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朝賀 儀禮動線과 宮闕 正殿의 建築型式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70279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on the King's movement during the political ceremony and also on the architectural norm of JeongJeon the main pavilion of the palace of Joseon dynasty. It needs the analysis on the alternatives of King's movement and comparative study ab...

      This study is on the King's movement during the political ceremony and also on the architectural norm of JeongJeon the main pavilion of the palace of Joseon dynasty. It needs the analysis on the alternatives of King's movement and comparative study about other palaces of East Asian country such as China, Japan and Vietnam.
      The ideal concept of royal ritual ceremony is the process that the King who lived in the palace meets the officials who comefrom outside. So the ritual space has the meaning of border between private and public(or political) area. JeongJeon at JoHa(朝賀, great ceremony), the main gate at JoCham(朝參, every 5 days meeting) and PyeonJeon at SangCham(常參, daily meeting) can be the border of each case and in the ancient idea, every border has the image of the 'gate' as ritual space. According to this concept, King's movement has to be the way from back to front via the rear door and the five mountains' folding screen of main pavil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2. 조하의례의 동선과 내외개념
      • 3. 중국, 일본, 베트남의 궁궐 정전과 조하의식
      • 4. 조선궁궐 정전의 건축형식
      • Abstract
      • 1. 서론
      • 2. 조하의례의 동선과 내외개념
      • 3. 중국, 일본, 베트남의 궁궐 정전과 조하의식
      • 4. 조선궁궐 정전의 건축형식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화재관리국, "창덕궁 인정전 실측조사보고서" 문화재관리국 1998

      2 문화재청, "중화전 실측.수리조사보고서" 문화재청 2001

      3 김동욱, "조선초기 창건 경복궁의 공간구성-고려궁궐과의 관계에 대해서" 7 (7): 1998

      4 조재모, "조선시대 궁궐의 의례운영과 건축형식" 서울대학교 2003

      5 윤정현, "조선시대 궁궐 중심공간의 구조와 변화" 서울대학교 2000

      6 이강민, "베트남의 목구조" 2006

      7 김동욱, "베트남 응우엔 왕조 궁궐의 건물 배치" 2002

      8 문화재청, "근정전 실측조사보고서" 문화재청 2000

      9 "高宗純宗實錄"

      10 江永, "鄕黨圖考" 臺灣商務印書館 210 :

      1 문화재관리국, "창덕궁 인정전 실측조사보고서" 문화재관리국 1998

      2 문화재청, "중화전 실측.수리조사보고서" 문화재청 2001

      3 김동욱, "조선초기 창건 경복궁의 공간구성-고려궁궐과의 관계에 대해서" 7 (7): 1998

      4 조재모, "조선시대 궁궐의 의례운영과 건축형식" 서울대학교 2003

      5 윤정현, "조선시대 궁궐 중심공간의 구조와 변화" 서울대학교 2000

      6 이강민, "베트남의 목구조" 2006

      7 김동욱, "베트남 응우엔 왕조 궁궐의 건물 배치" 2002

      8 문화재청, "근정전 실측조사보고서" 문화재청 2000

      9 "高宗純宗實錄"

      10 江永, "鄕黨圖考" 臺灣商務印書館 210 :

      11 "西闕圖案"

      12 조재모, "英·正祖代 國家儀禮 再整備와 宮闕建築" 대한건축학회 21 (21): 217-224, 2005

      13 "江家次第"

      14 "東闕圖形"

      15 "東闕圖"

      16 "朝鮮王朝實錄"

      17 조재모, "朝鮮王室의 正寢 槪念과 變動" 대한건축학회 20 (20): 191-198, 2004

      18 박희용, "朝鮮時代 宮闕 正殿 唐家의 형식과 역할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2 (22): 167-174, 2006

      19 "景福宮全圖"

      20 "春官通考"

      21 樓慶西, "宮闕建築" 발언 54-54, 1996

      22 福田美穂, "大唐開元禮'の宮殿儀式とその空間"

      23 "大唐開元禮"

      24 "大南會典"

      25 "大南一統志"

      26 "國朝續五禮儀補"

      27 "國朝續五禮儀"

      28 "國朝五禮儀"

      29 "周禮"

      30 中沢信一郞, "史料にみらる京城 - ブイエトナム/フエ阮朝宮闕の復原的硏究"

      31 "北闕圖形"

      32 "儀式"

      33 傅熹年, "中國古代建築史" 2 : 381-381, 2001

      34 "中和殿營建都監儀軌"

      35 Phan Thuan An, "Kien Truc Co Do Hue" Nha Xuat Ban Thuan Hoa 60-61,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3-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Construction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 0.74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