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가족 소재 소설로 읽는 한국 근현대소설의 과거.현재.미래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913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최근의 한국문학이 절망과 죽음 등의 퇴영적 현상에 몰두하고 있는 현상에 착안하여 시작된 것이다. 가족을 소재로 삼아 가족 내부의 사건을 중점적으로 그리는 가족 소재 소설들이 대부분 가족파괴 가족해체 등에 몰입하고 있다는 사실에서 이는 입증된다.이러한 사정은 어디에서 비롯한 것이고 이를 극복할 새로운 전망은 없는가를 모색하기 위해 개화기의 소설부터 시작하여 현금에 이르는 한국 소설들을 전반적으로 조망하였다. 조망의 중심 축은 소설 속의 팰러스 - 아비가 어떤 위상으로 드러나며 또 변모하였는가이다. 여기서 아비는 라캉이 정의한 바, 인간이 도달하기를 원하는 상징계의 정점 - 우리 문학에서는 '근대성'의 다른 이름이기도 하다. 아비는 남근을 소유한 자로 남근의 상징이기도 하지만 남근은 라캉의 경우 욕망의 정점이기도 한 이중적 의미를 가지기 때문이다.
      개화기 소설의 경우 이인직 이해조의 소설에 나타나는 자기중심적 아비들은 근대라는 팰러스를 인식하기는 하였으나 여전히 가부장적 성격에서 탈피하지 못한 그러한 아비이다. 일제 강점기는, 염상섭, 채만식의 아비들이 보여주는 바와 같이 무기력하며 타락한 아비들, 즉 종이 되어버린 아비들이다. 우리 문학의 암흑기인 1940년대를 거쳐 1950년대에 이르면 손창섭 소설이 대변하는 바와 같이 이 시기의 아비들은 전후의 궁핍, 분단된 조국 등이 초래하는 시대적 압력으로 인하여 무능하면서 생활력 없는, 그러나 가부장의 권위에 연연하는 그러한 인물들로 표상된다. 1960년대에서 1980년대까지의 시기는 우리 문학이 본격적인 근대성을 획득하는 지점이다. 이때 김승옥 최인훈 김원일 조세희 등은 부재하는 아비에 대한 강력한 열망을 드러내는 바 그 아비는 이성과 과학적 사고로 무장한 차갑고 단단한 아비, 즉 근대성의 다른 이름이다. 조세희의 소설에 나타난 가족에 대한 강력한 부양의지를 가지고 타자를 배제하기조차 하는 주체적 아비는 바로 그러한 아비를 상징적으로 대변한다. 1960~80년대에 근대성을 획득한 한국문학이 상징계의 정점에 이른 후 빠진 허방이 실재계 -죽음의 세계로 대변되는 90년대 이후의 한국문학이다. 가족의 파괴 혹은 붕괴를 종종 소재로 삼는 한국문학은 그러므로 이제 그러한 실재계의 허방을 빠져나와 단자화,고립화, 퇴폐화되어 가는 우리의 현실 뿐만 아니라 한국문학에 새로운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 주체적인 여성이면서 가정과 가족을 주체가 타자와 소통하는 지반으로 삼는 주인공이 등장하는 전경린의 [엄마의 집]과 같은 소설을 이 논문이 하나의 모델 케이스로 삼은 제시하는 이유는 이 때문이다. -끝
      번역하기

      본 연구는 최근의 한국문학이 절망과 죽음 등의 퇴영적 현상에 몰두하고 있는 현상에 착안하여 시작된 것이다. 가족을 소재로 삼아 가족 내부의 사건을 중점적으로 그리는 가족 소재 소설...

