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Michell George, "힌두 사원 : 그 의미와 형태에 대한 입문서" 대숲바람 2010
2 주경미, "현대 佛敎 聖地 관광의 兩價性: 싱가포르 佛牙寺의 佛牙舍利를 중심으로" 부산경남사학회 (93) : 235-268, 2014
3 강희정, "해상 실크로드와 불교물질문화의 교류" 동아연구소 37 (37): 59-91, 2018
4 김인규, "필리핀과 무역도자기" 3 (3): 153-160, 2011
5 김인규, "필리핀 산타아나 유적 출토 원대 청화백자"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369-384, 2012
6 김인규, "필리핀 산타 쿠르즈(SantaCruz)침몰선 출토 무역도자기에 대한 연구" 한국도자학회 10 (10): 3-26, 2013
7 강희정, "푸난(扶南) 불교조각의 연원과 전개"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8) : 40-67, 2009
8 노장서, "태국의 불교사찰 벽화에 관한 연구" 1 (1): 1-20, 2009
9 강희정, "클릭, 아시아 미술사 : 선사토기에서 현대미술까지" 예경 2015
10 한국국제협력단, "캄보디아 앙코르 유적 프레아피투 사원 복원정비 기초사업 사업형성 조사 결과보고서" Koica 2014
1 Michell George, "힌두 사원 : 그 의미와 형태에 대한 입문서" 대숲바람 2010
2 주경미, "현대 佛敎 聖地 관광의 兩價性: 싱가포르 佛牙寺의 佛牙舍利를 중심으로" 부산경남사학회 (93) : 235-268, 2014
3 강희정, "해상 실크로드와 불교물질문화의 교류" 동아연구소 37 (37): 59-91, 2018
4 김인규, "필리핀과 무역도자기" 3 (3): 153-160, 2011
5 김인규, "필리핀 산타아나 유적 출토 원대 청화백자"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369-384, 2012
6 김인규, "필리핀 산타 쿠르즈(SantaCruz)침몰선 출토 무역도자기에 대한 연구" 한국도자학회 10 (10): 3-26, 2013
7 강희정, "푸난(扶南) 불교조각의 연원과 전개"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8) : 40-67, 2009
8 노장서, "태국의 불교사찰 벽화에 관한 연구" 1 (1): 1-20, 2009
9 강희정, "클릭, 아시아 미술사 : 선사토기에서 현대미술까지" 예경 2015
10 한국국제협력단, "캄보디아 앙코르 유적 프레아피투 사원 복원정비 기초사업 사업형성 조사 결과보고서" Koica 2014
11 강희정, "지상에 내려온 천상의 미" 서해문집 2015
12 주수완, "중국문헌을 통해본 중세 동남아의 불교문화(2)" 4 (4): 57-90, 2012
13 주수완, "중국문헌을 통해본 중세 동남아의 불교문화(1)" 2 (2): 1-40, 2010
14 정예경, "중국 북제·북주 불상연구" 혜안 1998
15 고정은, "줌인 동남아시아: <아시아박물관 기행> 베트남 다낭시 참파조각박물관" 2 (2): 129-138, 2010
16 구하원, "전통과 이슬람: 인도네시아 근대 모스크 건축 양식의 이해" 동아연구소 30 (30): 223-259, 2011
17 국립제주박물관, "적도의 황금왕국, 인도네시아"
18 고정은, "인도네시아 중부자바의 미술을 찾아서" 3 (3): 143-152, 2011
19 주경미, "인도네시아 중부 자바의 고대 금속공예품 연구 - 워노보요 출토품을 중심으로 -" 부산경남사학회 (86) : 199-241, 2013
20 강희정, "인도네시아 싱아사리 왕국 반야바라밀상의 정치적 맥락 — 탈식민주의시대 문화재 반환과 종교미술의 맥락 변화"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 : 6-27, 2017
21 강희정, "외부 세계와 동남아 : 전통, 식민주의, 모더니티의 시각" 이매진 2011
22 주경미, "양 무제의 아육왕 전승 구현과 고대 동남아시아" 인문학연구원 (67) : 3-47, 2012
23 고정은, "앙코르와트 제1회랑에 나타난 '32지옥도'의 도상특징과 그 의미" 한국불교미술사학회 (36) : 487-514, 2011
24 후지하라 사다오, "앙코르와트 - 제국주의 오리엔탈리스트와 앙코르 유적의 역사 활극" 동아시아 2014
25 서규석, "앙코르와트" 리북 2006
26 국립광주박물관, "아시아의 불교미술"
27 고정은, "아시아미술에 나타난 선재동자 구법이야기" 1 (1): 119-127, 2010
28 강희정, "보원사지 오층석탑 사리함의 연기법송(緣起法頌)과 해상실크로드"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13) : 38-61, 2014
29 유근자, "보로부두르 대탑의 불전(佛傳) 도상(圖像)" 2 (2): 17-53, 2010
30 가종수, "보로부두르 - 찬란한 불교미술의 세계" 북코리아 2013
31 서규석, "보로부두르 - 불멸의 이야기" 리북 2008
32 국립문화재연구소, "베트남의 옹관묘" 국립문화재연구소 2016
33 김인규, "베트남 청화백자의 출현과 전개" 2 (2): 1-16, 2010
34 김인규, "베트남 중부지역 출토 무역도자기 -9 ․ 10세기 중국과 서아시아도자기를 중심으로-" 한국도자학회 8 (8): 25-41, 2011
35 고정은, "베트남 중부 호이안과 참파 유적을 찾아서" 4 (4): 2012
