한 소집단 동시 짓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열린부모교육학회 8 (8): 255-272, 2016

      29 이오덕, "삶·문학·교육" 도서출판 고인돌 2013

      30 이윤희, "산책활동이 유아의 동시 짓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27 (27): 63-93, 2007

      31 최미숙, "브레인스토밍을 통한 동시 짓기 활동이유아의 이야기 구성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3 (13): 131-152, 2009

      32 최인숙, "문학적 언어 활동이 유아의 언어적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7 (7): 23-37, 2003

      33 최병우, "문학작품을 어떻게 가르칠것인가" 박이정 2001

      34 고성희, "두줄쓰기 창의기법 적용 동시짓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능력과 창의적 성격 향상에 미치는 효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69-78, 2018

      35 임상도, "동화구연 및 동시낭송 활동경험이 유아의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교육학회 16 (16): 279-290, 2007

      36 심선경, "동시짓기 활동이 유아의 읽기 능력과 읽기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21 (21): 497-517, 2001

      37 심성경, "동시짓기 및 관련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23 (23): 5-26, 2003

      38 오은순, "동시와 신체 게임의 통합활동이 만 4세 유아의 읽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6 (6): 21-42, 2018

      39 채영란, "동시를 활용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능력과 신체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103-126, 2012

      40 최미라, "동시를 활용한 또래 함께읽기 전략이 초등학교 읽기학습부진아의 읽기유창성과 읽기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3 (13): 283-312, 2012

      41 조영희, "동시(童詩)지도에 대한 방법" 16 : 110-120, 1973

      42 송미영, "동시 활동이 유아의 정서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648-648, 2016

      43 한병호, "동시 지도의 단계적인 연구" 9 : 1-33, 1964

      44 마송희, "동시 재구성 활동에 나타난 유아의 구문능력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65) : 147-167, 2010

      45 채미영, "누리과정의 유아문학교육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 (20): 1-17, 2015

      46 홍지원,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동시짓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과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효과" 158-158, 2014

      47 백옥희, "균형적 언어교육 접근법에 기초한 동시활동이 유아의 문해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3 (33): 281-301, 2015

      48 송희복, "국어교육 : 동시의 원리 및 교수법에관한 연구" 61 : 127-146, 2001

      49 김선영, "구성주의 접근의 요리 활동에 기초한 동시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학회 30 (30): 29-42, 2009

      50 주성재, "‘애플’과 CEO‘스티브 잡스’의 인문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한 디자인 경영 연구" 한국상품학회 29 (29): 77-93, 2011

      51 Samuelsson, I., "The art of teaching children the arts : Music, dance and poetry with children aged 2-8 years old" 17 (17): 119-135, 2009

      52 김영아, "STEAM 교육을 활용한 주제 중심 동시 교육 사례 연구" 한국문학교육학회 (44) : 207-244, 2014

      53 Kontovourki, S., "Reading(through bodies : students’ embodied performances of poetry and testing" 9 (9): 133-154, 2014

      54 McNair, J. C., "Poems about sandwich cookies, jelly, and chocolate : Poetry in K-3 classrooms" 67 (67): 94-100, 2012

      55 Burke, E. M., "Literature for the young children" Allyn & Bacon 1990

      56 Hawkins, L. K., "It’s something that I feel like writing, instead of writing because I’m being told to : elementary boys’ experiences writing and performing poetry" 9 (9): 196-215, 2014

      57 Pramling, N., "Introducing poetry-making in early years education" 17 (17): 377-390, 2009

      58 Kim, S. J., "Freedom for me is to play heartily in a playground : Writing poetry develops children’s voices" 72 (72): 38-43, 2017

      59 Certo, J. L., "Eight recommendations to support poetry writing" 48 (48): 44-50, 2016

      60 Bradley, A., "Developing children's critical response to poetry" 60 : 3-5, 2017

      61 Krippendorff, K., "Content analysis : 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Sage publication, Inc 2003

      62 채미영, "5세 누리과정 의사소통 영역의 유아문학교육 내용 분석"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2 (12): 397-416, 2013

      63 이지현, "3⋅4세 유치원교육과정, 5세 누리과정, 초등 1학년 교육과정 언어교육내용의 연계성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253-279, 2012

      64 박혜경,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동화·동시 활동의 언어적 구성요소 분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6 (16): 137-156, 2015

      65 이선경,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동화·동시 분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4 (14): 185-205,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1 1.81 1.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4 1.91 2.283 0.5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