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윤리문화적 접근방법에 관한 고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4958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윤리와 문화를 아우러는 윤리문화 영역에서 윤리적 이상의 당위와 실제의 문화적 가치를 조화시킬 수 있는 윤리학의 새로운 연구방 법으로 ‘윤리문화적 접근’을 제시하고 있다. 윤리문화적 접근은 인간이 지향하는 공동선과 이상적 가치 를 설정하고 윤리적 실제에서 이를 어떻게 정당화할 것인가에 초점을 둔 윤리학의 연구방법론이다. 윤리문화적 접근방법은 우선 우리가 지향해야할 윤리적 이상의 당위 를 분명하게 규정하고 윤리적 이상의 당위가 실현되는 윤리적 실제에서 추구되는 문화적 가치를 명확하게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윤리 적 이상의 당위와 실제의 문화적 가치를 균형적으로 조화시켜 판단하고 올바로 실천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윤리적 이상의 당위와 실제 의 문화적 가치를 균형적으로 조화시켜 판단하고 이를 올바로 실천할 수 있는 규범성과 적실성을 구비한 윤리 도덕의 규범을 찾아나가는 연구방 법이다. 윤리문화적 접근은 일상생활에서 개인이 당면하거나 직면하는 윤리적 문제의 해결의 해결을 위한 사고와 행동체계는 물론이고 사회적 차원에 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사회 전반에 걸친 제도나 정책, 법률 등을 기획하거나 설계하거나 집행하는 데 있어서 하나의 개념틀로서 널리 적 용될 수 있다. 윤리문화적 접근은 근본적으로 규범윤리적 성격을 갖고 있으면서도 옳음의 문제는 결과와 관련하여 긍정될 수 있어야 한다는 목적론적 요구 와 옳음은 좋음에 우선해야 한다는 의무론적 요구를 공동체의 공동선을 추구하는 덕론을 통해 균형적으로 조화시킬 수 있으며, 또한 법칙론적 윤 리의 성격을 갖고 있으면서도 윤리적 실제의 다원주의를 인정하고 모든 윤리적 문제들을 규범적으로 판단하며, 실천윤리학이나 응용윤리학의 성 격을 갖고 있으면서 응용윤리와 실천윤리의 영역을 아우를 수 있는 포괄 적인 학문영역이라는 점에서 기존의 규범윤리나 법칙론, 응용윤리와 사회 윤리와 다른 성격으로 규정할 수 있다. 하지만 윤리문화적 접근방법은 그 핵심원리라고 할 수 있는 균형적 조화의 판단과 올바른 실천이라는 행동 체계의 관념성과 인식의 한계를 완전히 극복하지 못하고 있는 것도 사실 이다. 윤리문화적 접근방법은 오늘날 우리 사회가 다원화되고 복잡화함에 따라 발생되고 있는 윤리적 당위와 윤리적 실제간에 상존하는 갈등과 모순을 극복하고 사회 구성원으 로부터 공감을 불러일으키고, 사회 전반에 윤리문화적 기풍을 진작시킴으로써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는 연구방법이 될 것이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윤리와 문화를 아우러는 윤리문화 영역에서 윤리적 이상의 당위와 실제의 문화적 가치를 조화시킬 수 있는 윤리학의 새로운 연구방 법으로 ‘윤리문화적 접근’을 제시하고 있다...

