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버진 및 리사이클 PET 제품의 화학적 · 열적 특성 비교시험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932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세계적으로 리사이클 원사 분야의 관심과 수요가 급격히 높아짐에 따라, 국내 기업들 또한 리사이클 원사에 대한 연구 개발 및 사업을 촉진중이다. 국내 리사이클 폴리에스터 원사 사업을 ...

      세계적으로 리사이클 원사 분야의 관심과 수요가 급격히 높아짐에 따라, 국내 기업들 또한 리사이클 원사에 대한 연구 개발 및 사업을 촉진중이다. 국내 리사이클 폴리에스터 원사 사업을 주도하고 있는 A사와 B사의 버진 PET와 리사이클 PET 시료 4종을 적외선 분광기 (FT-IR)를 통해 화학적 특성을 확인 하였으며, 시차주사열량계 (DSC)를 통해 열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두 업체의 버진 PET와 리사이클 PET를 비교한 결과, FT-IR에서 두 회사의 제품 모두 PET의 전형적인 스펙트럼을 보여줌과 동시에, 872 cm<SUP>-1</SUP>에서 스펙트럼의 차이를 보여주었고, DSC를 통해 리사이클 PET의 융점 및 결정화 온도가 버진 PET에 비해 더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는 리사이클 PET에 소량 존재하는 오염물질이 PET 원사의 열적 특성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매개 변수임을 보여준다. 총 7회의 가열 및 냉각 과정을 거친 DSC결과에서, 4개의 샘플 모두 사이클 횟수가 늘어날수록 낮은 융점 및 결정화 온도를 낮은 열유속 세기와 함께 보여주며, 용융 및 결정화 엔탈피의 결과 또한 비슷한 양상을 보여주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he interest and demand in the recycled yarn field has increased rapidly worldwide, domestic companies are also promoting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business on recycled yarn. The chem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four types of virgin and recycl...

      As the interest and demand in the recycled yarn field has increased rapidly worldwide, domestic companies are also promoting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business on recycled yarn. The chem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four types of virgin and recycled PET samples from A and B company, which are the leading domestic companies in the recycled polyester yarn business, were confirmed through infrared (FT-IR) spectroscopy and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Virgin and recycled PET from two companies were compared. FT-IR spectroscopy revealed the typical spectra of PET for both companies and a different peak at 872 cm<SUP>-1</SUP>. DSC confirmed that the melting point and crystallization temperature of recycled PET were lower than those of virgin PE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mall amounts of contaminants are an important parameter affecting the thermal properties of recycled PET. In the DSC results after seven repeats of the heating and cooling processes, all four samples showed that a lower melting point, crystallization temperature, and low heat flow intens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number of cycles. The results of melting and crystallization enthalpy also showed similar patter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실험
      • 3.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실험
      • 3. 결과 및 고찰
      • 4.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명완, "폴리에스터 폐자원의 화학적 재활용기술" 한국고무학회 47 (47): 96-103, 2012

      2 조상환, "폴리에스터 폐자원의 화학 원료화 기술" 한국화학공학회 52 (52): 17-25, 2014

      3 이선영, "재생 방법에 따른 재생 폴리에스터사의 물성 변화" 한국염색가공학회 24 (24): 91-96, 2012

      4 P. Salminen, "Using recycled polyethylene terephthalate(PET)in the production of bottle trays" Arcada 2013

      5 D. S. Achilias, "The Chemical Recycling of PET in the Framework of Sustainable Development" 4 : 385-396, 2004

      6 I. Muhammad, "Sub-and supercritical glycolysis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PET)into the monomer bis(2-hydroxyethyl)terephthalate(BHET)" 95 (95): 1686-1693, 2010

      7 박상호, "Poly (ethylene terephthalate) recycling for high value added textiles" 한국의류학회 1 (1): 1-17, 2014

      8 V. Sinha, "Pet Waste Management by Chemical Recycling : A review" 18 : 8-25, 2008

      9 R. F. Adhemar, "PET recycled and processed from flakes with different amount of water uptake : characterization by DSC, TG, and FTIR-ATR" 43 : 1406-1420, 2007

      10 L. Shen, "Open-loop recycling : A LCA case study of PET bottle-to-fibre recycling" 55 (55): 34-52, 2010

      1 한명완, "폴리에스터 폐자원의 화학적 재활용기술" 한국고무학회 47 (47): 96-103, 2012

      2 조상환, "폴리에스터 폐자원의 화학 원료화 기술" 한국화학공학회 52 (52): 17-25, 2014

      3 이선영, "재생 방법에 따른 재생 폴리에스터사의 물성 변화" 한국염색가공학회 24 (24): 91-96, 2012

      4 P. Salminen, "Using recycled polyethylene terephthalate(PET)in the production of bottle trays" Arcada 2013

      5 D. S. Achilias, "The Chemical Recycling of PET in the Framework of Sustainable Development" 4 : 385-396, 2004

      6 I. Muhammad, "Sub-and supercritical glycolysis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PET)into the monomer bis(2-hydroxyethyl)terephthalate(BHET)" 95 (95): 1686-1693, 2010

      7 박상호, "Poly (ethylene terephthalate) recycling for high value added textiles" 한국의류학회 1 (1): 1-17, 2014

      8 V. Sinha, "Pet Waste Management by Chemical Recycling : A review" 18 : 8-25, 2008

      9 R. F. Adhemar, "PET recycled and processed from flakes with different amount of water uptake : characterization by DSC, TG, and FTIR-ATR" 43 : 1406-1420, 2007

      10 L. Shen, "Open-loop recycling : A LCA case study of PET bottle-to-fibre recycling" 55 (55): 34-52, 2010

      11 H. Han, "Fashion Product Using Recycled Plastic" (2) : 459-462, 2019

      12 S. H. Kim, "Development of Environmentally Friendly Recycled Textiles" 14 (14): 61-70, 2010

      13 P. Daniel, "Chemical Recycling of Poly(ethylene terephrhalate)" 36 (36): 1373-1383, 1997

      14 K. Park,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Textiles for Sportswear, a collection of scientific papers" Keimyung University

      15 A. Ghanbari, "A novel approach to control thermal degradation of PET/organoclay nanocomposites and improve clay exfoliation" 54 (54): 1361-1369,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7-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현장점검) (기타) KCI등재후보
      2017-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8-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cademic Inderstrial Society ->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1 0.842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