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연구에서 온라인 메시지의 질은 이견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 중 하나로 제시되었다. 온라인 메시지의 질은 주로 논거와 예절이라는 두 가지 요소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156583
2012
Korean
메시지의 질 ;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 의사소통 예절 ; 이견 읽기 ; 태도 변화 ; 관여도 ; 토론 교육 ; 통신언어 ; argument ; communication etiquette ; attitude change ; civility ; exposure to discrepant messages ; involvement ; message quality ; online communication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69-98(30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지금까지 연구에서 온라인 메시지의 질은 이견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 중 하나로 제시되었다. 온라인 메시지의 질은 주로 논거와 예절이라는 두 가지 요소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
지금까지 연구에서 온라인 메시지의 질은 이견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 중 하나로 제시되었다. 온라인 메시지의 질은 주로 논거와 예절이라는 두 가지 요소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된다. 이 논문에서는 메시지의 질에 따른 이견 읽기의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논거와 예절이라는 두 요소가 각각 이견 수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험을 통해 확인하고자 했다. 총 144명의 대학생이 2(논거: 제시 vs. 미제시) × 2(예절: 준수 vs. 미준수) 요인 설계를 적용한 웹 실험에 참여, 영어 강의 의무화와 개신교의 중동 선교라는 두 가지 이슈에 관해 자신의 의견과 불일치하는 메시지를 읽었다. 자료 분석 결과, 영어 강의에 대해 논거를 제시한 메시지를 읽은 집단은 주장만을 제시한 글을 읽은 집단보다 이슈에 대한 태도가 더 큰 폭으로 변화했고, 논거와 예절 모두를 충족한 글을 읽은 집단은 여타 집단에 비해 반대론자에 대한 편견이 더 낮았다. 중동 선교와 관련해서는 태도 변화가 발생하지 않았으나, 논거를 제시한 글을 읽은 경우 반대론자에 대한 편견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 research has been defining message quality as a combination of argument strength and civility. This experiment tested how these two factors affect readers' attitudes toward issues and their opponents. A total of 144 undergraduate students were ...
Recent research has been defining message quality as a combination of argument strength and civility. This experiment tested how these two factors affect readers' attitudes toward issues and their opponents. A total of 144 undergraduate students were assigned in one of 2 (argumentation: strong vs. weak) × 2 (politeness: high vs. low) conditions and read messages concerning lectures in English and entering Middle Asian countries as missionaries. Results show that, regarding the issue of lecturing in English, participants who read messages with strong arguments were prone to change their own opinion toward the opponent direction. And, those who read strong argument which is also polite showed even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ir opponents. For missionary issue, those who read messages with strong argument showed less negative attitude toward their opponent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여탁, "학교 현장에서의 인터넷 언어 사용 실태 연구" 국어교육학회 (36) : 425-463, 2009
2 임규홍, "컴퓨터 통신 언어에 대하여" 27 (27): 23-59, 2000
3 김혜숙, "집단범주에 대한 고정관념, 감정과 편견" 13 (13): 1-33, 1999
4 김은미, "인터넷상에서 사회적 의사소통 양식과 합의 형성"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4
5 이시훈, "인터넷 통신언어의 사용 현황과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언론학회 4 (4): 177-211, 2004
6 이은주, "인터넷 뉴스 댓글이 여론 및 기사의 사회적 영향력에 대한 지각과 수용자의 의견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론학회 53 (53): 50-71, 2009
7 양혜승, "인터넷 뉴스 댓글의 견해와 품질이 독자들의 이슈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회 52 (52): 254-281, 2008
8 송현주, "인터넷 게시판에서의 이견 읽기가 논변구성과 정치적 관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회 50 (50): 160-183, 2006
9 황현서, "의견 불일치의 소통: 온라인 숙의민주주의에 있어 시민적 토론 예의(discussion civility)와 의견불일치(disagreement)의 역할에 관한 실험 연구 발제, In 융합미디어서비스의 확산과 사회 변화: 인터넷, 모바일, 콘텐츠와 이용자" 한국방송학회 2008
10 장윤재, "온라인 토론 게시판에서 메시지의 질과 의견 극단성에 따른 이견 읽기의 효과" 한국언론학회 54 (54): 422-443, 2010
1 윤여탁, "학교 현장에서의 인터넷 언어 사용 실태 연구" 국어교육학회 (36) : 425-463, 2009
2 임규홍, "컴퓨터 통신 언어에 대하여" 27 (27): 23-59, 2000
3 김혜숙, "집단범주에 대한 고정관념, 감정과 편견" 13 (13): 1-33, 1999
4 김은미, "인터넷상에서 사회적 의사소통 양식과 합의 형성"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4
5 이시훈, "인터넷 통신언어의 사용 현황과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언론학회 4 (4): 177-211, 2004
6 이은주, "인터넷 뉴스 댓글이 여론 및 기사의 사회적 영향력에 대한 지각과 수용자의 의견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론학회 53 (53): 50-71, 2009
7 양혜승, "인터넷 뉴스 댓글의 견해와 품질이 독자들의 이슈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회 52 (52): 254-281, 2008
