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에 있어서의 역사성의 보존개념을 실천함에 있어서 보존과 개발은 상충적인 관계가 아니고 상보적인 개념으로서 인식하여 합리적인 보존개발을 위한 시책이 요구된다. 이미지 측면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5005086
한상일 (경주전문대학 관광과)
1997
Korean
경주 ; 부정적 관광 이미지 ; 관광 이미지
326.39
학술저널
43-65(2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경주에 있어서의 역사성의 보존개념을 실천함에 있어서 보존과 개발은 상충적인 관계가 아니고 상보적인 개념으로서 인식하여 합리적인 보존개발을 위한 시책이 요구된다. 이미지 측면에...
경주에 있어서의 역사성의 보존개념을 실천함에 있어서 보존과 개발은 상충적인 관계가 아니고 상보적인 개념으로서 인식하여 합리적인 보존개발을 위한 시책이 요구된다. 이미지 측면에서 본다면 긍정적 이미지 요소는 보존을 필요로 하고 부정적 이미지 요소는 개발을 필요로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관광지 형성의 바탕이 되는 자연경관과 역사경관에 대한 보존이 우선되어야겠으며 다음으로 역사경관과 생활경관의 상보적인 관계유지를 위한 매스터플랜을 수립하는 등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틀 속에서 보존과 개발이 조화롭게 맞물려질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이 요청된다.
역사경관이 시각적인 대상에만 그치지 말고 시민생활 및 관광활동의 장이 되도록 유도해야 한다.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많은 문화활동들이 역사환경에서 일어날 수 있도록 배려되어야 하며, 더불어 다양한 문화활동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져야 한다. 이렇게 될 경우 역사경관과 상호보완적으로 되게 되며 이용자들은 역사경관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장소성을 갖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부정적 이미지를 관광지 개발을 통해 향상시키려는 제방안의 체계적인 개발을 통해서 경주의 관광지로서의 이미지는 질적으로 상향조정될 것이고 명실공히 국내 최고의 의미 있는 관광체험을 제공할 수 있는 관광지로서 자리잡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연구의 유용성을 중심으로 하여 결론과 연구대상 지역인 경주의 부정적 이미지의 개선방안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이 연구는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수집과정에서 시기적으로 제한된 범위내 즉, 춘계에 이루어졌기 때문에 관광이 미지 성향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와 관련하여 앞으로 발전시켜야 할 연구과제는 관광자의 관광지 정체성에 대한 인지 태도는 계절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 연구와 관련하여 춘계기간 이외의 하계, 추계, 동계 등을 포함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