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치매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치매에 대한 지식, 치매에 대한 태도, 노인부양의식, 인지-정서적 공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178819
2019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00-111(12쪽)
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치매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치매에 대한 지식, 치매에 대한 태도, 노인부양의식, 인지-정서적 공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치매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치매에 대한 지식, 치매에 대한 태도, 노인부양의식, 인지-정서적 공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K도 C시의 대학생 실험군 20명, 대조군 20명이었으며, 12시간의 치매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자료수집은 2018년 11월 5일부터 12월 7일까지 이었고, 자료조사는 실험군에게 프로그램 제공 전, 제공 후, 프로그램 종료 4주후에 시행하였으며, 대조군 역시 같은 시기에 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은 IBM SPSS WIN/21.0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Shapiro-Wilks 검증, x²-test,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와 Independent t-test, Friedman test, Mann-Whitney U, Repeated Measure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치매에 대한 지식(F=19.80, p<.001), 치매에 대한 태도(z=-4.10, p<.001), 부양의식(F=6.26, p=.017)은 집단과 시점 간에 유의한 교호작용이 있었으나, 인지-정서적 공감은 집단과 시점 간의 교호작용이 유의하지 않았다(F=1.32, p<.256). 추후 치매 관련 교육프로그램 구성 시 해당 내용을 강화하고, 인지-정서 공감을 함양할 수 있도록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를 검증하는 추후연구가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recommend a dementia education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and to understand the outcome on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s dementia, awareness of aged support, and cognitive-affective empathy. Totally, 40 college student...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recommend a dementia education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and to understand the outcome on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s dementia, awareness of aged support, and cognitive-affective empathy. Totally, 40 college students in C city, K do, were enrolled for the study, and divided into two groups of 20 each: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ubjects were provided a 12-hour dementia education program;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has been verified in later studies.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5, 2018 to December 7, 2018; collection was before, after, and 4 weeks after the program was provided to the experimental group. Control group data were also collected in the same time frame.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IBM SPSS WIN/21.0, and the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analyzed using Shapiro-Wilks test, x2-test,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 Independent t-test, Friedman test, Mann-Whitney U and Repeated Measure ANOVA. Knowledge of dementia (F=19.80, p<0.001), attitude toward dementia (z=-4.10, p<0.001), and awareness of aged support (F=6.26, p=0.017) had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group and time; however, cognitive-affective empathy showed no correlation (F=1.32, p<0.256). We therefore suggest strengthening the contents of future education program for dementia, developing a customized program for cognitive-affective empathy by considering subject characteristics, and further research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민정, "치매예방을 위한 디자인 접근 요소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4 (24): 41-51, 2018
2 장윤정, "치매에 대한 태도 결정요인에 관한 한일 비교 : 노인입소시설 케어워커를 대상으로" 한국노년학회 34 (34): 333-348, 2014
3 이강문, "치매노인의 안전을 위한경찰의 역할과 과제" 한국치안행정학회 15 (15): 213-232, 2018
4 김민규, "치매 친화적 환경으로서 ‘치매안심마을’에 대한 정책적 고찰" 한국노인복지학회 73 (73): 315-342, 2018
5 최정용, "지역사회 치매 조호자들의 치매에 대한 태도의 연관 인자 연구" 대한노인정신의학회 19 (19): 24-31, 2015
6 김정아, "중년 성인의 치매지식과 관련요인" 한국성인간호학회 18 (18): 293-303, 2006
7 공은희, "일반 재가노인을 위한 치매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2 (22): 252-261, 2011
8 남태우, "대학도서관의 주제별 운영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 한국도서관·정보학회 34 (34): 163-185, 2003
9 최세영, "노인 이미지와 친밀감이 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 베이비붐세대와 에코붐세대 비교" 한국노년학회 36 (36): 215-232, 2016
10 안옥희, "간호학생의 치매전문자원활동 프로그램 적용 효과" 한국노인간호학회 17 (17): 184-195, 2015
1 김민정, "치매예방을 위한 디자인 접근 요소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4 (24): 41-51, 2018