8 송현주, "인터넷 게시판에서의 이견 읽기가 논변구성과 정치적 관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회 50 (50): 160-183, 2006
9 황현서, "의견 불일치의 소통: 온라인 숙의민주주의에 있어 시민적 토론 예의(discussion civility)와 의견불일치(disagreement)의 역할에 관한 실험 연구 발제, In 융합미디어서비스의 확산과 사회 변화: 인터넷, 모바일, 콘텐츠와 이용자" 한국방송학회 2008
10 장윤재, "온라인 토론 게시판에서 메시지의 질과 의견 극단성에 따른 이견 읽기의 효과" 한국언론학회 54 (54): 422-443, 2010
11 박현구, "온라인 언어의 공공성과 부정적 유사언어의 관계에 관한 실험연구" 한국언론학회 54 (54): 233-252, 2010
12 장윤재, "온라인 게시판 토론에서 읽기, 쓰기, 그리고 의견 다양성의 효과" 한국언론학회 54 (54): 277-298, 2010
13 김은미, "댓글에 대한 노출이 뉴스 수용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론학회 50 (50): 33-64, 2006
14 나은경, "다양성에 기초한 민주주의: 온라인 사회연결망 이질성 인식 수준에 따른, 다양성과 민주적 시민태도의 다면적 관계" 한국언론학회 51 (51): 163-189, 2007
15 이준응, "누가 인터넷 토론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는가?: 온라인 의견지도자의 속성" 한국언론학회 51 (51): 358-384, 2007
16 김동윤, "가상공간 내 정치토론, 의견의 질, 그리고 시민참여: 토론참여와 의견불일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1 (51): 138-167, 2007
17 노성종, "‘숙의’와 ‘참여’의 공존 : 대화의 숙의수준에 따른 정치적 이견의 경험과 정치참여의 관계 탐색" 한국언론학회 53 (53): 173-197, 2009
18 De Dreu, C. K. W., "The possessive self as a barrier to conflict resolution: Effects of mere ownership, process accountability, and self-concept clarity on competitive cognitions and behavior" 89 (89): 345-357, 2005
19 Ng, E. W. J., "The impact of synchronicity and civility in online political discussions on perceptions and intentions to participate" 10 (10): 2005
20 Chen, S., "The heuristic-systematic model in its broader context Dual-process theories in social psychology" Guilford Press 73-96, 1999
21 Petty, R. E., "The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of persuasion" 19 : 123-205, 1986
22 Fiske, S. T., "Social cognition: From brains to culture (International ed.)" McGraw-Hill 2008
23 Mackie, D. M., "Processing of persuasive in-group messages" 58 (58): 812-822, 1990
24 Budesheim, T. L., "Persuasiveness of in-group and out-group political messages: The case of negative political campaigning" 70 (70): 523-534, 1996
25 O’Keefe, D. J., "Persuasion: Theory and research (2nd ed.)" Sage Publications 2002
26 Wojcieszak, M. E., "Online groups and political discourse: Do online discussion spaces facilitate exposure to political disagreement?" 59 (59): 40-56, 2009
27 Mutz, D. C., "Hearing the other side: Deliberative versus participatory democra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28 Price, V., "Does disagreement contribute to more deliberative opinion?" 19 : 95-112, 2002
29 Feldman, L., "Confusion or enlightenment? How exposure to disagreement moderates the effects of political discussion and media use on candidate knowledge" 35 (35): 61-87, 2008
30 Walther, J. B.,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Impersonal, interpersonal, and hyperpersonal interaction" 23 (23): 3-43, 1996
31 Oskamp, S., "Attitudes and opinions (3rd ed.)" Lawrence Erlbaum 2005
32 Pomerantz, E. M., "Attitude strength and resistance processes" 69 (69): 408-419, 1995
33 Cappella, J. N., "Argument repertoire as a reliable and valid measure of opinion quality: Electronic dialogue during campaign 2000" 19 : 73-93, 2002
한국 ‘포퓰리즘 소통’의 구조 : ‘정치 엘리트 혐오’의 문화정치학
친밀성과 커뮤니케이션 참여자들의 상호의존성이 양자체면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대중문화 허브로서 서울의 부상 : 최근 한국 대중문화 속 “동남아 현상”과 관련하여
인터넷 상거래 사이트 선택 요인에 관한 연구 : 제품 관여도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8-3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 한국소통학보 외국어명 : Speech & Communication -> Journal of Speech, Media and Communication Research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9-04-2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스피치커뮤니케이션학회 -> 한국소통학회 | ![]() |
2009-01-01 | 평가 |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2 | 1.22 | 1.1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6 | 1.21 | 1.511 | 0.07 |
종합토론 : 고등교육 혁신지원을 위한 대학원격교육지원센터(UDEC) 발전 방안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이태억, 김정숙, 김현철, 박주병, 서순식, 장상현포스트 코로나19시대, 한국형 원격교육 중장기 방향 토론회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이은상(창덕여자중학교), 황대준(성균관대학교), 임재환((주)유비온)온라인으로 미팅부터 교육까지 원클릭 통합 영상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콜라보X구루미
신한대학교 신종우State Involvement in War Crimes Trials
Gresham College Sir Geoffrey Nice QCParental Involvement
Teachers TV Teachers 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