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포르투갈의 대(對)포르투갈어권 아프리카 국가 양자원조의 동인: 구성주의적 패러다임의 적용 = The driver of Portugal's Bilateral Aid to Portuguese-speaking African Countries: The Application of the Constructivist Paradig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401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major feature of traditional Portuguese development cooperation is that bilateral aid is concentrated at a considerable level in Portuguese-Speaking African countries. Between 2012 and 2016, Portugal’s aid for the African continent accounted for an overwhelming proportion of about 78.9% of the total amount. Although the proportion of ODA to the African region has been on a slight decline due to Portugal's recent reduction in the size of ODA, as of 2019, the ODA in Africa recorded 70.1%. In addition, looking at the rankings of the recipients of Portugal’s aid as of 2019, there are five Portuguese-Speaking African countries in the top 10 countries, including Mozambique, Cabo Verde, Guinea-Bissau, Sâo Tomé Principe and Angola. Based on the constructivist paradigm that postulates state identity constitutes the interests, preferences, and behavior of actors, this study examined the main driver of Portugal’s ODA to the Portuguese-speaking African countries, focusing on the variable of state identity. This study ultimately argues that the Portuguese state identity was reconstructed in the historical flow of the wave of European integration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African countries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This led to an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bilateral aid, aming to strengthen the awareness of Portugal as a norm-leading country as a middle power, and promote its role as a multilateral mediator between Europe and Africa, enhancing its national status.
      번역하기

      A major feature of traditional Portuguese development cooperation is that bilateral aid is concentrated at a considerable level in Portuguese-Speaking African countries. Between 2012 and 2016, Portugal’s aid for the African continent accounted for a...

      A major feature of traditional Portuguese development cooperation is that bilateral aid is concentrated at a considerable level in Portuguese-Speaking African countries. Between 2012 and 2016, Portugal’s aid for the African continent accounted for an overwhelming proportion of about 78.9% of the total amount. Although the proportion of ODA to the African region has been on a slight decline due to Portugal's recent reduction in the size of ODA, as of 2019, the ODA in Africa recorded 70.1%. In addition, looking at the rankings of the recipients of Portugal’s aid as of 2019, there are five Portuguese-Speaking African countries in the top 10 countries, including Mozambique, Cabo Verde, Guinea-Bissau, Sâo Tomé Principe and Angola. Based on the constructivist paradigm that postulates state identity constitutes the interests, preferences, and behavior of actors, this study examined the main driver of Portugal’s ODA to the Portuguese-speaking African countries, focusing on the variable of state identity. This study ultimately argues that the Portuguese state identity was reconstructed in the historical flow of the wave of European integration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African countries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This led to an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bilateral aid, aming to strengthen the awareness of Portugal as a norm-leading country as a middle power, and promote its role as a multilateral mediator between Europe and Africa, enhancing its national statu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전통적인 포르투갈 개발협력의 주요 특징으로 양자 원조가 대(對)포어권 아 프리카 국가에 상당한 수준으로 집중되고 있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2012년 부터 2016년 사이, 포르투갈의 아프리카대륙에 대한 지원은 전체 규모 대비 약 78.9%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였다. 비록 최근 포르투갈의 ODA 규모의 축소로 인해 아프리카지역에 대한 지원 비중은 다소 감소하는 추세에 있으나, 2019년 기준으로 대아프리카 ODA는 전체 지역 대비 70.1%를 기록하였다. 또 한, 2019년 기준 포르투갈의 원조를 받는 수원국의 순위를 살펴보면, 1위는 모 잠비크, 2위는 카보베르데, 3위는 기니비사우, 5위는 상토메프린시페, 7위는 앙골라 등 상위 10개 수원국 내에 포어권 아프리카국가가 5개가 포진하고 있 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가의 정체성이 행위자의 이익과 선호, 그리 고 행위를 구성한다고 주장하는 구성주의적 패러다임을 바탕으로 포르투갈의 대포어권 아프리카국가 ODA의 주요 동인을 국가 정체성이라는 변수를 중심 으로 조명하였다. 연구 결과, 포르투갈의 국가 정체성은 유럽통합의 물결과 과 거 대항해시대부터 현재를 아우르는 포어권 아프리카 국가와의 관계가 맞물 리는 역사적 흐름속에서 재구성된 것으로, 이는 결과적으로 포르투갈의 대포 어권 아프리카 국가에 대한 양자 원조 비중의 확대로 이어졌으며,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포르투갈은 중견국(middle power)으로서의 규범선도국이라는 인식 의 제고, 그리고 유럽과 아프리카 사이의 다자주의적 중재자(mediator) 역할을 강화하면서 국가 위상 제고를 도모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번역하기

      전통적인 포르투갈 개발협력의 주요 특징으로 양자 원조가 대(對)포어권 아 프리카 국가에 상당한 수준으로 집중되고 있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2012년 부터 2016년 사이, 포르투갈의 아프리...