36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베트남 전통 선"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2013
37 김규호, "베트남 옥 에오(Oc Eo) 유적 출토 유리구슬의 재질 및 특성 연구" 국립문화재연구소 49 (49): 158-171, 2016
38 국립고궁박물관, "베트남 마지막 황실의 보물"
39 주경미, "미얀마 버강시대 로카테익판 사원 연구" 불교미술사학회 21 : 113-148, 2016
40 김인규, "문헌에 보이는 미얀마 흑유대호(黑釉大壺, 일명 Martaban Jar)에 대한 연구" 한국동남아학회 21 (21): 329-358, 2011
41 김인규, "무역품으로서 타이(Thai) 흑유(黑釉) 항아리에 대한 연구" 한국도자학회 11 (11): 69-80, 2014
42 노장서, "머리카락에서 물을 짜내는 지모신 형상의 기원과 변모에 관한 연구" 한국동남아학회 20 (20): 223-262, 2010
43 강희정, "머라이언과 박물관: 싱가포르의 국가 만들기" 동아연구소 30 (30): 189-221, 2011
44 배수경, "란나왕국의 흔적을 찾아서 Ⅱ: 위양까롱의 도자기" 2 (2): 111-118, 2010
45 국립문화재연구소, "동아시아의 능-조선왕릉과 중국·베트남의 능묘 미술" 국립문화재연구소 2017
46 피오나 컬로그, "동남아의 예술세계" 솔과학 2012
47 국립문화재연구소, "동남아시아의 불교조각" 국립문화재연구소 2011
48 국립문화재연구소, "동남아시아 현지조사 자료집-캄보디아, 베트남" 국립문화재연구소 2010
49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동남아시아 해양문화유산과 해상실크로드"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2017
50 김인규, "동남아시아 청동북의 기원과 전개"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427-440, 2011
51 김인규, "동남아시아 요지의 구조와 기원에 대한 연구 -베트남,캄보디아,태국,미얀마 요지를 중심으로-" 한국도자학회 9 (9): 3-22, 2012
52 고정은, "동남아시아 불전미술의 성립과 도상특징" 한국불교미술사학회 (38) : 325-350, 2012
53 최호림, "동남아시아 박물관 : 국가 표상과 기억의 문화정치" 이매진 2011
54 김인규, "동남아시아 도자기에 보이는 중국도자기의 영향 -베트남, 타이를 중심으로-" 한국도자학회 7 (7): 7-20, 2011
55 김인규, "동남아시아 도자기 연구" 솔과학 2012
56 권오영, "동남아시아 고대국가의 수리시설과 수자원 관리체계" 한국상고사학회 92 (92): 5-33, 2016
57 주경미, "동남아 수중문화유산의 발굴과 연구 현황" 부산경남사학회 (97) : 385-429, 2015
58 박장식, "동남아 문화 예술의 수수께끼 : 다양성vs통일성" 한-아세안센터 2016
59 배양수, "독창적인 짜잉썬마이 : 베트남 옻칠 회화" 1 (1): 121-126, 2009
60 박장식, "깍꾸 : 빠오족의 불교 유적지" 1 (1): 127-134, 2009
61 주경미, "고대 동남아시아의 귀걸이 전통과 그 영향" 한국미술연구소 (34) : 187-214, 2012
62 강희정, "고대 동남아 종교미술에 미친 인도 미술의 영향" 인문학연구원 (65) : 189-219, 2011
63 국립문화재연구소, "경복궁 석조조형물 연구 및 중국·베트남과의 비교" 국립문화재연구소 2013
64 권오영, "韓半島에 輸入된 琉璃구슬의 變化過程과 經路 -初期鐵器~原三國期를 중심으로-" 호서고고학회 (37) : 38-69, 2017
65 권오영, "狼牙脩國과 海南諸國의 세계" 백제학회 (20) : 213-237, 2017
66 강희정, "中國人의 南洋 移住와 近代 東南亞의 中國系 美術" 중국사학회 (83) : 37-61, 2013
67 강희정, "‘良志使錫’ 試論-양지의 남방도래 가능성에 대하여-" 인문과학연구소 (43) : 121-154, 2015
68 Soper. Alexander C., "South Chinese Influence on Buddhist Art of the Six Dynasties Period" 32 : 1960
69 Kang, Heejung, "Kunlun and Kunlun Slaves as Buddhists in the Eyes of the Tang Chinese" 22 (22): 27-52, 2015
70 강희정, "Another Form of Orientalism: Koreans’ Consciousness of Southeast Asi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한국학중앙연구원 54 (54): 34-61, 2014
71 Kang, Heejung, "A Study on Chinese Community and Opium Farms in Penang in the 19th Century" 5 (5): 351-359, 2015
72 강희정, "7세기 偏袒右肩 佛立像의 起源과 전개" 신라사학회 (36) : 173-209, 2016
73 강희정, "6세기 扶南과 山東의 사르나트 양식 불상 -남방해로를 통한 인도 불교미술의 東傳-" 중국사학회 (67) : 29-57, 2010
74 강희정, "6-7세기의 동남아 힌두 미술 - 인도 힌두미술의 전파와 초기의 변용 -" 한국동남아학회 20 (20): 263-297, 2010
75 방병선, "17세기 중국 무역도자 연구 - 유럽과 동남아를 중심으로" 한국불교미술사학회 (33) : 195-225, 2009