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鐵筋콘크리트設計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35754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正學社, 1993

      • 발행연도

        1993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532.7 판사항(3)

      • DDC

        624.18341 판사항(19)

      • 자료형태

        단행본(다권본)

      • 발행국(도시)

        서울

      • 서명/저자사항

        鐵筋콘크리트設計 / F. Leonhardt; E. Monning 공저; 건축학술부 譯

      • 형태사항

        361p.: 삽도; 27cm

      • 총서사항

        Leonhardt의 콘크리트 講座; 1

      • 소장기관
        • 가톨릭관동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기대학교 중앙도서관(수원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상국립대학교 칠암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광운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부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대구대학교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동서대학교 민석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의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서울시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세경대학교 도서관
        • 세명대학교 민송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수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신경주대학교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신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영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영산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울산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인하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청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충북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라대학교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호원대학교 인당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제1장 서설
      • 제2장 콘크리트
      • 2.1 시멘트 = 16
      • 2.1.1 DIN 1164의 규격시멘트 = 16
      • 목차
      • 제1장 서설
      • 제2장 콘크리트
      • 2.1 시멘트 = 16
      • 2.1.1 DIN 1164의 규격시멘트 = 16
      • 2.1.2 시멘트의 선정 = 16
      • 2.1.3 규격외 시멘트 = 17
      • 2.2 보통콘크리트용 골재 = 17
      • 2.2.1 골재의 종류 = 18
      • 2.2.2 골재의 입도 = 18
      • 2.3 반죽하는 물 = 19
      • 2.4 혼합재료 = 19
      • 2.5 fresh concrete = 20
      • 2.5.1 콘크리트의 배합 = 20
      • 2.5.2 fresh concrete의 성질 = 22
      • 2.6 콘크리트의 경화에 영향을 주는 항목 = 23
      • 2.6.1 시멘트의 종류 = 23
      • 2.6.2 온도 및 성숙도 = 23
      • 2.6.3 증기양생 = 24
      • 2.6.4 재진동 체고 = 24
      • 2.6.5 양생 = 24