      이 논문은 윤리와 문화를 아우러는 윤리문화 영역에서 윤리적 이상의 당위와 실제의 문화적 가치를 조화시킬 수 있는 윤리학의 새로운 연구방 법으로 ‘윤리문화적 접근’을 제시하고 있다. 윤리문화적 접근은 인간이 지향하는 공동선과 이상적 가치 를 설정하고 윤리적 실제에서 이를 어떻게 정당화할 것인가에 초점을 둔 윤리학의 연구방법론이다. 윤리문화적 접근방법은 우선 우리가 지향해야할 윤리적 이상의 당위 를 분명하게 규정하고 윤리적 이상의 당위가 실현되는 윤리적 실제에서 추구되는 문화적 가치를 명확하게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윤리 적 이상의 당위와 실제의 문화적 가치를 균형적으로 조화시켜 판단하고 올바로 실천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윤리적 이상의 당위와 실제 의 문화적 가치를 균형적으로 조화시켜 판단하고 이를 올바로 실천할 수 있는 규범성과 적실성을 구비한 윤리 도덕의 규범을 찾아나가는 연구방 법이다. 윤리문화적 접근은 일상생활에서 개인이 당면하거나 직면하는 윤리적 문제의 해결의 해결을 위한 사고와 행동체계는 물론이고 사회적 차원에 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사회 전반에 걸친 제도나 정책, 법률 등을 기획하거나 설계하거나 집행하는 데 있어서 하나의 개념틀로서 널리 적 용될 수 있다. 윤리문화적 접근은 근본적으로 규범윤리적 성격을 갖고 있으면서도 옳음의 문제는 결과와 관련하여 긍정될 수 있어야 한다는 목적론적 요구 와 옳음은 좋음에 우선해야 한다는 의무론적 요구를 공동체의 공동선을 추구하는 덕론을 통해 균형적으로 조화시킬 수 있으며, 또한 법칙론적 윤 리의 성격을 갖고 있으면서도 윤리적 실제의 다원주의를 인정하고 모든 윤리적 문제들을 규범적으로 판단하며, 실천윤리학이나 응용윤리학의 성 격을 갖고 있으면서 응용윤리와 실천윤리의 영역을 아우를 수 있는 포괄 적인 학문영역이라는 점에서 기존의 규범윤리나 법칙론, 응용윤리와 사회 윤리와 다른 성격으로 규정할 수 있다. 하지만 윤리문화적 접근방법은 그 핵심원리라고 할 수 있는 균형적 조화의 판단과 올바른 실천이라는 행동 체계의 관념성과 인식의 한계를 완전히 극복하지 못하고 있는 것도 사실 이다. 윤리문화적 접근방법은 오늘날 우리 사회가 다원화되고 복잡화함에 따라 발생되고 있는 윤리적 당위와 윤리적 실제간에 상존하는 갈등과 모순을 극복하고 사회 구성원으 로부터 공감을 불러일으키고, 사회 전반에 윤리문화적 기풍을 진작시킴으로써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는 연구방법이 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to propose a new research method of ethical and cultural approach that is to reconcile the ideal of ethical oughtness and the cultural values of ethics practise in the area of ethical culture that encompass ethics and culture. The ethical and cultural approach is research methodology focusing on how to set on the human-oriented to the common good and the ideal value and how to justify the ethical practise. This methodology of study is first to define clearly the ideal ethical oughtness and to identify the cultural values that the ideal ethical oughtness realized in the ethical practise, and to pursuit of balance and harmonized judgment the ideal ethical oughtness and the cultural values, and is to explore how to practice it correctly. And this methodology of study can be called an ethical approach to finding a norm that having the norms and relevance that balanced and harmonized judgment ideal ethical oughtness and cultural values of ethical practise, and can practice correctly. The ethical and cultural approach can be widely applied as a conceptual framework as resolution of ethical issues faced by individuals in everyday life and as a system of thought and behavior planning, design, or enforcement from across the political, economic, social, cultural, and social institutions and policies, laws, and the social dimension. The ethical and cultural approach is fundamentally the nature normative ethic, while could harmonize the balance the need of the teleological ethics that rightness is justified based on the good results and the the need of deontological that rightness should be a good first by virtuous ethics to seek the common good of the community. And the ethical and cultural approach is the nature of law theory of ethics, while recognized the pluralism of ethical practise, and judgment normaly all the ethical issues, and it is comprehensive study area that have the nature of the practice ethics and applied ethics, but it have in the ideality of balanced harmony of judgment and action systems and the limitations of recognize. In our society today when is diversified and complicated, the ethical and cultural approaches shall be the research methods that can change society by overcome the lingering conflict and contradiction between ethical ought ethical practise as evoking sympathy from the community members, and promote ethical culture ethos.
      번역하기

      This paper is to propose a new research method of ethical and cultural approach that is to reconcile the ideal of ethical oughtness and the cultural values of ethics practise in the area of ethical culture that encompass ethics and culture. The ethica...

      This paper is to propose a new research method of ethical and cultural approach that is to reconcile the ideal of ethical oughtness and the cultural values of ethics practise in the area of ethical culture that encompass ethics and culture. The ethical and cultural approach is research methodology focusing on how to set on the human-oriented to the common good and the ideal value and how to justify the ethical practise. This methodology of study is first to define clearly the ideal ethical oughtness and to identify the cultural values that the ideal ethical oughtness realized in the ethical practise, and to pursuit of balance and harmonized judgment the ideal ethical oughtness and the cultural values, and is to explore how to practice it correctly. And this methodology of study can be called an ethical approach to finding a norm that having the norms and relevance that balanced and harmonized judgment ideal ethical oughtness and cultural values of ethical practise, and can practice correctly. The ethical and cultural approach can be widely applied as a conceptual framework as resolution of ethical issues faced by individuals in everyday life and as a system of thought and behavior planning, design, or enforcement from across the political, economic, social, cultural, and social institutions and policies, laws, and the social dimension. The ethical and cultural approach is fundamentally the nature normative ethic, while could harmonize the balance the need of the teleological ethics that rightness is justified based on the good results and the the need of deontological that rightness should be a good first by virtuous ethics to seek the common good of the community. And the ethical and cultural approach is the nature of law theory of ethics, while recognized the pluralism of ethical practise, and judgment normaly all the ethical issues, and it is comprehensive study area that have the nature of the practice ethics and applied ethics, but it have in the ideality of balanced harmony of judgment and action systems and the limitations of recognize. In our society today when is diversified and complicated, the ethical and cultural approaches shall be the research methods that can change society by overcome the lingering conflict and contradiction between ethical ought ethical practise as evoking sympathy from the community members, and promote ethical culture etho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윤리문화적 접근방법은 왜 필요한가
      • Ⅲ. 윤리문화적 접근방법은 무엇인가
      • Ⅳ. 윤리문화적 접근은 적용할 수 있는가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윤리문화적 접근방법은 왜 필요한가
      • Ⅲ. 윤리문화적 접근방법은 무엇인가
      • Ⅳ. 윤리문화적 접근은 적용할 수 있는가
      • Ⅴ. 윤리문화적 접근방법은 어떻게 다른가
      • Ⅵ. 윤리문화적 접근은 향후 어떻게 발전시키나
      • Ⅶ. 맺는 말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