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간사랑’의 춤 문화 수용과정과 문화사적 의미 고찰 = Meaning of Cultural History and Dance Culture Acceptance Process of Theater ‘Space Sara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558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round the small theater, the “Space Sarang”, this study has the objective that process of acceptance and dissemination of dance, watching cultural history of art is intended to discuss the circulated meaning and value with theater space.
      It is simply not executed dance performances. The red brick only in a Kim Swoo Geun’s symbolic way melted with the dance. Deformable stage, unspecified seats, barefoot entering are Korean Sarangbang’s way.
      To prevent closing theater, theater officials, performers, artists, audiences raised the fund for purchase of the building voluntarily and held cultural arts festival. This will be reflected in a democratic spirit through “Space Sarang”.
      번역하기

      Around the small theater, the “Space Sarang”, this study has the objective that process of acceptance and dissemination of dance, watching cultural history of art is intended to discuss the circulated meaning and value with theater space. It is si...

      Around the small theater, the “Space Sarang”, this study has the objective that process of acceptance and dissemination of dance, watching cultural history of art is intended to discuss the circulated meaning and value with theater space.
      It is simply not executed dance performances. The red brick only in a Kim Swoo Geun’s symbolic way melted with the dance. Deformable stage, unspecified seats, barefoot entering are Korean Sarangbang’s way.
      To prevent closing theater, theater officials, performers, artists, audiences raised the fund for purchase of the building voluntarily and held cultural arts festival. This will be reflected in a democratic spirit through “Space Sara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주희, "한국 현대무용 토착화과정에서 박외선의 역할" 한국무용예술학회 41 (41): 31-50, 2013

      2 김주희, "찰리 채플린(Charles Spencer Chaplin)의 신체 움직임과 해학성" 대한무용학회 71 (71): 27-46, 2013

      3 김영태, "지금 이 거리에 떠있는 버섯구름"

      4 김영태, "제1회 공간현대발레의 밤"

      5 강준혁, "우리소리, 우리 시대의 몸짓"

      6 이흥우, "슬기로운 서정적 공간"

      7 성효진, "사라진 건축, 채워진 공간 : 김수근의 1970년 오사카 만국박람회 한국관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2012

      8 강준혁, "무대예술의 요람, ‘空間사랑 문닫아’"

      9 한말숙, "무대도 객석 속에 객석도 무대 속에, 자유롭고 아늑한 큰 방"

      10 김영태, "대학의 무용교육 무엇이 문제인가"

      1 김주희, "한국 현대무용 토착화과정에서 박외선의 역할" 한국무용예술학회 41 (41): 31-50, 2013

      2 김주희, "찰리 채플린(Charles Spencer Chaplin)의 신체 움직임과 해학성" 대한무용학회 71 (71): 27-46, 2013

      3 김영태, "지금 이 거리에 떠있는 버섯구름"

      4 김영태, "제1회 공간현대발레의 밤"

      5 강준혁, "우리소리, 우리 시대의 몸짓"

      6 이흥우, "슬기로운 서정적 공간"

      7 성효진, "사라진 건축, 채워진 공간 : 김수근의 1970년 오사카 만국박람회 한국관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2012

      8 강준혁, "무대예술의 요람, ‘空間사랑 문닫아’"

      9 한말숙, "무대도 객석 속에 객석도 무대 속에, 자유롭고 아늑한 큰 방"

      10 김영태, "대학의 무용교육 무엇이 문제인가"

      11 홍신자, "나는 춤추듯 순간을 살았다" 열화당 2003

      12 "김수근의 공간사랑 개관 취지문"

      13 "김경희 인터뷰"

      14 강재훈, "기획공연장의 사례로서 '공간사랑' 극장연구" 성공회대학교대학원 2008

      15 서연호, "공간사랑을 살리자"

      16 홍찬식, "공간사랑, 공간미술관 문화명소로 계속 살리자"

      17 심우성, "공간사랑 전통무속제를 보고"

      18 고미석, "건축가 故김수근 20주기 ‘지금 여기’展"

      19 정향숙, "1980년대 이후 소극장춤의 형성과 문화적 가치" 성균관대학교대학원 2011

      20 김주희, "1970년대 한국 경공업 여성노동자의 신체성에 관한 연구" 한국무용예술학회 43 (43): 1-20, 2013

      21 김수정, "1970년 이후 소극장춤의 전개와 그에 따른 한국창작춤 특성연구" 성균관대학교대학원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10-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Society for Dance Studi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1 0.51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2 0.698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