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고에서는 시사만화의 텍스트가 텍스트언어학적 관점에서 어떤 특징이 있는가 하는 기본적인 문제에서 출발하여 그림 텍스트와 언어 텍스트를 함께 분석하여 응집성 응결성이라는 두 측...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고에서는 시사만화의 텍스트가 텍스트언어학적 관점에서 어떤 특징이 있는가 하는 기본적인 문제에서 출발하여 그림 텍스트와 언어 텍스트를 함께 분석하여 응집성 응결성이라는 두 측...
본 고에서는 시사만화의 텍스트가 텍스트언어학적 관점에서 어떤 특징이 있는가 하는 기본적인 문제에서 출발하여 그림 텍스트와 언어 텍스트를 함께 분석하여 응집성 응결성이라는 두 측면에서 그 통보적 기능을 살펴보았다.
2부분에서 언어 텍스트와 그림 텍스트로 나누어 각각 그 구조를 살펴보면서 통보적 기능으로서의 텍스트 구성요소들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3부분에서는 텍스트언어학의 7가지 텍스트성, 즉 표층 텍스트 결속성으로서의 응결성과 응집성 요소로서 상호텍스트성, 의도성, 용인성, 정보성, 상황성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통보적 기능의 관점에서 시사만화의 텍스트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시사만화 텍스트는 그림과 언어라는 구체적인 것과 추상적인 기호가 결합되어 한 개 텍스트를 이루며 그림 텍스트와 언어 텍스트는 비선형적으로 각각의 외시적 의미와 내포적 의미의 두 층위를 가지면서 서로 보완되고 결합되는 특징을 보인다.
또한 수용자는 기존 배경지식과 사건기사 텍스트를 통한 상황맥락 파악 등 다양한 인지과정을 거치며 이 과정에서 수용자 개인의 가치관 윤리의식 등도 작용하여 보다 큰 텍스트구조를 형성하면서 텍스트를 추론하고 이해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