2 장윤정, "치매에 대한 태도 결정요인에 관한 한일 비교 : 노인입소시설 케어워커를 대상으로" 한국노년학회 34 (34): 333-348, 2014
3 이강문, "치매노인의 안전을 위한경찰의 역할과 과제" 한국치안행정학회 15 (15): 213-232, 2018
4 김민규, "치매 친화적 환경으로서 ‘치매안심마을’에 대한 정책적 고찰" 한국노인복지학회 73 (73): 315-342, 2018
5 최정용, "지역사회 치매 조호자들의 치매에 대한 태도의 연관 인자 연구" 대한노인정신의학회 19 (19): 24-31, 2015
6 김정아, "중년 성인의 치매지식과 관련요인" 한국성인간호학회 18 (18): 293-303, 2006
7 공은희, "일반 재가노인을 위한 치매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2 (22): 252-261, 2011
8 남태우, "대학도서관의 주제별 운영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 한국도서관·정보학회 34 (34): 163-185, 2003
9 최세영, "노인 이미지와 친밀감이 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 베이비붐세대와 에코붐세대 비교" 한국노년학회 36 (36): 215-232, 2016
10 안옥희, "간호학생의 치매전문자원활동 프로그램 적용 효과" 한국노인간호학회 17 (17): 184-195, 2015
11 R. L. Reniers, "The QCAE : A Questionnaire of Cognitive and Affective Empathy" 93 (93): 84-95, 2011
12 Y. S. Lee, "The Influence of Dementia Attitude, Empathy and Burden of Behavioral Psychological Symptom with Dementia Elderly on Job Satisfaction in the Senile Hospital Nurses" Inha University 2018
13 Y. S. Seo, "The Effect of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and Their Parents on the Attitude to the Elderly and the Awareness of Support" Daegu Haany University 2014
14 Jacob Tuckman, "The Effect of Changed Directions on the Attitudes About Old People and the Older Worker" SAGE Publications 13 (13): 607-613, 2016
15 Franz Faul,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41 (41): 1149-1160, 2009
16 Statistics Korea, "Social indicators in 2017"
17 S.W. Greenhouse, "On Methods in the Analysis for Profile Data" 24 : 95-112,
18 National Institute of Dementia, "Korean Dementia Observatory 2017"
19 K.M. Yang, "Effects of Educational Program about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Dementia for Trainees on Care Helper Program" HanYang University 2011
20 M. L. O'Connor,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Validation of the Dementia Attitudes Scale" 2010 : 1-10, 2010
21 A. M. Minino, "Deaths : final data For 2000" 50 (50): 1-119, 2002
22 H. Fujishiro, "Awareness of dementia in older adults attending dementia-prevention programs in community healthcare centers" 42 (42): 340-345, 2005
23 C. A. F. R. Fruhauf, "An Innovative practice. Helping students understand aging and dementia: An innovative program. Dementia" 6 (6): 157-162, 2007
24 H. O. Cho, "A study on public's knowledge of and attitude towards dementia" Hanyang University 1999
25 I.J. Lee, "A research on the understanding of dementia by the aged" Hallym University 2001
26 J. W. Back, "A Study on the Undergraduates’Awarenessof Caregiving for the Elderly" 6 (6): 67-85, 2009
27 B.I, Kwon,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Attitude of College Students Toward the Aged with Dementia in Chung Cheong Buk-Do" Cheongju University 2008
28 T.H. Kim, "A Study on Elderly Support in Korea" Korea University 1984
29 K.H. Han, "(The) Youth's Awareness to Support the Aged: A Target for Middle·high Shcool Student in Busan Metropolitan City" Kosin Unversity 2008
30 J. Kang, "(A) Study on the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Using Emotional Priming" Korea University 2012
31 K. A. Ko, "(A) Study of the Korea Youth's Consciousness about Taking Care of the Aged" Ewha University 1989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스트레스가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제 2형 당뇨병 여성 노인 환자의 혈당조절을 위한 국내 운동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직무요구-자원모형을 기반으로 한 요양병원 간호사의 소진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7-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현장점검) (기타) | ![]() |
2017-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8-28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2007-07-0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Academic Inderstrial Society ->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8 | 0.68 | 0.6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6 | 0.61 | 0.842 | 0.23 |
Students under Surveillance
Teachers TV Teachers TVSubject Knowledge: Student Relevance
Teachers TV Teachers TVSubject Knowledge: When children know more than you thought
Teachers TV Teachers TVSubject Knowledge: Risk Taking
Teachers TV Teachers TVSubject Knowledge: Questioning
Teachers TV Teachers 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