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살행동 영향 요인: 성별, 연령별 집단 비교를 중심으로 = Factors Affecting Suicidal Behavior: Focused on Comparison Gender and Age Differ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296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that predict suicidal behavior and further examines whether there is gender and age difference. For the study, the Korean General Social Survey(KGSS, 2009) data was analyzed. Sample consists of 1,599 individuals aged 18 and over.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for data analyses with SPSS 15.0 version. The results shows that (1) stress, depression and living alone were significant variables of suicidal behavior for men between aged of 18 to 59, (2) stress, depression suicidal attitude, economic status and health status were significant variables of suicidal behavior for women between aged of 18 to 59, (3) stress, depression and conception of social conflict were significant variables of suicidal behavior for men aged 60 and over, and (4) depression, suicide survival and suicidal attitude were significant variables of suicidal behavior for women aged 60 and over.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or preventing suicid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that predict suicidal behavior and further examines whether there is gender and age difference. For the study, the Korean General Social Survey(KGSS, 2009) data was analyzed. Sample consists of 1,599 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that predict suicidal behavior and further examines whether there is gender and age difference. For the study, the Korean General Social Survey(KGSS, 2009) data was analyzed. Sample consists of 1,599 individuals aged 18 and over.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for data analyses with SPSS 15.0 version. The results shows that (1) stress, depression and living alone were significant variables of suicidal behavior for men between aged of 18 to 59, (2) stress, depression suicidal attitude, economic status and health status were significant variables of suicidal behavior for women between aged of 18 to 59, (3) stress, depression and conception of social conflict were significant variables of suicidal behavior for men aged 60 and over, and (4) depression, suicide survival and suicidal attitude were significant variables of suicidal behavior for women aged 60 and over.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or preventing suicid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형수, "한국노인의 자살생각과 관련요인 연구" 한국노년학회 22 (22): 159-172, 2002

      2 심미영, "한국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대한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성과 발달시기의 조절효과" 한국건강심리학회 10 (10): 313-325, 2005

      3 김승용, "한국 노인 자살률 변동과 사회구조적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19 (19): 181-206, 2004

      4 서인균, "학대경험이 노인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스트레스, 우울,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1 (31): 127-157, 2011

      5 정익중, "학교청소년과 학교밖 청소년의 자살생각과 자살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34 (34): 222-251, 2010

      6 홍영수, "청소년의 생활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19 (19): 125-149, 2005

      7 김순규, "청소년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보호요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29 (29): 66-93, 2008

      8 박병금, "청소년 우울의 발달경로와 자살생각"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31 (31): 208-235, 2009

      9 조계화,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이용한 한국노인의 다차원적 자살예방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간호과학회 38 (38): 372-382, 2008

      10 최연희, "재가 노인의 우울에 따른 자살생각과 관련요인" 한국노년학회 28 (28): 345-355, 2008

      1 김형수, "한국노인의 자살생각과 관련요인 연구" 한국노년학회 22 (22): 159-172, 2002

      2 심미영, "한국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대한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성과 발달시기의 조절효과" 한국건강심리학회 10 (10): 313-325, 2005

      3 김승용, "한국 노인 자살률 변동과 사회구조적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19 (19): 181-206, 2004

      4 서인균, "학대경험이 노인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스트레스, 우울,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1 (31): 127-157, 2011

      5 정익중, "학교청소년과 학교밖 청소년의 자살생각과 자살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34 (34): 222-251, 2010

      6 홍영수, "청소년의 생활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19 (19): 125-149, 2005

      7 김순규, "청소년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보호요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29 (29): 66-93, 2008

      8 박병금, "청소년 우울의 발달경로와 자살생각"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31 (31): 208-235, 2009

      9 조계화,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이용한 한국노인의 다차원적 자살예방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간호과학회 38 (38): 372-382, 2008

      10 최연희, "재가 노인의 우울에 따른 자살생각과 관련요인" 한국노년학회 28 (28): 345-355, 2008

      11 허태균, "자살보도에 대한 지각과 인식: 사회학습효과의 검증"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6 (16): 179-195, 2010

      12 김병철, "자살 보도가 잠재적 자살자에게 미치는 영향"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18 (18): 41-63, 2010

      13 강상경, "우울이 자살을 예측하는가? : 우울과 자살태도 관계의 성별·연령 차이"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1 (41): 67-100, 2010