      전통적인 포르투갈 개발협력의 주요 특징으로 양자 원조가 대(對)포어권 아 프리카 국가에 상당한 수준으로 집중되고 있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2012년 부터 2016년 사이, 포르투갈의 아프리카대륙에 대한 지원은 전체 규모 대비 약 78.9%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였다. 비록 최근 포르투갈의 ODA 규모의 축소로 인해 아프리카지역에 대한 지원 비중은 다소 감소하는 추세에 있으나, 2019년 기준으로 대아프리카 ODA는 전체 지역 대비 70.1%를 기록하였다. 또 한, 2019년 기준 포르투갈의 원조를 받는 수원국의 순위를 살펴보면, 1위는 모 잠비크, 2위는 카보베르데, 3위는 기니비사우, 5위는 상토메프린시페, 7위는 앙골라 등 상위 10개 수원국 내에 포어권 아프리카국가가 5개가 포진하고 있 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가의 정체성이 행위자의 이익과 선호, 그리 고 행위를 구성한다고 주장하는 구성주의적 패러다임을 바탕으로 포르투갈의 대포어권 아프리카국가 ODA의 주요 동인을 국가 정체성이라는 변수를 중심 으로 조명하였다. 연구 결과, 포르투갈의 국가 정체성은 유럽통합의 물결과 과 거 대항해시대부터 현재를 아우르는 포어권 아프리카 국가와의 관계가 맞물 리는 역사적 흐름속에서 재구성된 것으로, 이는 결과적으로 포르투갈의 대포 어권 아프리카 국가에 대한 양자 원조 비중의 확대로 이어졌으며,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포르투갈은 중견국(middle power)으로서의 규범선도국이라는 인식 의 제고, 그리고 유럽과 아프리카 사이의 다자주의적 중재자(mediator) 역할을 강화하면서 국가 위상 제고를 도모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문석, "한국의 국제개발협력에 대한 국제정치이론 관점의 성찰: 구성주의적 대안을 중심으로" 한국국제정치학회 53 (53): 297-331, 2013

      2 "포르투갈 외교부"

      3 정헌주 ; 홍지영 ; 손혁상, "포르투갈 다자원조 결정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5 (25): 5-38, 2020

      4 지혜란 ; 우명제 ; 강명구, "패널분석을 이용한 공적개발원조와 도시화가 개발도상국의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9 (49): 179-194, 2014

      5 김종섭, "유럽의 ODA 정책과 한유럽 개발협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

      6 이무성, "유럽연합(EU) 전략적 동반자관계에 대한 연구: 양면성과 개념적 정의" 한국유럽학회 37 (37): 63-86, 2019

      7 정호윤 ; 임소라, "외교 환경의 변화와 디지털 공공외교의 부상: 포르투갈 사례를 중심으로" EU연구소 (58) : 369-402, 2021

      8 최종건, "안보학과 구성주의: 인식론적 공헌도를 중심으로" 한국국제정치학회 49 (49): 81-100, 2009

      9 구정우 ; 김대욱, "세계사회와 공적재발원조: 한국 ODA 결정요인 분석, 1989-2007" 한국사회학회 45 (45): 153-190, 2011

      10 "대한민국 외교부"

      1 안문석, "한국의 국제개발협력에 대한 국제정치이론 관점의 성찰: 구성주의적 대안을 중심으로" 한국국제정치학회 53 (53): 297-331, 2013

      2 "포르투갈 외교부"

      3 정헌주 ; 홍지영 ; 손혁상, "포르투갈 다자원조 결정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5 (25): 5-38, 2020

      4 지혜란 ; 우명제 ; 강명구, "패널분석을 이용한 공적개발원조와 도시화가 개발도상국의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9 (49): 179-194, 2014

      5 김종섭, "유럽의 ODA 정책과 한유럽 개발협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

      6 이무성, "유럽연합(EU) 전략적 동반자관계에 대한 연구: 양면성과 개념적 정의" 한국유럽학회 37 (37): 63-86, 2019

      7 정호윤 ; 임소라, "외교 환경의 변화와 디지털 공공외교의 부상: 포르투갈 사례를 중심으로" EU연구소 (58) : 369-402, 2021

      8 최종건, "안보학과 구성주의: 인식론적 공헌도를 중심으로" 한국국제정치학회 49 (49): 81-100, 2009

      9 구정우 ; 김대욱, "세계사회와 공적재발원조: 한국 ODA 결정요인 분석, 1989-2007" 한국사회학회 45 (45): 153-190, 2011

      10 "대한민국 외교부"

      11 정호윤, "뉴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한-EU 정치협력 인식 연구: 2011-2020년 국내 언론 기사를 중심으로" EU연구소 (57) : 193-2220, 2021

