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위암 조직의 자기공명영상과 초음파 소견에 대한 비교 연구 = In Vitro Imaging of MRI and Ultrasound for Gastric Carcinom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6055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위암 조직의 종양 침범 깊이와 주위 조직으로의 침윤 정도를 초음파와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하여 그 진단적 유용성을 알아보고 자기공명영상의 경우 종양을 가장 잘 보여주는 펄스 연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위의 부분 혹은 전절제술을 받아 병리적으로 위암으로 확진된 53예의 제거된 위암 조직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조직은 자기공명영상과 고주파수 탐촉자로 초음파 영상을 얻었다. 각 조직에 대하여 자기공명영상과 초음파 소견을 각각 독립적으로 종양의 탐지 및 종양의 침범 깊이에 대하여 두 명의 방사선과 전문의가 합의하에 평가하였고 각각의 영상 소견을 병리 조직 소견과 비교하여 두 영상 기기 간에 진단의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자기공명영상은 스핀에코 T1 강조 영상, 위상 및 탈위상 경사에코 T1 강조영상, 고속스핀에코 및 단발포고속스핀에코 T2 강조영상의 다섯 펄스 연쇄를 얻었고 이 중 종양의 탐지와 묘출에 우수하다고 평가된 영상 기법을 알아보았다.
      결과 : 조기 위암의 경우, 초음파 진단의 정확도는 77%로 자기공명영상의 진단적 정확도 59%보다 우수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0.096). 진행성 위암의 경우 자기공명영상이나 초음파 각각 97%와 84%의 높은 진단적 정확도를 보여주었으며 자기공명영상이초음파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종양병기를 정확하게 진단했다 (p < 0.001). 자기공명영상의 다섯 가지 펄스연쇄 중에 종양 침윤 깊이를 선명하고 정확하게 보여준다고 평가된 영상은 조기 위암과 진행성 위암 모두 고속스핀에코 T2 강조영상(75%)이었고, 특히 진행성 위암의 경우 총 93.5%에서 고속스핀에코 T2 강조영상이 우수한 영상 소견을 보였다.
      결론 : 자기공명영상과 초음파는 진행성 위암 조직의 종양 병기를 평가하는데 높은 진단적 정확성을 갖고 있으며 자기공명영상이 초음파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종양병기를 정확하게 진단했다. 위암 조직의 종양 병기를 평가하는데 가장 우수한 자기공명영상 기법은 고속스핀에코 T2 강조영상이었다.
      번역하기

      목적 : 위암 조직의 종양 침범 깊이와 주위 조직으로의 침윤 정도를 초음파와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하여 그 진단적 유용성을 알아보고 자기공명영상의 경우 종양을 가장 잘 보여주는 펄스 연...

      목적 : 위암 조직의 종양 침범 깊이와 주위 조직으로의 침윤 정도를 초음파와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하여 그 진단적 유용성을 알아보고 자기공명영상의 경우 종양을 가장 잘 보여주는 펄스 연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위의 부분 혹은 전절제술을 받아 병리적으로 위암으로 확진된 53예의 제거된 위암 조직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조직은 자기공명영상과 고주파수 탐촉자로 초음파 영상을 얻었다. 각 조직에 대하여 자기공명영상과 초음파 소견을 각각 독립적으로 종양의 탐지 및 종양의 침범 깊이에 대하여 두 명의 방사선과 전문의가 합의하에 평가하였고 각각의 영상 소견을 병리 조직 소견과 비교하여 두 영상 기기 간에 진단의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자기공명영상은 스핀에코 T1 강조 영상, 위상 및 탈위상 경사에코 T1 강조영상, 고속스핀에코 및 단발포고속스핀에코 T2 강조영상의 다섯 펄스 연쇄를 얻었고 이 중 종양의 탐지와 묘출에 우수하다고 평가된 영상 기법을 알아보았다.
      결과 : 조기 위암의 경우, 초음파 진단의 정확도는 77%로 자기공명영상의 진단적 정확도 59%보다 우수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0.096). 진행성 위암의 경우 자기공명영상이나 초음파 각각 97%와 84%의 높은 진단적 정확도를 보여주었으며 자기공명영상이초음파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종양병기를 정확하게 진단했다 (p < 0.001). 자기공명영상의 다섯 가지 펄스연쇄 중에 종양 침윤 깊이를 선명하고 정확하게 보여준다고 평가된 영상은 조기 위암과 진행성 위암 모두 고속스핀에코 T2 강조영상(75%)이었고, 특히 진행성 위암의 경우 총 93.5%에서 고속스핀에코 T2 강조영상이 우수한 영상 소견을 보였다.
      결론 : 자기공명영상과 초음파는 진행성 위암 조직의 종양 병기를 평가하는데 높은 진단적 정확성을 갖고 있으며 자기공명영상이 초음파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종양병기를 정확하게 진단했다. 위암 조직의 종양 병기를 평가하는데 가장 우수한 자기공명영상 기법은 고속스핀에코 T2 강조영상이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중앙암등록사업연례보고서(2002.1-2002.12)" 보건복지부 한국중앙암등록사업본부 2003

