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아프리카 도시 근교 마을의 공간과 의식-코트디부아르 브로코스 마을 사례- = Space and consciousness of the African suburban vill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385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아프리카 전체 인구의 40~60%가 도시에는 거주하고 있기 때문에 도시로의 인구 이동이 줄어들지 않는 한 도시 확장은 앞으로도 불가피해 보인다. 그러나 이와 같은 도시의 확장은 도시 자체 문제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도시 근교의 일차적 사회관계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더욱이 아프리카 도시들은 도시가 가지고 있는 문제들 때문에 와해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곳에다 문제를 재발시키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분절된 사회적 특징을 가지고 있는 도시의 확장은 대규모 집단을 대상으로는 사회체제를 가지고 있는 도시와 달리 소규모 인구를 통해 유지되는 근교의 사회체제와는 부적절할 수도 있다. 그러나 도시 근교는 서구 도시에서 볼 수 있는 위성 도시적인 형태로 건설된 것이 아니라 도시가 형성되기 이전에 존재했던 전통 공동체로서의 마을이 형성되어 있던 곳이다. 본 연구의 조사 지역인 코트디부아르 경제 수도 아비장(Abidjan)의 근교 브로코스(Brokoss)가 대표적이다. 본 연구자는 아비장 근교에 위치한 에브리에(Ebries) 전통 마을 브로코스를 현지 방문하여 월로 10명에 대한 심층면접을 통해 확보한 녹취록과 지역 주민 103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등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18세기부터 고유한 공간을 유지해 왔던 에브리에 사람들의 공간은 아비장의 도시화로 인해 도시 근교로 변하였다. 더욱이 도시 이주민이 증가하면서 아비장 근교에서 이주민의 거주는 낯설지 않은 풍경이 되었고, 브로코스는 더는 인종적 혹은 민족적 구분을 통한 자신들 만의 문화적 공간으로의 기능을 가질 수 없게 되었다. 그러나 더 근본적인 문제는 아비장의 도시화와 이주민 유입에 대해서 에브리에 사람들조차도 브로코스 공간의 가치에 대한 인식이 거의 분산되어 있다는 것이다. 자본주의 역동성의 원천인 도시에 인접한 브로코스 마을 사람에게는 이주민들이 도시 사람들과 가깝고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지만, 이들을 응집력 있는 전체 문화로 통합하기가 쉬워 보이지 않는다. 경험과 체험을 통한 공동체적 공간은 점차 쇠퇴하고 있고 자본주의 기능적 공간이 브로코스 마을을 압박하고 있다. 3세기 동안 유지해 왔던 문화적 공동체로서 지각 있는 ‘재현의 공간’으로 재생산되기 위해 브로코스의 에브리에 사람들은 도시와 근교, 원주민과 이주민, 경제와 문화라는 사이에서 간주관적 공유과정이 절대적으로 필요해 보인다.
      번역하기

      아프리카 전체 인구의 40~60%가 도시에는 거주하고 있기 때문에 도시로의 인구 이동이 줄어들지 않는 한 도시 확장은 앞으로도 불가피해 보인다. 그러나 이와 같은 도시의 확장은 도시 자체 ...

      아프리카 전체 인구의 40~60%가 도시에는 거주하고 있기 때문에 도시로의 인구 이동이 줄어들지 않는 한 도시 확장은 앞으로도 불가피해 보인다. 그러나 이와 같은 도시의 확장은 도시 자체 문제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도시 근교의 일차적 사회관계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더욱이 아프리카 도시들은 도시가 가지고 있는 문제들 때문에 와해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곳에다 문제를 재발시키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분절된 사회적 특징을 가지고 있는 도시의 확장은 대규모 집단을 대상으로는 사회체제를 가지고 있는 도시와 달리 소규모 인구를 통해 유지되는 근교의 사회체제와는 부적절할 수도 있다. 그러나 도시 근교는 서구 도시에서 볼 수 있는 위성 도시적인 형태로 건설된 것이 아니라 도시가 형성되기 이전에 존재했던 전통 공동체로서의 마을이 형성되어 있던 곳이다. 본 연구의 조사 지역인 코트디부아르 경제 수도 아비장(Abidjan)의 근교 브로코스(Brokoss)가 대표적이다. 본 연구자는 아비장 근교에 위치한 에브리에(Ebries) 전통 마을 브로코스를 현지 방문하여 월로 10명에 대한 심층면접을 통해 확보한 녹취록과 지역 주민 103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등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18세기부터 고유한 공간을 유지해 왔던 에브리에 사람들의 공간은 아비장의 도시화로 인해 도시 근교로 변하였다. 더욱이 도시 이주민이 증가하면서 아비장 근교에서 이주민의 거주는 낯설지 않은 풍경이 되었고, 브로코스는 더는 인종적 혹은 민족적 구분을 통한 자신들 만의 문화적 공간으로의 기능을 가질 수 없게 되었다. 그러나 더 근본적인 문제는 아비장의 도시화와 이주민 유입에 대해서 에브리에 사람들조차도 브로코스 공간의 가치에 대한 인식이 거의 분산되어 있다는 것이다. 자본주의 역동성의 원천인 도시에 인접한 브로코스 마을 사람에게는 이주민들이 도시 사람들과 가깝고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지만, 이들을 응집력 있는 전체 문화로 통합하기가 쉬워 보이지 않는다. 경험과 체험을 통한 공동체적 공간은 점차 쇠퇴하고 있고 자본주의 기능적 공간이 브로코스 마을을 압박하고 있다. 3세기 동안 유지해 왔던 문화적 공동체로서 지각 있는 ‘재현의 공간’으로 재생산되기 위해 브로코스의 에브리에 사람들은 도시와 근교, 원주민과 이주민, 경제와 문화라는 사이에서 간주관적 공유과정이 절대적으로 필요해 보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Harvey, D., "희망의 공간" 한울아카데미 2009

