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미기록종 Navicula spartinetensis (Bacillariophyceae)의 분류 및 분포 = First Report of Navicula spartinetensis (Bacillariophyceae) from Korean Tidal Flats Along with Its Distribution in Northeast Asi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585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enus Navicula, with its notably high species diversi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genera of the diatom assemblages of the tidal flats. In the present study, Navicula spartinetensis was firstly observed from Yellow Sea including both of Korean ...

      The genus Navicula, with its notably high species diversi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genera of the diatom assemblages of the tidal flats. In the present study, Navicula spartinetensis was firstly observed from Yellow Sea including both of Korean and Chinese tidal flats. Morphological description was also made based on the LM and SEM observation. Samples were collected from four locations in Korea, two in October 2006, one in July 2007, and one in July 2018, and seven location in China from June to July 2018. N. spartinetensis was firstly described by Sullvian & Reimer in 1975; Cells are lanceolate with narrow valve faces, 20-30 ㎛ long, 5-6 ㎛ wide, and the density of striae is 12-13 in 10 ㎛, and the terminal raphe ending curved in the same direction. N. spartinetensis has been previously reported from Europe and South America, and the present study has expanded its distribution to the Northeast Asia. In conclusion, the diversity of Korean marine benthic diatoms is still underestimated thus extensive further study of diatom taxonomy is need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태수, "한국해협에 있어서 플랑크톤의 계절적 변화에 관하여(I)" 부산수산대학 1-12, 1956

      2 이민재, "한국 해역의 플랑크톤 연구. 하기 서해에 있어서의 해황과 식물성 플랑크톤 관하여" 서울대학교 해양생물연구소 1-14, 1967

      3 최상, "한국 해역의 식물플랑크톤에 관한 연구. II. 한국 연안수역의 식물플랑크톤" 2 : 1-12, 1967

      4 박주석, "한국 남해안의 식물성 플랑크톤의 출현양 및 조성과 이들이 먹이와 적조로써 양식생물에 미치는 영향" 국립수산진흥원 7-157, 1980

      5 박태수, "하기 남해안에 있어서 Microplankton의 양 및 조성에 관한 연구" 부산수산대학 13-32, 1956

      6 정영호, "하계 경기만의 수질오염과 생산력에 관한 연구. 제3보. 식물성 플랑크톤의 분류 (II)" 14 : 47-59, 1971

      7 박주석, "진해만 적조의 특성과 환경변화" 국립수산진흥원 55-58, 1982

      8 윤양호, "제주도 연안해역에 출현하고 있는 적조생물" 제주대학교 해양연구소 1-14, 1991

      9 유광일, "오염해역에 있어서의 생물군집의 환경지표성에 관한 연구" 1 : 10-14, 1980

      10 유광일, "식물성 플랑크톤의 종조성과 현존량. - 다도해의 굴성장요인과 연해수질 오염에 관한 연구 -" 13 : 326-329, 1974

      1 박태수, "한국해협에 있어서 플랑크톤의 계절적 변화에 관하여(I)" 부산수산대학 1-12, 1956

      2 이민재, "한국 해역의 플랑크톤 연구. 하기 서해에 있어서의 해황과 식물성 플랑크톤 관하여" 서울대학교 해양생물연구소 1-14, 1967

      3 최상, "한국 해역의 식물플랑크톤에 관한 연구. II. 한국 연안수역의 식물플랑크톤" 2 : 1-12, 1967

      4 박주석, "한국 남해안의 식물성 플랑크톤의 출현양 및 조성과 이들이 먹이와 적조로써 양식생물에 미치는 영향" 국립수산진흥원 7-157, 1980

      5 박태수, "하기 남해안에 있어서 Microplankton의 양 및 조성에 관한 연구" 부산수산대학 13-32, 1956

      6 정영호, "하계 경기만의 수질오염과 생산력에 관한 연구. 제3보. 식물성 플랑크톤의 분류 (II)" 14 : 47-59, 1971

      7 박주석, "진해만 적조의 특성과 환경변화" 국립수산진흥원 55-58, 1982

      8 윤양호, "제주도 연안해역에 출현하고 있는 적조생물" 제주대학교 해양연구소 1-14, 1991

      9 유광일, "오염해역에 있어서의 생물군집의 환경지표성에 관한 연구" 1 : 10-14, 1980

      10 유광일, "식물성 플랑크톤의 종조성과 현존량. - 다도해의 굴성장요인과 연해수질 오염에 관한 연구 -" 13 : 326-329, 1974

      11 최정신, "수영만에 있어서 규조류의 계절적인 양 및 조성의 변화" 2 : 16-24, 1969

      12 유광일, "백령도의 식물성 플랑크톤" 28 : 461-462, 1973

      13 유광일, "마산만의 환경학적 연구. 2. 식물성플랑크톤의 년변화" 11 : 34-38, 1976

      14 박주석, "마산만의 환경오염 평가를 위한 야외생물 오염 시험연구" 14 : 15-25, 1979

      15 김학균, "마산만의 와편모적조의 발생과 환경특성" 국립수산진흥원 1-40, 1989

      16 김준호, "금강하구 조간대 저토의 물리화학적 특성, 저생규조의 종조성 및 생물량" 8 : 21-29, 1985

      17 이진환, "국가 생물종 목록집" 국립생물자원관 365-, 2015

      18 최상, "고리 해역의 부유생물과 유기현탁물질의 소장" 7 : 47-58, 1972

      19 趙京濟, "落東江 河口 底土의 環境勾配에 따른 底棲硅藻類의 群集構造" 서울大學校 大學院 1989

      20 Grunow, A., "Über neue oder ungenügend gekannte Algen. Erste Folge, Diatomeen, Familie Naviculaceen" 10 : 503-582, 1860

