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TV 및 광고 시청동기가 TV PPL 이용의도와 회피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TV and Advertisements Viewing Motivations on the Intentions to Use and Avoid TV Product Plac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964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수용자들을 세분화하는 방식으로 TV 및 광고의 시청동기에 초점을 맞추었다. 또한 기존 광고효과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온 광고 회피의도와 함께 광고 이용의도를 분석에...

      이 연구는 수용자들을 세분화하는 방식으로 TV 및 광고의 시청동기에 초점을 맞추었다. 또한 기존 광고효과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온 광고 회피의도와 함께 광고 이용의도를 분석에 투입하였다. 특히 PPL에 대한 태도를 TV 및 광고 시청동기와 PPL 이용의도 혹은 회피의도 간 매개변인으로 투입하여 이론적 정교화를 추구하였다. 5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TV 시청동기와 광고 시청 동기가 PPL에 대한 태도, PPL 이용의도, PPL 회피의도를 설명하는 데 유용하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구체적으로, TV 시청동기 중 정보획득 및 여가 동기가 PPL에 대한 태도에, 그리고 정보획득, 즐거움, 여가, 관계유지 동기들이 PPL 이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PL 회피의도에 대해서는 즐거움, 여가, 관계유지 동기들이 유의미하였다. 광고 시청동기들의 경우 PPL에 대한 태도에 대해서는 적절한 설명력을 보였지만 이용의도 및 회피의도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력은 상당히 제약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TV and advertisements viewing motivations in order to segment audience. Also, this study incorporated the intention to use advertisements as well as the intention to avoid advertisements into research models. Especially, this stu...

      This study focused on TV and advertisements viewing motivations in order to segment audience. Also, this study incorporated the intention to use advertisements as well as the intention to avoid advertisements into research models. Especially, this study conducted theoretical elaborations by assuming attitude toward PPL as a moderating variable between TV or advertisements viewing motivations and intentions to use or avoid PP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es of survey data from 500 individuals showed that TV and advertisements viewing motivations were useful in explaining attitude toward PPL, intention to use PPL, and intention to avoid PPL. Specifically, among TV viewing motivations, information acquisition and leisure were related with attitude toward PPL information acquisition, enjoyment, leisure, and relationship maintenance with intention to use PPL, and enjoyment, leisure, and relationship maintenance with intention to avoid PPL. Advertisements viewing motivations appropriately explained attitude toward PPL, but their direct effects on intentions to use or avoid PPL were strictly restrict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재신,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이용한 IP-TV의 수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 문화방송 7 (7): 100-131, 2006

      2 이경렬, "텔레비전 방송광고 회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들에 관한 연구 : 인지적 회피. 기계적 회피, 그리고 물리적 회피를 중심으로" 12 (12): 165-189, 2001

      3 이용재, "텔레비전 드라마에 노출되는 간접광고에 대한 시청자의 태도연구" 한국소통학회 12 (12): 132-169, 2009

      4 파이낸셜뉴스, "청량리 롯데百 ‘시크릿 가든’ 촬영 덕에 月매출 30억 늘어"

      5 최민욱, "인터넷광고 이용동기에 관한 연구: 이용과 충족 관점에서" 한국광고학회 18 (18): 229-254, 2007

      6 이정아, "인터넷 광고 회피에 대한 연구 : 회피 수준과 회피 예측변인들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16 (16): 203-223, 2005

      7 김재휘, "유행관여도와 제품제시자의 패션리더성에 따른 PPL의 효과" 한국심리학회 459-464, 2002

      8 김기원, "위성 DMB 사용자들의 매체 이용동기와 광고에 대한 태도" 한국광고학회 19 (19): 99-133, 2008

      9 양윤, "영화에서의 PPL 광고효과 측정 : 영화 ‘해가 서쪽에서 뜬다면’과 대학생을 중심으로" 53 : 135-154, 2001

      10 이재신, "시청동기가 미디어 선택과 이용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들의 미국드라마 소비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2 (22): 246-286, 2008

      1 이재신,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이용한 IP-TV의 수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 문화방송 7 (7): 100-131, 2006

      2 이경렬, "텔레비전 방송광고 회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들에 관한 연구 : 인지적 회피. 기계적 회피, 그리고 물리적 회피를 중심으로" 12 (12): 165-189, 2001

      3 이용재, "텔레비전 드라마에 노출되는 간접광고에 대한 시청자의 태도연구" 한국소통학회 12 (12): 132-169, 2009

      4 파이낸셜뉴스, "청량리 롯데百 ‘시크릿 가든’ 촬영 덕에 月매출 30억 늘어"

      5 최민욱, "인터넷광고 이용동기에 관한 연구: 이용과 충족 관점에서" 한국광고학회 18 (18): 229-254, 2007

      6 이정아, "인터넷 광고 회피에 대한 연구 : 회피 수준과 회피 예측변인들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16 (16): 203-223, 2005

      7 김재휘, "유행관여도와 제품제시자의 패션리더성에 따른 PPL의 효과" 한국심리학회 459-464, 2002

      8 김기원, "위성 DMB 사용자들의 매체 이용동기와 광고에 대한 태도" 한국광고학회 19 (19): 99-133, 2008

      9 양윤, "영화에서의 PPL 광고효과 측정 : 영화 ‘해가 서쪽에서 뜬다면’과 대학생을 중심으로" 53 : 135-154, 2001

      10 이재신, "시청동기가 미디어 선택과 이용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들의 미국드라마 소비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2 (22): 246-286, 2008

      11 머니투데이, "방송서도 간접광고(PPL) 된다?"