      14 이미애, "스트레스 대처방안을 매개로 한 노인의 스트레스와 우울 및 자살생각 간의 관계" 한국사회복지연구회 14 (14): 307-325, 2007

      15 김형수, "생애주기별 자살현황과 예방대책" 한국노인복지학회 34 (34): 271-292, 2006

      16 신동준, "살인과 자살의 문화적 사회구조적 원인" 한국사회학회 38 (38): 33-71, 2004

      17 이민아, "사회적 관계 내 자살경험과 가족이 자살생각 및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구학회 33 (33): 61-84, 2010

      18 최명민, "뉴욕시의 자살예방시스템과 다학문적 접근" 78-79, 2011

      19 양순미, "농촌노인들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우울의 효과" 한국노인복지학회 32 (32): 377-396, 2006

      20 박재황, "농어촌과 지방도시에서 노인 자살 기도자에 대한 임상분석" 12 (12): 135-142, 2001

      21 박지영, "노인자살 생존자의 자살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27 (27): 295-330, 2007

      22 이현지, "노인의 죽음불안과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26 (26): 717-731, 2006

      23 황미구, "노인의 주관적인 삶의 질과 자아존중감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우울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한국노년학회 28 (28): 865-885, 2008

      24 박봉길,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우울증을 매개로 한 관련요인 연구"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22) : 58-90, 2006

      25 김현순, "노인의 자살생각에 대한 경로분석" 한국상담심리학회 19 (19): 801-818, 2007

      26 김혜영, "노인의 자살생각과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6

      27 한삼성, "노인의 자살생각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9 (29): 164-181, 2009

      28 배진희, "노인의 자살 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회 29 (29): 1427-1444, 2009

      29 배지연, "노인의 우울 및 자살생각에 있어서 사회적지지의 완충효과" 한국노년학회 25 (25): 59-73, 2005

      30 박봉길, "노인의 심리사회적 특성이 우울감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8 (28): 969-989, 2008

      31 정인과, "노인우울척도의(Geriatric Depression Scale)의 신뢰도, 타당도 연구" 36 (36): 103-112, 1997

      32 김현순, "노인과 청소년의 자살생각 비교 연구" 한국노년학회 28 (28): 325-343, 2008

      33 김효창, "노인 자살의 특성과 자살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2 (12): 1-19, 2006

      34 이소정, "노인 자살의 사회경제적 원인 분석" 한국사회보장학회 26 (26): 1-19, 2010

      35 엄태완, "노인 자살관련 요인: 무망감과 우울증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통제감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59 (59): 355-379, 2007

      36 American Association of Suicidology, "Survivor of Suicide Fact sheet"

      37 Gaffney, M., "Suicide bereavement and coping: a descriptive and interpretative analysis of the coping process" 5 : 523-535, 2010

      38 Bebbington, P. E., "Suicidal ideation, self-harm and attempted suicide: Results from the British psychiatric morbidity survey 2000" 25 : 427-431, 2000

      39 Buddeberg, C., "Suicidal Behavior in Swiss Students: An 18-Month Follow-up Survey" 17 (17): 78-86, 1996

      40 Li, N., "Influencing factors for depression among Chinese suicide survivors" 178 : 97-100, 2010

      41 Wong, J., "Exposure to suicide and suicidal behaviors among Hong Kong adolescents" 61 : 591-599, 2005

      42 Patricia, A. H., "Evidenced-based protoco; Elderly suicide-Secondary Prevention" 29 : 6-17, 2003

      43 Mitchell, A. M., "Depression, Anxiety and Quality of Life in Suicide Survivors: A Comparison of Close and Distant Relationships" 23 (23): 2-10, 2009

      44 Mitchell, A. M., "Complicated grief in survivors of suicide" 25 : 12-18, 2004

      45 Roy, A., "Combination of Family history of suicidal behavior and childhood trauma may represent correlate of increased suicide risk" 2010

      46 Arnautovska, U., "Attitudes Toward Suicide in the Adolescent Population" 31 (31): 22-29, 2010

      47 Izadinia, N.,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suicidal ideas, depression, anxiety, resiliency, daily stresses and mental health among Teheran university students" 5 : 1515-1519, 2010

      48 통계청, "2009년 사망원인 통계" 통계청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4-25 학술지등록 한글명 : 보건사회연구
      외국어명 :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SCOPUS 등재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9 1.79 1.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06 2.16 2.497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