      2 성창규, "진행성 위암의 자가공명영상: T1강조 FLASH, T2강조 TSE 및 True-FISP 영상 간의 비교" 39 : 1149-1156, 1998

      3 이준행, "조기위암의 근치적 치료로서 내시 경적 점막절제술" 16 : 928-934, 1996

      4 서보경, "절제된 정상위벽의 자기공명영상기 법에 관한 연구: 조직소견과의 비교" 45 : 483-494, 2001

      5 정민하, "이중 나선식 CT를 이용한 삼중 시기 역동 스캔: 위암의 침윤 정도의 결정" 36 : 93-99, 1997

      6 노성훈, "위절제를 시행 한 위암환자 2603예의 생존율 및 예후인자 분석" 55 : 206-213, 1998

      7 정진일, "위암의 자기공명영상 진단: 전산화 단층촬영술과의 비교" 31 : 307-312, 1994

      8 이재문, "위암의 자기공명영상 진단: 전산화 단층촬영술과의 비교" 31 : 307-312, 1994

      9 Worlick H, "Ultrasonic examination of the wall of the fluid-filled stomach" 17 : 3-14, 1989

      10 Ohashi S, "The utility of endoscopic ultrasonography and endoscopy in the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of early gastric cancer" 45 : 599-604, 1999

      1 "한국중앙암등록사업연례보고서(2002.1-2002.12)" 보건복지부 한국중앙암등록사업본부 2003

      2 성창규, "진행성 위암의 자가공명영상: T1강조 FLASH, T2강조 TSE 및 True-FISP 영상 간의 비교" 39 : 1149-1156, 1998

      3 이준행, "조기위암의 근치적 치료로서 내시 경적 점막절제술" 16 : 928-934, 1996

      4 서보경, "절제된 정상위벽의 자기공명영상기 법에 관한 연구: 조직소견과의 비교" 45 : 483-494, 2001

      5 정민하, "이중 나선식 CT를 이용한 삼중 시기 역동 스캔: 위암의 침윤 정도의 결정" 36 : 93-99, 1997

      6 노성훈, "위절제를 시행 한 위암환자 2603예의 생존율 및 예후인자 분석" 55 : 206-213, 1998

      7 정진일, "위암의 자기공명영상 진단: 전산화 단층촬영술과의 비교" 31 : 307-312, 1994

      8 이재문, "위암의 자기공명영상 진단: 전산화 단층촬영술과의 비교" 31 : 307-312, 1994

      9 Worlick H, "Ultrasonic examination of the wall of the fluid-filled stomach" 17 : 3-14, 1989

      10 Ohashi S, "The utility of endoscopic ultrasonography and endoscopy in the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of early gastric cancer" 45 : 599-604, 1999

