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Effects of Spermine on Changes in Chlorophyll-Protein Complexes and Plastid Membrane Proteins of Mung Bean Cotyledons during Greening = 녹화중인 녹두 자엽의 엽록소-단백질 복합체 및 색소체막 단백질의 변화에 미치는 Spermine의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0577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Spermine이 녹화중인 녹두자엽의 엽록소-단백질 복합체(CPs) 및 틸라코이드막 단백질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녹화가 진행됨에 따라 CPs형성이 촉진되었으며, 특히 광계 Ⅰ의 엽록소- 단백질 (CP Ⅰ)이 다량 축적되었다. 광수확 엽록소 단백질(LHCP)은 48시간의 초기녹화과정에서 중요한 단백질로 나타났다. Spermine처리는 초기녹화과정에서 틸라코이드막의 단백질은 전 엽록체에서 다량 관찰되었고 24 kD 단백질은 전 처리구에서 뚜렷한 증가를 보여주었다. Spermine처리에 의해 틸라코이드막 단백질 형성은 대조구에 비해 다소 증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spermine은 녹화과정에서 색소체의 발달과 색소체막의 안정화에 중요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번역하기

      Spermine이 녹화중인 녹두자엽의 엽록소-단백질 복합체(CPs) 및 틸라코이드막 단백질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녹화가 진행됨에 따라 CPs형성이 촉진되었으며, 특히 광계 Ⅰ의 엽록...

      Spermine이 녹화중인 녹두자엽의 엽록소-단백질 복합체(CPs) 및 틸라코이드막 단백질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녹화가 진행됨에 따라 CPs형성이 촉진되었으며, 특히 광계 Ⅰ의 엽록소- 단백질 (CP Ⅰ)이 다량 축적되었다. 광수확 엽록소 단백질(LHCP)은 48시간의 초기녹화과정에서 중요한 단백질로 나타났다. Spermine처리는 초기녹화과정에서 틸라코이드막의 단백질은 전 엽록체에서 다량 관찰되었고 24 kD 단백질은 전 처리구에서 뚜렷한 증가를 보여주었다. Spermine처리에 의해 틸라코이드막 단백질 형성은 대조구에 비해 다소 증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spermine은 녹화과정에서 색소체의 발달과 색소체막의 안정화에 중요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evelopmental changes of chlorophyll-protein complexes (CPs) and plastid membrane proteins in greening mung bean cotyledons and the effect of spermine thereon were examined by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The changes in the amounts of CPs became larger with the progress of greening and light-harvesting chlorophyll a/b protein (LHCP) was the main CP in the early greening stage up to 48 h. As the greening proceeded, chlorophyll-protein of the photosystem Ⅰ (CPⅠ) accumulated. Application of spermine were effective in accumulating CPs of the thylakoid membrane in the early phase of greening. In the profiles of the plastid membrane protein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nges were observed with the onset of greening up to 72 h. 56 kD protein of major intensity was observed in all greened chloroplasts and 24 kD protein increased remarkablly in both control and spermine-treated cotyledons. The thylakoids from spermine-treated cotyledons showed higher amounts of thylakoid proteins as compared to the controls. The results suggest that spermine may play a role in the regulation of plastid development and stabilizes the membrane function during greening.
      번역하기

      Developmental changes of chlorophyll-protein complexes (CPs) and plastid membrane proteins in greening mung bean cotyledons and the effect of spermine thereon were examined by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The changes in the amounts of CPs b...

      Developmental changes of chlorophyll-protein complexes (CPs) and plastid membrane proteins in greening mung bean cotyledons and the effect of spermine thereon were examined by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The changes in the amounts of CPs became larger with the progress of greening and light-harvesting chlorophyll a/b protein (LHCP) was the main CP in the early greening stage up to 48 h. As the greening proceeded, chlorophyll-protein of the photosystem Ⅰ (CPⅠ) accumulated. Application of spermine were effective in accumulating CPs of the thylakoid membrane in the early phase of greening. In the profiles of the plastid membrane protein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nges were observed with the onset of greening up to 72 h. 56 kD protein of major intensity was observed in all greened chloroplasts and 24 kD protein increased remarkablly in both control and spermine-treated cotyledons. The thylakoids from spermine-treated cotyledons showed higher amounts of thylakoid proteins as compared to the controls. The results suggest that spermine may play a role in the regulation of plastid development and stabilizes the membrane function during greening.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