      • 2.6.6 고온 및 저온시의 콘크리트 타설 = 25
      • 2.7 형틀의 존치기간 = 26
      • 2.8 경화된 콘크리트의 강도 = 27
      • 2.8.1 압축강도 = 27
      • 2.8.2 인장강도 = 35
      • 2.8.3 다축응력상태의 강도 = 37
      • 2.8.4 전단강도, 변형강도, 압발전단강도 = 38
      • 2.9 콘크리트의 변형 = 38
      • 2.9.1 탄성변형 = 38
      • 2.9.2 시간에 의존하지 않는 소성변형 = 40
      • 2.9.3 경시변형 = 42
      • 2.10 콘크리트의 화학적 작용 = 51
      • 2.10.1 콘크리트의 부식 = 51
      • 2.10.2 콘크리트의 중성화 = 51
      • 2.11 콘크리트의 내구성 = 54
      • 2.12 구조용 경량 콘크리트 = 54
      • 2.12.1 경량 콘크리트의 종류 = 54
      • 2.12.2 경량 골재 콘크리트의 구성 = 57
      • 2.12.3 경량 골재 콘크리트내 힘의 전달 = 59
      • 2.12.4 경량 골재 콘크리트의 등급 = 59
      • 2.12.5 보통 콘크리트와 다른 경량 콘크리트의 특성 = 60
      • 2.12.6 경량콘크리트구조의 경제성 = 67
      • 2.12.7 적용예 = 68
      • 2.13 특수 콘크리트 = 68
      • 2.13.1 mass concrete = 68
      • 2.13.2 방사선차폐벽용 콘크리트 = 70
      • 2.13.3 섬유보강 콘크리트 = 71
      • 2.13.4 폐로시멘트 = 72
      • 3.1 일반 = 75
      • 3.2 철근의 종류 = 75
      • 3.3 철근의 제조 = 77
      • 3.4 표기(表記) = 78
      • 3.5 철근의 성질 = 79
      • 3.5.1 일반 = 79
      • 3.5.2 형상치수 = 79
      • 3.5.3 철근의 단면 = 79
      • 3.5.4 인장 또는 압축에 의한 1축응력하의 성질 = 80
      • 3.5.5 휨의 성능 = 81
      • 3.5.6 피로강도 = 82
      • 3.5.7 용접 = 84
      • 3.5.8 철근의 표면형상(부착) = 85
      • 3.5.9 철근의 부식 = 86
      • 3.6 특수한 조건에 의한 철근의 성질 = 86
      • 3.6.1 신속재하 속도의 영향 = 86
      • 3.6.2 저온에 의한 성질 = 87
      • 3.6.3 고온에 의한 성질 = 88
      • 3.7 특수문제 = 89
      • 3.7.1 철근의 표면가공 = 89
      • 3.7.2 기계적인 손상 = 89
      • 3.8 방청피복 철근 = 89
      • 3.9 철근의 발주 = 90
      • 제4장 복합재료와 철근콘크리트
      • 4.1 철근과 콘크리트의 공동작용 = 91
      • 4.1.1 RC 인장부재에 의한 부착 = 91
      • 4.1.2 휨을 받는 RC보에 의한 부착 = 94
      • 4.1.3 구조부내의 부착응력 발생원인 = 96
      • 4.2 부착작용 = 96
      • 4.2.1 부착작용의 종류 = 96
      • 4.2.2 부착의 변형법칙 = 98
      • 4.2.3 부착성능과 부착강도 = 101
      • 4.3 철근의 정착에 관한 부착법칙 = 104
      • 4.3.1 훅부착 철근의 인발시험 = 104
      • 4.3.2 용접횡방향 철근이 있는 철근의 인발시험 = 106
      • 4.4 부착에 관한 설계계산 = 107
      • 4.4.1 일반 = 107
      • 4.4.2 DIN 1045 에 의한 부착의 계산 = 107
      • 제5장 철근 콘크리트의 구조특성
      • 5.1 휨 및 전단력을 받는 단순보 = 108
      • 5.1.1 구조특성 및 단면의 상태 = 108
      • 5.1.2 순휨에 대한 구조특성 = 114
      • 5.1.3 전단력을 수반하는 휨에 대한 구조특성 = 115
      • 5.2 연속보 = 119
      • 5.3 변형을 받는 보 또는 봉부재 = 120
      • 5.3.1 순변형 = 120
      • 5.3.2 전단력 도는 휨에 수반되는 변형 = 122
      • 5.4 기둥기타의 압축부재 = 122
      • 5.5 철근콘크리트 슬래브 = 123
      • 5.5.1 1방향 슬래브 = 123
      • 5.5.2 2방향 슬래브 = 124
      • 5.5.3 점을 지지한 RC 슬래브 = 127
      • 5.6 세이브 및 디프빔 = 127