      12 "방송법시행령 제59조의 3"

      13 방송통신위원회, "방송법 시행령 개정안"

      14 오종환, "무선인터넷의 매체 특성과 수용자의 이용 충족 연구" 한국지역언론학회 4 (4): 114-154, 2004

      15 한상필, "무선인터넷 이용자의 모바일광고 이용동기에 관한 인식 연구"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13 (13): 68-100, 2005

      16 임양준, "대학생들의 미국 텔레비전 드라마에 대한 시청동기 및 만족도 연구: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41 (41): 302-336, 2008

      17 김정기, "대학생 수용자의 텔레비전 시청동기 연구" 35 : 252-284, 1995

      18 김요한, "광고매체별 광고회피 수준 및 광고회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2003

      19 이희복, "간접광고 시행에 대한 지상파방송사와 독립제작사의 인식 연구" 한국방송학회 25 (25): 205-241, 2011

      20 Cowley, E, "When product placement goes wrong" 37 (37): 89-98, 2008

      21 Babin, L.A, "Viewers‘ recognition of brands placed within a film" 15 : 140-151, 1996

      22 Katz, E, "Utilization of mass communication by the Individual, In The Use of Mass Communication" Sage 19-32, 1974

      23 de Gregorio, F, "Understanding attitudes toward and behaviors in response to product placement" 39 (39): 83-96, 2010

      24 Blumler, J.G, "The role of theory in uses and gratifications studies" 6 : 9-36, 1979

      25 Bressoud, E, "The product well placed" 50 (50): 374-385, 2010

      26 Ang, I, "The nature of the audience, In Questioning the Media: A Critical Introduction(2nd ed)" Sage 207-220, 1995

      27 Ron, S, "The effects of integrating active brand messages into video games" 1996

      28 Steortz, E, "The cost efficiency and communication effects associated with brand name exposure within motion pictures" West Virginia University 1987

      29 Short, J, "The Social Psychology of Telecommunications" Wiley 1976

      30 Rubin, A.M, "Television uses and gratification: The interaction of viewing pattern and motivation" 27 (27): 37-51, 1983

      31 이준일, "TV프로그램에서 제품배치의 효과에 관한연구" 2 : 182-201, 2000

      32 이용재, "TV 드라마 PPL에 대한 수용자태도 연구" 한국지역언론학회 6 (6): 323-355, 2006

      33 이용재, "TV 간접광고에 대한 수용자의 태도 및 유형에 관한 연구: 대학생 집단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5 (5): 448-483, 2005

      34 염성원, "TV 간접광고에 관한 동향과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학회 17 (17): 61-86, 2006

      35 한국경제신문, "TV 간접·가상 광고 허용해야 하나요?"

      36 Ong, B.S, "Should product placement in movies be banned?" 2 (2): 159-175, 1994

      37 Rubin, A.M, "Ritualized and instrumental television viewing" 34 (34): 67-77, 1984

      38 Kristin, M.B, "Reality television programming and diverging gratifications: the influence of content on gratifications obtained" 53 (53): 460-476, 2009

      39 Gupta, P.B, "Product placement in movies: The effect of prominence and mode on audience recall" 20 (20): 47-59, 1998

      40 Baker, M.J, "Product Placement" University of Strathclyde 1995

      41 Papacharissi, Z, "Predictors of internet use" 44 (44): 175-196, 2000

      42 Sung, Y, "Non-student consumer attitudes towards product placement" 28 (28): 257-285, 2009

      43 DeLorme, D.E, "Moviegoers' experiences and interpretation of brands in films revisited" 28 (28): 71-95, 1999

      44 Wei, R, "Motivations for using the mobile phone for mass communications and entertainment" 25 (25): 36-46, 2008

      45 Rice, R.E, "Is it really like a fancy answering machine? Comparing semantic networks of different types of voice mail users" 30 : 369-397, 1993

      46 Kang, M, "Interactive in television: Use and impact of an interactive program guide" 46 (46): 330-345, 2002

      47 진창현, "IPTV 수용자의 이용 동기가 광고 이용 의도 및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지역언론학회 10 (10): 575-617, 2010

      48 Karrh, J.A, "Effects of brand placement in motion pictures" 90-96, 1994

      49 이시훈, "DMB 이용자의 미디어 이용과 새로운 DMB 연구 방향의 제안" 한국지역언론학회 8 (8): 195-221, 2008

      50 Gupta, P.B, "Consumers' perceptions of the ethics and acceptability of product placement in movies: product categor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9 (19): 37-50, 1997

      51 진창현, "Consumer responses to advertising on the Internet: The effect of individual difference on ambivalence and avoidance" MARY ANN LIEBERT INC 10 (10): 258-266, 200704

      52 d'Astous. A, "Consumer reaction to PPL strategies in TV sponsorship" 33 (33): 896-910, 1999

      53 Balasubramanian, S.K, "Beyond advertising and publicity: Hybrid messages and public policy issues" 23 (23): 29-46, 1994

      54 Rojas-Mendez, J.I, "Avoiding television advertising: Some explanation from time allocation theory" 45 (45): 34-48, 2005

      55 Scott, J, "Audience engagement and its effects on product placement recognition" 16 : 39-58, 2010

      56 O'Donohoe, S, "Advertising uses and gratifications" 28 (28): 52-74, 1994

      57 d'Astous, A,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consumer evaluations and memory of product placements in movies" 22 : 31-40, 2000

      58 Vollmers, S, "A review and investigation into the effectiveness of product placements in film" 97-102, 1994

      59 Reijmersdal, E.V, "A new branch of advertising" 49 (49): 429-449,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6-0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광고학보 -> 한국광고홍보학보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4 1.72 2.318 0.22
      더보기

      연관 공개강의(KOCW)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