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중매체와 개인매체를 통해 제공된 영양 관련 정보의 질 평가 = Quality Evaluation on Nutrition-Related Information Offered through Mass Media and Social Network Servic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283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trategy for the spread of proper information regarding nutrition through television, newspapers, and social network service (SNS). Methods: A total of 341 nutrition-related information offered throu...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trategy for the spread of proper information regarding nutrition through television, newspapers, and social network service (SNS). Methods: A total of 341 nutrition-related information offered through television (TV), newspapers, and SN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8 quality assessment items.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program (ver. 22.0) for ANOVA analysis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Results: The evaluation score of TV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media in terms of the provision of scientific evidence (p<0.01), clarity and concreteness of contents (p<0.001), sufficient explanation of the contents (p<0.05). Moreover, the evaluation scores of newspapers and SN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V in terms of the consistency in title and contents of the article (p<0.01), and no exaggeration or distortion on the contents (p<0.001). In the case of SNS, the evaluation score for a sufficient explanation of technical term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V and newspapers (p<0.001). As a result of a quality evaluation according to keywords, the evaluation score of information about sugar and sodium, and nutrition labeling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keywords in terms of clarity and concreteness of contents (p<0.001). The evaluation score of information regarding diet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other keywords in 7 out of 8 items. Conclusion: To spread proper information regarding nutrition, it is necessary that practical information be provided with a sufficient explanation through a wide variety of media. Furthermore, consistent conduction of education for information users and providers is necessar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동희, "효과적인 식품영양정보 제공을 위한 대중매체의 이용 및 활용 실태 조사 - 대전 충남권을 중심으로 -" (사)한국조리학회 22 (22): 95-113, 2016

      2 유종권, "한국과 중국의 지역별 비만율 수렴 현상 분석" 한국여성경제학회 10 (10): 81-103, 2013

      3 류혜숙,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통해 관찰한 식품영양정보의 사례분석" 한국식품영양학회 24 (24): 680-686, 2011

      4 문현경, "지상파 TV 방송프로그램에 나타난 식품영양정보의 질적 분석(2002-2003년) -뉴스, 정보프로그램, 드라마" 대한영양사협회 11 (11): 67-85, 2005

      5 문현경, "지상파 TV 방송프로그램에 나타난 식품영양정보의 양적 현황(2002-2003년) -뉴스, 정보프로그램, 드라마" 대한영양사협회 11 (11): 51-66, 2005

      6 문현경, "일간 신문의 기사와 광고에 나타난 식품영양정보의 현황 조사 (2002년)" 대한영양사협회 10 (10): 143-158, 2004

      7 이혜연, "인터넷 위생 정보 이용 실태 조사 및 질 평가"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6 (26): 229-237, 2010

      8 강혜경, "인터넷 영양정보의 모니터링 - 메타데이터의 활용" 한국영양학회 37 (37): 688-700, 2004

      9 이선영, "인터넷 영양정보의 내용 분석" 대한영양사협회 10 (10): 224-234, 2004

      10 정미란, "인터넷 사이트 식품영양정보의 질적 평가" 대한영양사협회 12 (12): 200-215, 2006

      1 황동희, "효과적인 식품영양정보 제공을 위한 대중매체의 이용 및 활용 실태 조사 - 대전 충남권을 중심으로 -" (사)한국조리학회 22 (22): 95-113, 2016

      2 유종권, "한국과 중국의 지역별 비만율 수렴 현상 분석" 한국여성경제학회 10 (10): 81-103, 2013

      3 류혜숙,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통해 관찰한 식품영양정보의 사례분석" 한국식품영양학회 24 (24): 680-686, 2011

      4 문현경, "지상파 TV 방송프로그램에 나타난 식품영양정보의 질적 분석(2002-2003년) -뉴스, 정보프로그램, 드라마" 대한영양사협회 11 (11): 67-85, 2005

      5 문현경, "지상파 TV 방송프로그램에 나타난 식품영양정보의 양적 현황(2002-2003년) -뉴스, 정보프로그램, 드라마" 대한영양사협회 11 (11): 51-66, 2005

      6 문현경, "일간 신문의 기사와 광고에 나타난 식품영양정보의 현황 조사 (2002년)" 대한영양사협회 10 (10): 143-158, 2004

      7 이혜연, "인터넷 위생 정보 이용 실태 조사 및 질 평가"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6 (26): 229-237, 2010

      8 강혜경, "인터넷 영양정보의 모니터링 - 메타데이터의 활용" 한국영양학회 37 (37): 688-700, 2004

      9 이선영, "인터넷 영양정보의 내용 분석" 대한영양사협회 10 (10): 224-234, 2004

      10 정미란, "인터넷 사이트 식품영양정보의 질적 평가" 대한영양사협회 12 (12): 200-215, 2006

      11 김병숙, "인터넷 사이트 식품영양정보의 양적 평가" 대한영양사협회 12 (12): 185-199, 2006

      12 이귀주, "연령별 성인 여성의 체중감량 다이어트 실태와 만족도 및 관련지식"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572-582, 2006

      13 문현경, "여성잡지에 나타난 식품영양정보의 양적·질적 현황 조사(2002년)" 대한영양사협회 10 (10): 159-173, 2004

      14 서정숙, "식품영양정보 제공 인터넷 사이트 평가" 대한영양사협회 12 (12): 404-410, 2006

      15 김위근,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이용동기가 실제 이용과 메시지 특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페이스북’, ‘트위터’, ‘싸이월드’, ‘미투데이’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60 (60): 150-171, 2012

      16 류혜숙, "방송매체에 나타난 식품영양정보 모니터링" 한국영양학회 36 (36): 508-514, 2003

      17 곽정은, "대중매체 식품영양정보에 대한 성인 여성의 요구도 조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9 (19): 550-557, 2014

      18 Campo S, "Placing the burden on the individual : Overweight and obesity in African American and mainstream women’s magazines" 22 (22): 229-240, 2007

      19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Health and nutrition investigation department"

      20 Lee YH, "Analysis on the utilization and major issues of domestic SNS" 8 : 56-78, 2014

      21 Cho YK, "A study on the social network-Classification of social network services" 35 (35): 22-40,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4-08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Food & Cookery Science -> Korean Society of Food and Cookery Science KCI등재
      2014-03-1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OD & COOKERY SCIENCE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1-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조리과학회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조리과학회 -> 한국식품조리과학회 KCI등재
      2006-06-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OD & COOKERY SCIENCE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5 1.05 1.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1.06 2.017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