      • 5.7 절판구조 = 129
      • 5.8 쉘구조 = 129
      • 5.9 특수한 작용 응력을 받는 RC 부재의 구조특성 = 130
      • 5.9.1 하중의 전달부 = 130
      • 5.9.2 온도의 영향 = 131
      • 5.9.3 화재 = 132
      • 5.9.4 콘크리트 건조수축 = 132
      • 5.9.5 콘크리트 크립 = 133
      • 5.9.6 진동 및 충격 = 133
      • 5.9.7 지진 = 133
      • 5.9.8 저온 및 충돌 = 134
      • 제6장 구조물 안전성의 검토
      • 6.1 일반 = 135
      • 6.1.1 안전성 검토의 목적 = 135
      • 6.1.2 작용응력 = 135
      • 6.1.3 작용응력의 한계, 한계상태 = 136
      • 6.2 안정성을 보증하기 위한 계산방법 = 136
      • 6.2.1 허용응력도에 기인한 옛날 설계법 = 136
      • 6.2.2 종국강도 설계법 = 137
      • 6.2.3 신뢰성 이론에 기인한 한계상태 설계법 = 137
      • 6.3 안전계수의 크기 = 138
      • 6.3.1 종국내력 및 안정에 관한 안전성 = 138
      • 6.3.2 사용성능의 상실에 대한 안전성 = 140
      • 6.4 구조물의 설계 = 140
      • 6.4.1 설계의 기본 = 140
      • 6.4.2 설계의 순서 = 140
      • 6.4.3 여러 가지 단면력에 대한 설계계산 = 141
      • 6.4.4 부정정 구조물의 상태 Ⅰ와 상태Ⅱ의 강성비 영향 = 142
      • 6.4.5 일반적인 설계방법에 대한 보충 = 142
      • 제7장 축방향력 휨에 대한 설계
      • 7.1 설계일반 = 144
      • 7.1.1 설계의 기본원칙 = 144
      • 7.1.2 재료강도의 특성값 및 응력-비틀림곡선 = 146
      • 7.1.3 파괴형식, 변형분포 및 안전계수 = 148
      • 7.1.4 단면력과 균형조건 = 152
      • 7.2 구형압축력이 있는 단면의 설계 = 160
      • 7.2.1 일반 = 160
      • 7.2.2 편심량의 크기 축방향력을 수반한 휨에 대한 설계 = 160
      • 7.2.3 편심량이 작은 중정도의 축방향력을 수반한 휨에 대한 설계 = 174
      • 7.2.4 구형단면의 상관도 = 181
      • 7.3 구형이 없는 콘크리트 압축력이 있는 부재의 설계 = 182
      • 7.3.1 일반 = 182
      • 7.3.2 T형보의 부재 유효폭 = 182
      • 7.3.3 T형보의 설계= 188
      • 7.3.4 임의 형상의 콘크리트 압축력에 대한 설계 = 193
      • 7.4 좌굴의 위험이 없는 나선철근이 있는 압축부재의 설계 = 204
      • 7.5 휨에 대한 최소 인장철근 = 209
      • 7.6 무근 콘크리트단면의 설계 = 211
      • 제8장 전단에 대한 설계
      • 8.1 전단에 대한 설계의 기본 = 213
      • 8.2 등질가구 부재에 의한 주응력(상태Ⅰ) = 213
      • 8.2.1 등질가구 부재의 전단응력도의 산정(상태Ⅰ에 의한 RC 단면) = 213
      • 8.2.2 등질단면의 주응력산정 = 215
      • 8.3 균열이 발생된 웨브에 의한 휨 및 응력(상태Ⅱ)= 217
      • 8.3.1 메르슈에 의한 고전적 truss analogy (트러스와유사) = 217
      • 8.3.2 메르슈의 트러스모델에 의한 응력의 계산 = 219
      • 8.3.3 상태Ⅱ에 의한 웨브 전단응력도의 설계용 값 Υτ_0 = 222
      • 8.4 보 웨브의 전단내력 = 223
      • 8.4.1 전단파괴의 종류 = 223
      • 8.4.2 전단내력에 영향이 미치는 요인 = 226
      • 8.4.3 수정 truss analogy = 235
      • 8.5 보 웨브의 전단에 대한 설계 = 237
      • 8.5.1 설계의 기본 및 용어 = 237
      • 8.5.2 고전적 truss analogy에 의한 전단보강 철근의 산정 = 238
      • 8.5.3 저감된 전단 저항의 경우, 전단보강 철근의 산정 = 239
      • 8.5.4 DIN 1045에 의한 전단설계 = 244
      • 8.6 전단설계의 특수케이스 = 247
      • 8.6.1 플랜지의 연결용 철근 = 247
      • 8.6.2 보 높이가 변화한 RC 보 = 252
      • 8.6.3 전단설계에 의한 축방향력의 영향 = 255
      • 제9장 변형에 대한 설계