      본 연구는 최근의 한국문학이 절망과 죽음 등의 퇴영적 현상에 몰두하고 있는 현상에 착안하여 시작된 것이다. 가족을 소재로 삼아 가족 내부의 사건을 중점적으로 그리는 가족 소재 소설들이 대부분 가족파괴 가족해체 등에 몰입하고 있다는 사실에서 이는 입증된다.이러한 사정은 어디에서 비롯한 것이고 이를 극복할 새로운 전망은 없는가를 모색하기 위해 개화기의 소설부터 시작하여 현금에 이르는 한국 소설들을 전반적으로 조망하였다. 조망의 중심 축은 소설 속의 팰러스 - 아비가 어떤 위상으로 드러나며 또 변모하였는가이다. 여기서 아비는 라캉이 정의한 바, 인간이 도달하기를 원하는 상징계의 정점 - 우리 문학에서는 '근대성'의 다른 이름이기도 하다. 아비는 남근을 소유한 자로 남근의 상징이기도 하지만 남근은 라캉의 경우 욕망의 정점이기도 한 이중적 의미를 가지기 때문이다.
      개화기 소설의 경우 이인직 이해조의 소설에 나타나는 자기중심적 아비들은 근대라는 팰러스를 인식하기는 하였으나 여전히 가부장적 성격에서 탈피하지 못한 그러한 아비이다. 일제 강점기는, 염상섭, 채만식의 아비들이 보여주는 바와 같이 무기력하며 타락한 아비들, 즉 종이 되어버린 아비들이다. 우리 문학의 암흑기인 1940년대를 거쳐 1950년대에 이르면 손창섭 소설이 대변하는 바와 같이 이 시기의 아비들은 전후의 궁핍, 분단된 조국 등이 초래하는 시대적 압력으로 인하여 무능하면서 생활력 없는, 그러나 가부장의 권위에 연연하는 그러한 인물들로 표상된다. 1960년대에서 1980년대까지의 시기는 우리 문학이 본격적인 근대성을 획득하는 지점이다. 이때 김승옥 최인훈 김원일 조세희 등은 부재하는 아비에 대한 강력한 열망을 드러내는 바 그 아비는 이성과 과학적 사고로 무장한 차갑고 단단한 아비, 즉 근대성의 다른 이름이다. 조세희의 소설에 나타난 가족에 대한 강력한 부양의지를 가지고 타자를 배제하기조차 하는 주체적 아비는 바로 그러한 아비를 상징적으로 대변한다. 1960~80년대에 근대성을 획득한 한국문학이 상징계의 정점에 이른 후 빠진 허방이 실재계 -죽음의 세계로 대변되는 90년대 이후의 한국문학이다. 가족의 파괴 혹은 붕괴를 종종 소재로 삼는 한국문학은 그러므로 이제 그러한 실재계의 허방을 빠져나와 단자화,고립화, 퇴폐화되어 가는 우리의 현실 뿐만 아니라 한국문학에 새로운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 주체적인 여성이면서 가정과 가족을 주체가 타자와 소통하는 지반으로 삼는 주인공이 등장하는 전경린의 [엄마의 집]과 같은 소설을 이 논문이 하나의 모델 케이스로 삼은 제시하는 이유는 이 때문이다. -끝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ast, The Present, The Future of Korean novel viewing with family subject matter novels


      Korean noovels of nowadays focus on destruction and disslution to life and its values. Novels with family subject matters are involved in such aspects. Family members hate and throw away each other, father is ridiculed. Members having no bloodtie are now replacing existed family in novels nowadays so far as. This thesis studies causes of these aspects and wants to reach a way of overcoming crisis nowadays. I study korean novels in history of accomplishing phallus that means modernity.
      Fathers in beginning modern age have awakening on modernity, but very shallow. Fathers under colonial rule of Japanese is proved in novels of Lee Gwang Su, Yum Sang Sup, and Chae Man Sik. Fathers in 1950s are those losing their life goal because of trauma duing to korean war. Fathers in 1960s~1980s are those accomplishing modernity and cold-hearted subject. The reason Koran novels nowadays indulging in destruction and dissolution due to see truth of the real after getting moernity or Phallus. Therefore Korean novels nowadays have to get new idea and vision under post modern age. I see new example in such a novel The House of Mommy written by Jun Gyung Rin providing new developemental stage through the case of divorced woman realize significance of Family and devoting to herself Family.
      번역하기

      The Past, The Present, The Future of Korean novel viewing with family subject matter novels Korean noovels of nowadays focus on destruction and disslution to life and its values. Novels with family subjec...

      The Past, The Present, The Future of Korean novel viewing with family subject matter novels


      Korean noovels of nowadays focus on destruction and disslution to life and its values. Novels with family subject matters are involved in such aspects. Family members hate and throw away each other, father is ridiculed. Members having no bloodtie are now replacing existed family in novels nowadays so far as. This thesis studies causes of these aspects and wants to reach a way of overcoming crisis nowadays. I study korean novels in history of accomplishing phallus that means modernity.
      Fathers in beginning modern age have awakening on modernity, but very shallow. Fathers under colonial rule of Japanese is proved in novels of Lee Gwang Su, Yum Sang Sup, and Chae Man Sik. Fathers in 1950s are those losing their life goal because of trauma duing to korean war. Fathers in 1960s~1980s are those accomplishing modernity and cold-hearted subject. The reason Koran novels nowadays indulging in destruction and dissolution due to see truth of the real after getting moernity or Phallus. Therefore Korean novels nowadays have to get new idea and vision under post modern age. I see new example in such a novel The House of Mommy written by Jun Gyung Rin providing new developemental stage through the case of divorced woman realize significance of Family and devoting to herself Family.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