      11 Marcos HB, "Stomach Disease: MR evaluation using combined T2-weighted single-shot echo train spin-echo and gadolinium-enhanced spoiled gradient-echo sequences" 10 : 950-960, 1999

      12 Bailes DR, "Respiratory ordered phase encoding(ROPE): a method for reducing respiratory motion artifacts in MR imaging" 9 : 835-838, 1985

      13 Blomqvist L, "Rectal tumor staging: MR imaging using pelvic phased-array and endorectal coils vs endoscopic ultrasonography" 10 : 653-660, 2000

      14 Beets-Tan RG, "Rectal cancer: review with emphasis on MR imaging" 232 : 335-346, 2004

      15 Coccini G, "Randomized comparison of 5-FU alone or combined with mitomycin and cytarabine(MFU) in the treatment of advanced gastric cancer" 66 : 1263-1276, 1982

      16 Delange E, "Preoperative staging of rectal carcinoma with MR imaging: Surgical and histopathological correlation" 176 : 623-628, 1990

      17 Gagliardi G, "Preoperative staging of rectal cancer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with external phase-arrayed coils" 137 : 447-451, 2002

      18 Botet JF, "Preoperative staging of gastric cancer: Comparison of endoscopic US and dynamic CT" 181 : 426-432, 1991

      19 Thckman DI, "Nuclear magnetic resonance characteristics of fresh and fixed tissue: the effect of elapsed time" 148 : 183-185, 1993

      20 Kim AY, "MRI in staging advanced gastric cancer: Is it useful compared with spiral CT?" 24 : 389-394, 2000

      21 Dux M, "MRI for staging of gastric carcinoma:First results of an experimental prospective study" 21 : 66-72, 1997

      22 Auh YH, "In vitro MR imaging of the resected stomach with a 4.7-Tesler superconducting magnet" 191 : 129-134, 1994

      23 Kuntz C, "Imaging diagnosis for staging of gastric cancer" 17 : 96-102, 1999

      24 Minami M, "Gastric tumors: Radiologic-pathologic correlation and accuracy of T-staging with dynamic CT" 185 : 173-178, 1992

      25 Hahn PF, "Ferrite particles for bowel contrast in MR imaging: design issues and feasibility studies" 164 : 37-41, 1987

      26 Matsushita M, "Extraserosal invasion in advanced gastric cancer: Evaluation with MR imaging" 192 : 87-91, 1994

      27 MERCURY Study Group, "Extramural Depth of Tumor Invasion at Thin-Section MR in Patients with Rectal Cancer: Results of the MERCURY Study" 243 : 132-139, 2007

      28 Bisset GS, "Evaluation of potential practical oral contrast agents for pediatric magnetic resonance imaging" 20 : 61-66, 1989

      29 Willis S, "Endoscopic ultrasound in the preoperative staging of gastric cancer: Accuracy and impact on surgical therapy" 14 : 951-954, 2000

      30 Ono H,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for treatment of early gastric cancer" 48 : 225-229, 2001

      31 Fukuya T, "Efficacy of helical CT in T-staging of gastric cancer" 21 : 73-81, 1997

      32 Wesbey GE, "Dilute oral iron solutions as gastrointestinal contrast agents f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itial clinical experience" 3 : 57-64, 1985

      33 Roukos DH, "Current advances and changes in treatment strategy may improve survival and quality of life inpatients with potentially curable gastric cancer" 6 : 46-56, 1999

      34 Sohn KM, "Comparing MR imaging and CT in the staging of gastric carcinoma AJR Am" 174 : 1551-1557, 2000

      35 DeVita VT, "Cancer; Principles and practice of oncology. 6th e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092-1126, 2001

      36 Zhang XM, "3-T MRI of Rectal Carcinoma: Preoperative Diagnosis, Staging, and Planning of Sphincter-Sparing Surgery" 190 : 1271-1278,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20-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3-3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지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gnetic Resonance in Medicine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6-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agnetic Resonancein Medicin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gnetic Resonance in Medicine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3 0.03 0.0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03 0.03 0.178 0.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