      • 9.1 변형에 대한 설계의 기본 = 258
      • 9.2 순비틀림의 등질가구 부재내의 주응력(상태Ⅰ) = 260
      • 9.2.1 st venant 의 비틀림 = 260
      • 9.2.2 휨구속 비틀림 = 264
      • 9.3 순 비틀림을 받는 RC 부재의 응력(상태Ⅱ) = 266
      • 9.3.1 truss analogy의 적용 = 266
      • 9.3.2 박스형 트러스모델내의 휨 및 응력 = 268
      • 9.3.3 상태Ⅱ에 의한 비틀림 전단응력도 설계용 값 = 271
      • 9.4 순 비틀림을 받는 RC 구조물의 구조특성 = 275
      • 9.4.1 메르슈에 의한 고전적 비틀림 실험(1904년, 1921년) = 275
      • 9.4.2 비틀림 인장파괴(철근의 항복) = 275
      • 9.4.3 비틀림 압축파괴(콘크리트 압축사재의 파괴) = 276
      • 9.4.4 코너부분의 박리 = 277
      • 9.4.5 정착부의 부착파괴 = 277
      • 9.5 순 비틀림을 받는 RC 구조물의 설계 = 277
      • 9.5.1 순 비틀림의 설계시안 = 277
      • 9.5.2 순 비틀림에 대한 DIN 1045의 설계방법 = 280
      • 9.6 전단력 또는 휨모멘트를 수반한 비틀림에 대한 설계 = 280
      • 9.6.1 파괴모델과 실험결과 = 280
      • 9.6.2 비틀림 기타작용의 조합에 대한 간이 설계방법 = 281
      • 9.6.3 DIN 1045에 의한 비틀림 전단력의 조합에 대한 설계방법 = 283
      • 제10장 압축부재의 안정성
      • 10.1 압축부재의 안정성 = 284
      • 10.1.1 변형의 영향, 2차이론(유한 변위이론)= 284
      • 10.1.2 안정문제와 응력문제 = 285
      • 10.2 스렌더와 RC 압축부재의 내력 = 287
      • 10.2.1 스렌더와 RC 압축부재의 문제 = 287
      • 10.2.2 RC 압축부재의 내력에 주어진 영향항목 = 289
      • 10.3 스렌더는 압축부재의 2차이론에 의한 내력의 검토 = 292
      • 10.3.1 일반 = 292
      • 10.3.2 안전계수의 크기에 대한 고찰 = 292
      • 10.3.3 구형단면의 휨율관계의 유도 = 293
      • 10.3.4 2차이론에 의한 내력의 검토 = 299
      • 10.4 치환기둥에 의한 방법 및 유효길이의 산정 = 302
      • 10.4.1 치환기둥에 의한 방법 = 302
      • 10.4.2 치환기둥에 의한 방법의 유효길이 = 302
      • 10.5 DIN 1045에 의한 좌굴 안전성의 검토 = 309
      • 10.5.1 개요 = 309
      • 10.5.2 기본원칙 = 310
      • 10.5.3 약간스렌더한 압축부재의 간이 계산, 단면이 일정한 경우(20〈λ〈70) = 311
      • 10.5.4 스렌더압축부의 간단한 좌굴안전성의 검토(λ〉70) = 313
      • 10.5.5 구조세목 = 318
      • 10.6 좌굴에 의한 검토의 특수케이스 = 320
      • 10.6.1 압축력이 2축방향에 편심된 좌굴 안전성 = 320
      • 10.6.2 전체라멘구조의 안정성의 검토 = 323
      • 10.6.3 나선철근이 있는 기둥의 좌굴안전성의 검토 = 325
      • 10.7 스렌더와 무근콘크리트 압축부재의 내력 = 325
      • 10.7.1 무근콘크리트 압축부재의 구조특성 = 325
      • 10.7.2 DIN 1045에 의한 스렌더는 무근콘크리트 압축부재의 설계 = 326
      • 제11장 경량골재 콘크리트 부재의 설계
      • 11.1 경량골재 콘크리트와 보통 콘크리트의 설계상 상위점 = 328
      • 11.2 휨, 축방향력을 수반하는 휨 및 축방향력의 휨에 대한 설계 = 328
      • 11.3 전단력 및 비틀림에 대한 설계 = 330
      • 11.3.1 전단응력도의 설계 기본 값 τ_0 = 330
      • 11.3.2 전단보강 철근의 산정 = 331
      • 11.4 좌굴에 대한 검토 = 331
      • 11.5 변형계산 = 332
      • 11.6 배근규정 = 332
      • 11.6.1 타입두게 = 332
      • 11.6.2 큰지름 철근 및 철근이음에 관한 특별규정 = 332
      • 부록
      • 1. 주요문헌 = 335
      • 2. 기호 = 347
      • 3. 참고문헌 = 35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