      12 김준석, "규범권력과 유럽연합: 새로운 국제정치 행위자의 등장?" 국제학연구소 16 (16): 1-29, 2007

      13 신봉섭, "갈등과 협력의 동반자" 21세기북스 2021

      14 Alesina, A., "Who Gives Foreign Aid to Whom and Why?" 5 (5): 33-63, 2000

      15 Alesina, A., "Who Gives Foreign Aid to Whom and Why?" 5 : 33-63, 2000

      16 Ruggie, J. G., "What Makes the World Hang Together? Neo-utilitarianism and the Social Constructivist Challenge" 52 : 855-885, 1998

      17 Hopf, T., "The Promise of Constructivism in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23 (23): 171-200, 1998

      18 Goodin, R., "The Oxford Handbook of International Rela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19 OECD, "The DAC Journal 2001. Portugal, Belgium"

      20 Katzenstein, P. J., "The Culture of National Security: Norms and Identity in World Politics"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6

      21 Mormul, J., "The Community of Portuguese Language Countries (CPLP) and the Luso-African identity" 5 (5): 191-213, 2020

      22 Government of Portugal, "Strategic Concept for Portuguese Development Cooperation 2014-2020" Government of Portugal 2014

      23 Camões Institute, "Resolução do Conselho de Ministros n.º 17/2014"

      24 Keohane, R., "Power and Interdependence : World Politics in Transition" Little, Brown & Co 1977

      25 Camões Institute, "Portugal’s Aid at a Glance"

      26 Knowledge Hub, "Portugal: General Information on Development Cooperation"

      27 Government of Portugal, "Portugal will donate four million vaccines to Portuguese-speaking countries"

      28 "OECD QWIDS"

      29 "OECD DAC Aid at a Glance"

      30 Lumsdaine, D. H., "Moral Vision in International Politics: The Foreign Aid Regime, 1949-89"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3

      31 Raimundo, A., "Mapping the Agency of a Small, Former Colonial Power:Portugal and EU Political Conditionality in Sub-Saharan Africa" 15 (15): 589-605, 2014

      32 Development Initiatives, "Investments to End Poverty: Real Money, Real Choices, Real Lives" Development Initiatives 2013

      33 Gorjão, P., "Intertwined Paths: Portugal and Rising Angola" South African Institute of International Affairs 2011

      34 Robert, G., "Governing Globalization" Polity 2002

      35 Claessens, S., "Evidence on Changes in Aid Allocation Criteria" 23 (23): 185-208, 2009

      36 Barbière, C, "Europe's Former Imperial Powers Continue to Target Aid to Ex-colonies"

      37 주포르투갈대한민국대사관, "EU가입이 포르투갈 경제에 미친 영향"

      38 김영수 ; 신중범, "Do Norms Theories Matter?: Viability of Constructivist Approach for the Studies of Foreign Aid" 한국국제정치학회 17 (17): 133-157, 2019

      39 Zielińska, K., "Development Diplomacy. Development Aid as a Part of Public Diplomacy in the Pursuit of Foreign Policy Aims: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siderations" 16 : 9-26, 2016

      40 OECD, "Development Co-operation Profiles" OECD Publishing,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21

      41 OECD, "Development Co-Operation Review Series: Portugal"

      42 Schraeder, P., "Clarifying the Foreign Aid Puzzle: A Comparison of American, Japanese, French, and Swedish Aid Flows" 50 (50): 294-323, 1998

      43 Wendt, A., "Anarchy is What States Make of It: The Social Construction of Power Politics" 46 : 391-425, 1992

      44 Campos, Â, "An Oral History of the Portuguese Colonial War, Palgrave Studies in Oral History" 2017

      45 OECD, "Aid at a Glance Charts"

      46 Carvalho, C., "Africa and the World" Palgrave Macmillan 2018

      47 Presidency of the Portuguese Republic, "Address by the President of the Republic at the Opening Session of the VIII CPLP Summit"

      48 De Mesquita, B., "A Political Economy of Aid" 63 (63): 309-340, 2009

      49 La Barre, J., "A Musical Lusofonia? Music Scenes and the Imagination of Lisbon" 2 (2): 119-146, 2013

      50 Teles, A., "A Dimensão Cultural da Política Externa Portuguesa: Da Década de Noventa à Actualidade" Universidade Nova de Lisboa 2009

      51 KOICA, "2018 주요 공여국의 원조 현황 및 실시체계" 한국국제협력단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3-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 포르투갈-브라질 연구 -> 한국 포르투갈-브라질 학회 KCI등재
      2016-02-1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 포르투갈-브라질 학회 -> 한국 포르투갈-브라질 연구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Luso-Brazilian Studies -> Korean Association of Lusophone Area Studies(KALAS)
      KCI등재
      2016-02-1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Portuguese-Brazilian Studies -> Journal of Lusophone Area Studies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5-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Portuguese-Brazilian Studies -> Korean Association of Luso-Brazilian Studies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7 0.17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6 0.14 0.566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