      2 Savage, Michael, "자본주의 도시와 근대성" 한울 1996

      3 이한규, "아프리카 사회의 지형, 그 경계 넘나들기" 다해 316-383, 2014

      4 이한규, "세네갈 레부 사람들의 공간 및 정체성에 대한 인식의 조사 : 다카르 근교 요프 마을의 사례" 한국프랑스학회 86 : 227-248, 2014

      5 Choldin, Harvey, "도시와 교외-도시사회학 개론" 홍익출판사 1989

      6 최병두, "데이비드 하비의 정치경제학 공간이론" 12 : 1997

      7 최병두, "근대적 공간의 한계" 삼인 2004

      8 Lefebre, Henri, "공간의 생산" 에코리브르 2011

      9 Franqueville, A., "Yaounde, Construire une capaitale"

      10 Chaleard, Jean-Louis, "Un pied dedans, un pied dehors : a propos du rural et de l’urbain en Côte d’Ivoire, dans Tropiques, lieux et liens : florilege offert a Paul Pelissier et Gilles Sautter" ORSTOM 277-290, 1989

      1 Harvey, D., "희망의 공간" 한울아카데미 2009

      2 Savage, Michael, "자본주의 도시와 근대성" 한울 1996

      3 이한규, "아프리카 사회의 지형, 그 경계 넘나들기" 다해 316-383, 2014

      4 이한규, "세네갈 레부 사람들의 공간 및 정체성에 대한 인식의 조사 : 다카르 근교 요프 마을의 사례" 한국프랑스학회 86 : 227-248, 2014

      5 Choldin, Harvey, "도시와 교외-도시사회학 개론" 홍익출판사 1989

      6 최병두, "데이비드 하비의 정치경제학 공간이론" 12 : 1997

      7 최병두, "근대적 공간의 한계" 삼인 2004

      8 Lefebre, Henri, "공간의 생산" 에코리브르 2011

      9 Franqueville, A., "Yaounde, Construire une capaitale"

      10 Chaleard, Jean-Louis, "Un pied dedans, un pied dehors : a propos du rural et de l’urbain en Côte d’Ivoire, dans Tropiques, lieux et liens : florilege offert a Paul Pelissier et Gilles Sautter" ORSTOM 277-290, 1989

      11 Myriam, Armand, "Tissu urbain, tissu social: strategies antagonistes d’occupation de l’espace à Abidjan" (2) : 261-274, 1988

      12 Steck, Jean-Fabien, "Qu’est-ce que la transition urbaine ? Croissance urbaine, croissance des villes, croissance des besoins à travers l’exemple africain" 86 (86): 267-283, 2006

      13 Bertrand, M., "Petites et moyennes villes en Afrique noire" Karthala 1997

      14 Kipré, Pierre, "Migrations et construction nationale en Afrique noire : le cas de la Côte d’Ivoire depuis le milieu du XXe siècle" 313-332, 2006

      15 Ouedraoge, Dieudonne, "Migrations circulaires et enjeux identitaires en Afrique de l’Ouest" 3 (3): 7-23, 2002

      16 Elungu, Pene Elungu, "L’éveil philosophique africain" L’Harmattan 1984

      17 Babo, Alfred, "L’étranger en Côte d’Ivoire" L’Harmatta 1990

      18 Piermay, Jean Luc, "L’apprentissage de la ville en Afrique sud-saharienne" (204) : 35-46, 2003

      19 Grafmeyer, Y., "L’Ecole de Chicago, Naissance de l’écologie urbain"

      20 Contamin, "Le Modèle ivoirien en questions" Karthala et Orstom 1997

      21 Le Goff, Jacques, "La ville medievale. Des Carolingiens à la Renaissance" Le Seuil 1980

      22 Gallais. Jean, "La signification du village en Afrique soudanienne del'Ouest" (2) : 128-162, 1960

      23 Courtin, Fabrice, "La crise ivorienne et les migrants burninases: L'effet boomerang d'une migration internationale" (236) : 11-27, 2010

      24 Diez, Carlos Collantez, "La Ville africaine: entre métissage et protestation, De la colonisation européenne à la période actuelle" L’Harmattan 2008

      25 Antoine, Philippe, "La Population d’Abidjan dans ses murs" 19 (19): 371-395, 1983

      26 Leimdorfer, Francois, "Enjeux et imaginaires de l’espace public Abidjan" (74) : 51-75, 1999

      27 Merlin, Pierre, "Dictionnaire de l’urbanisme et du logement" PUF 1998

      28 Coquery-Vidrovitch, Catherine, "De la ville en afrique noire"

      29 Mainet, Guy, "Comportements migratoires et dynamismes ethniques dans la ville africaine" (2) : 295-304, 1988

      30 Vennetier, Pierre, "Centre, Perpherie et flux intre-urbains dans les grandes villes d’Afrique noire" (547) : 257-285, 1989

      31 Bredeloup, Sylvie, "Abidjan, Dakar: des ville à vendre ?" L’Harmattan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6-01-0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아프리카 연구 -> Asian Journal of African Studies
      외국어명 : African Affairs -> Asian Journal of African Studies
      2016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