      21 Koh C. -H., "The Korean tidal flat of the Yellow Sea: Physical setting, ecosystem and management" 102 : 398-414, 2014

      22 박진순, "The Identity of ‘Berkeleya scopulorum’ from Northeast Asia: Report on Climaconeis mabikii sp. nov. from Temperate Marine Waters with Notes on Biogeography of the Genus" 한국해양과학기술원 51 (51): 591-598, 2016

      23 Round, F. E., "The Diatoms" 747-, 1990

      24 박진순, "Taxonomic Studies on Korean Marine Benthic Diatoms - LM and SEM Observations of the Diatom Genus Amphora (Bacillariophyceae) from Korean Tidal Flats with the First Recordings of A. arenicola, A. beaufortiana and A. maletractata var. constricta" 한국해양과학기술원 47 (47): 101-112, 2012

      25 Cho, K. J., "Species composition and Primary production of the Benthic algal assemblage along a channel in salt marsh, Kyonggi bay, Korea" 11 (11): 1-15, 1988

      26 Méléder, V., "Spatiotemporal changes in microphytobenthos assemblages in a macrotidal flat (Bourgneuf Bay, France)" 43 : 1177-1190, 2007

      27 Sullivan, M. J., "Some diatoms(Bacillariophyceae)from a Delaware salt marsh-four of which are described as new" 18 : 115-121, 1975

      28 Yool, A., "Role of diatoms in regulating the ocean"s silicon cycle" 17 : 1103-, 2003

      29 Kokubo, S., "Quantitative reports of plankton in Japanese coasts" 15 : 121-154, 1940

      30 Liu Y., "Pseudofallacia gen. nov., a new freshwater diatom (Bacillariophyceae)genus based on Navicula occulta Krasske" 51 : 620-626, 2012

      31 Underwood, G. J. C., "Primary production by phytoplankton and microphytobenthos in estuaries" 29 : 93-153, 1999

      32 Cho, C. H., "On the Gymnodinium red tide in Jinhae Bay" 14 : 227-232, 1981

      33 Gligora M., "Observations on the diatom Navicula hedinii Hustedt (Bacillariophyceae) and its transfer to a new genus Envekadea Van de Vijver et al. gen. nov" 44 (44): 123-138, 2009

      34 Witkowski, A., "Morphology and distribution of a little known but widespread diatom (Bacillariophyceae), Navicula spartinetensis Sullivan et Reimer" 27 (27): 43-51, 2012

      35 Park, J., "Microphytobenthos of Korean tidal flats: A review and analysis on floral distribution and tidal dynamics" 102 : 471-482, 2014

      36 Skvortzow, B. W., "Freshwater diatoms from Korea, Japan" 38 : 283-291, 1929

      37 박진순, "Flora of marine benthic diatoms from the Saemangeum tidal flat of Korea"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38 Choi, J. H., "Estimation of Boundary Shear Velocities from Tidal Current in the Gyeonggi Bay, Korea" 26 : 340-349, 1991

      39 Ohtsuka, T., "Epipelic diatoms blooming in Isahaya Tidal Flat in the Ariake Sea, Japan, before the drainage following the Isahaya-Bay Reclamation Project" 53 : 138-148, 2005

      40 Yoo, K. I., "Environmental studies of the Jinhae Bay. 1. Annual cycle of phytoplankton population, 1976-1978" 14 : 26-31, 1979

      41 Oh, S. H., "Distribution of diatoms in the surficial sediments of the ManKyung Dongjin tidal flat, west coast of Korea(Eastern Yellow Sea)" 122 : 487-496, 1995

      42 Mitbavkar, S., "Diatoms of the microphytobenthic community : population structure in a tropical intertidal sand flat" 140 : 41-57, 2002

      43 Skvortzow, B. W., "Diatoms from the bottom of the sea of Japan" 47 : 265-280, 1932

      44 Park J. S., "Diatom assemblages on Nanaura mudflat, Ariake sea, Japan: with reference to the biogeography of marine benthic diatoms in Northeast Asia" 53 : 105-124, 2012

      45 Oh, J. K., "Depositional of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9, 1-13.l Environments and Characteristics of Surface Sediments in the Nearshore and Offshore off the Mid-We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22 : 377-387, 2001

      46 Guiry, M. D., "Decussiphycus gen. nov.: a validation of “Decussata” (R.M. Patrick) Lange-Bertalot (Mastogloiaceae Bacillariophyta)" 94 : 1-2, 2019

      47 Licea S, "Checklist of Diatoms (Bacillariophyceae) from the Southern Gulf of Mexico:Data-Base (1979-2010) and New Records" 4 (4): 1-7, 2016

      48 Bourasi, S. K., "A study of effect of Physico-chemical parameters on biodiversity of Diatoms special Reference to Navicula in river Narmada at Harda, MP India" 6 (6): 575-578,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9-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 바다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9 0.933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